$\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교사의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A Delphi Study of Developing Competency Model for Korean Health Teacher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5 no.1, 2012년, pp.1 - 13  

박경선 (인천고잔고등학교) ,  배을규 (인하대학교 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competency model for korean health teachers. In order to enhance job effectiveness and talent development of health teachers in schools, this study would provide policy mak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with a competency model to be used as a valid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차 델파이 조사는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회수한 전체 응답의 평균, 표준편차와 2차 델파이 조사에서 개별 위원들이 응답한 내용을 함께 제시하고 각 위원의 의견을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3차 델파이 조사지는 2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를 통해 보건교사 역량모형을 14개 역량, 75개 행동 요소로 수정하여 제시하고 Likert 5점 척도를 활용하여 각 행동 요소별 적절성에 대해 평가하도록 구성하였다.
  • 각 역량에 따른 우수한 보건교사의 행동 요소를 4~7개(총 88개)로 정리하여 Likert 5점 척도를 활용하여 각 역량의 행동요소에 대한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각 역량의 행동요소의 적절성 수준뿐만 아니라 연구자가 제시한 항목 외에 추가해야 할 항목이나 삭제해야 할 항목 또는 기타 의견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포함시켰다. 2차 델파이 조사지는 1차 델파이 조사지와 마찬가지로 유목화 작업에 참여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안면 타당도를 검증받은 후 사용하였다.
  • 델파이 조사는 일반적인 여론조사방법과 협의회 방법의 장점을 결합시킨 방법이며, 교육학 분야에서는 교육발전의 미래예측, 교육과정 개발, 교육문제 해결, 교육 평가기준개발 등에 이용되고 있다(김병성, 1997). 따라서 이 연구는 기존 보건교사 역량 연구가 부재한 점, 우수한 보건교사 규명이 어려운 점을 고려하고 보건교육에 관한 전문성과 미래 예측 등 조사방법의 효과성을 감안하여 보건교육 전문가의 합의에 기반한 역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델파이 조사를 활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절차는 다음에 제시된 표 1과 같다.
  • 역량명과 역량의 정의, 우수한 보건교사의 행동요소를 제시하고 역량명과 역량 정의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 개진과 함께 각 행동요소의 적절성을 5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요구하였다(1=전혀 적절하지 않다, 2=적절하지 않다, 3=보통이다, 4=적절하다, 5=매우 적절하다). 또한 수정, 추가, 삭제할 필요가 있는 역량, 행동요소에 대한 의견을 기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 연구는 보건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규명하고 이를 체계화한 역량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보건교육 전문가들로 구성된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 연구들이 보건교사의 역할, 직무만족, 직무평가 등에 치중되어 보건교사 역량 연구가 부재하므로, 보건교육 전문가들로 구성된 델파이 위원들로부터 우수한 보건교사의 역량과 관련 행동사례를 구체적으로 도출하는 최초의 시도를 하였다.
  • 이 연구는 보건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규명하고 이를 체계화한 역량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보건교육 전문가들로 구성된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 연구들이 보건교사의 역할, 직무만족, 직무평가 등에 치중되어 보건교사 역량 연구가 부재하므로, 보건교육 전문가들로 구성된 델파이 위원들로부터 우수한 보건교사의 역량과 관련 행동사례를 구체적으로 도출하는 최초의 시도를 하였다.
  • 이 연구는 보건교사의 역량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보건교사의 역량을 ‘우수한 보건교사가 보통의 보건교사 보다 자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지식, 기술, 태도, 감성, 동기 등의 통합체’로 정의하고, 보건교사의 역량을 도출하고 역량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보건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세 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 이 연구는 보건교사의 역량을 도출하고 이를 체계화한 보건교사 역량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보건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세 차례에 거쳐 실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는 2012년 1월 9일부터 14일까지 일주일간 델파이 위원들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 이 연구는 보건교육 전문가 31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보건교사가 자신의 개인적 성과를 도모하고 나아가 학교 조직 전체의 성과를 개선하는 데 요구되는 역량을 규명하고 역량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보건교사 역량모형은 3개의 역량군(보건관리 역량군, 보건교육 역량군, 직무기초 역량군)과 14개 역량, 75개 역량 행동요소로 구성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보건교사의 우수한 성과 달성을 위해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고, 그 역량을 체계화한 역량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역량모형을 개발하는 방법들은 주로 우수 성과자를 규명한 후 그들을 대상으로 행동사건면접, 과업 ․ 직능 분석 또는 직접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역량을 도출하여 역량모형을 개발하거나 기존의 역량모형을 활용하여 새로운 역량모형을 개발한다(Dubois, 1993).
  •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보건교사가 자신의 개인적 성과를 도모하고 나아가 학교 조직 전체의 성과를 개선하는 데 요구되는 역량을 규명하여 역량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보건교육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보건교사 역량모형을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교사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이에 따라 학교보건을 책임지는 현장의 실천가로서 보건교사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다. 보건교사는 학생들이 건전한 생활습관을 형성하고 스스로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보건교육과 건강관리를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양경희, 공은숙, 박혜경, 정영주, 박필남, 2009).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보건교사는 간호사 면허를 그 자격조건으로 하기 때문에 교사로서의 역할과 의료전문인으로서의 역할이 함께 요구되는 학교 조직 내 유일한 보건전문인력이다(박성원, 2003).
보건교사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한편 저출산, 고령화로 인하여 학생 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가 간 경쟁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노동력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학생을 건강하게 육성해야 한다는 점에서 학교보건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송영희, 2011). 이에 따라 학교보건을 책임지는 현장의 실천가로서 보건교사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다.
역량이란 무엇입니까? 역량이라는 개념은 McClelland (1973)에 의해 처음 소개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우수한 직무 수행자가 평균적인 직무 수행자보다 자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지식, 기술, 태도, 기타 제특성을 의미한다(박신윤, 2011; 배을규, 2006; Boyatzis, 1982; Dubois, 1993; Lucia & Lepsinger, 1999; Mirabile, 1997; Parry, 1996; Spencer & Spencer, 1993). 오늘날 역량의 개념은 민간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 기관, 군, 병원, 학교 등 다양한 조직에서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