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MECA 기법을 적용한 건설현장 거푸집작업의 통합 안전위험성 평가 및 대응방안 마련
Integrated Safety Risk Assessment and Response Preparation on Construction Site Formwork Using FMECA Method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4 no.3, 2012년, pp.39 - 48  

안선주 (한미글로벌) ,  송상훈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sk Assessment to list possible safety disasters and their probability and severity is the starting point for effective safety management on construction project site. However, the safety managers in owners, construction supervisors, 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still have difficulties in jud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잠재적 위험성을 귀납적 방법을 통해 효율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정량적·정성적 방법인 FMECA를 적용하고자 한다. FMECA는 타 기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어, 체크리스트 사용에 한정 되어 위험성 평가가 자리잡지 못하고 있는 현행 안전 관리 수준에 적합하며, 유사한 재해가 반복해서 발생하는 특정 공종에 잠재된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취지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위험성 평가는 공정에서의 잠재위험(hazard)를 확인하여 가상 시나리오에 대한 재해발생 가능성과 재해 결과 분석을 통해 위험성을 계산·표현하는 것으로 사고가 인체나 건물에 미칠 수 있는 피해를 평가하는 것이다.[7] 제조업에서 이러한 위험성 평가는 일차적으로 발생 가능한 사고 및 재해의 특성을 규명하며, 아차사고의 발생 확률과 사고결과를 예측하고, 궁극적으로 공정과 시스템이 사고로부터 안전한 상태로 가동·유지 되도록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건설현장에서의 위험성 평가를 강화함으로써 예방 차원의 노력을 통해 재해를 저감하고자 하는 시도의 일환으로서 본 연구는 건설 현장에서 착공 이전 단계에서 안전사고 발생 위험성을 진단하는 방법론을 실무 적용성이 높은 FMECA를 적용하여 제시하고, 이에 따라 안전사고 저감을 위한 대응방안을 수립하여 안전리스크를 저감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주관성이 개입되는 FMECA기법에는 다수 전문가의 참여가 필요하다. 따라서, 건설현장의 참여주체들이 공동으로 위험성평가에 참여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도록 한다.
  • 전문가들로 구성된 평가자들은 해당 재해유형과 원인항목이 유해·위험방지계획서, 공종별 안전관리계획서, 작업안전 체크리스트 등의 사전계획과 현장 안전관리지침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같은 현장 안전관리 수준을 우선적으로 확인한다. 또한, 검출도를 현장에서의 원인 통제가능성으로 확장하여, 물적 요소 통제 관점에서 원인항목이 도면 또는 현장 확인이 가능한 물리적 요소인지, 그리고 건설현장 내에서는 다수의 작업자가 광범위한 현장 작업 개소에 분산되어 작업함으로써 작업자 상시 제어가 어렵다는 측면에서 인적요소가 원인에 개입된 정도를 검토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현장 확인이 가능하고 안전 체크리스트 기본 사항인 톱날보호대 여부, 안전대 부착 여부 등은 ‘1 수준’에 해당하고, 양중기 조작 미숙이나 작업자 전도 등 특정 환경에서의 인적요소에 대한 사항은 원인 탐색이 어려운 수준(4 수준)으로 판단하였다.
  • RPN은 FMECA의 결과로서 지금까지 살펴본 발생빈도, 영향도, 검출도를 이용하여 구하며, RPN이 높은 상위그룹의 항목에 대해 안전활동을 집중하여 재해방지를 위한 적정 조치를 수립·시행하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측면만을 고려한 RPN1과 종합적 영향도를 고려한 RPN2를 산출하여 관리자 의도에 맞게 결과를 활용하도록 하였다. RPN1이 영향도의 직접적 피해 가운데 사망, 상해 등 인적손실(S1)과 발생빈도, 검출도의 곱으로 계산되는 반면, RPN2는 발생빈도, 검출도, 인적 손실(S1), 물적손실(S2), 공사비추가정도(S3), 공기변동 영향정도(S4) 모두를 곱하여 산출한다.
  • 본 연구에서는 건설 현장에서 착공 이전 단계에서 안전재해 발생 위험성을 진단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하여 안전재해 저감을 위한 대응방안을 수립하여 안전리스크를 저감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건설 프로젝트의 여러 목표와 이를 관리하기 위한 성과지표는 일정관리, 공사비관리, 품질관리, 안전관리, 환경관리 등 부문별로 설정되지만, 각 부문에서 발생한 이벤트는 복수의 여러 부문의 성과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안전만을 고려했던 한정된 FMECA 기법에서 나아가 안전이라는 개념을 매개로 하여 건설현장의 관리부문 간의 통합관리를 촉진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건설현장에서는 동일한 공종에서 유사한 사고가 반복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반복재해 이면에 존재하는 잠재적 원인을 파악하여 안전재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획기적 방법론의 도입·활용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제시한 위험성 평가 도구 중에서 전술한 건설현장 위험성 평가 현황을 개선하면서 현장 참여자들이 공동으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도구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의 이러한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안전재해의 피해결과를 1차적 피해(직접피해)와 2차적 피해(간접피해)로 구분하여 인적 손실과 물적 손실을 물론, 향후 건설현장에서의 후속 작업에 미치는 일정과 비용 측면에서의 영향까지 관리자가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아울러, FMECA를 기반으로 건설현장에서 위험성을 평가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방법론을 개발함에 있어서는 기존에 제시된 도구에 대해 아래 기준에 있어서의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 거푸집 공사의 위험성 평가 결과 인적손실만을 고려하는 RPN1에서는 작업자 전도, 양중기계 주변의 낙하, 거푸집 붕괴, 재료가공 시의 인적사고 등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고, RPN2를 통해서는 거푸집시스템 붕괴, 양중 기계 주변의 낙하와 관련된 원인항목들이 상위 5개를 차지하였다. 아울러, RPN의 계산에 적용되는 영향도 범위의 차이가 가져오는 두가지 유형의 RPN 수치의 차이에 대해서도 확인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잠재적 위험성을 귀납적 방법을 통해 효율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정량적․정성적 방법인 FMECA를 적용하고자 한다.
  • 그 중 거푸집 작업에서 가장 많은 재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추락과 낙하․비래, 전도, 충돌 등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 거푸집 작업의 위험도를 평가해 보고, 대응방안 마련까지의 안전관리 업무를 진행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장 내에서 안전재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현장 내에서 안전재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목적물에 대한 설계와 시공계획을 안전 측면에서 면밀하게 검토 하여 그 위험성을 분석한 후,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실행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등의 전체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요구된다.
건설프로젝트의 관리자의 목표는 무엇인가? 건설프로젝트의 관리자는 주어진 공사기간과 예산 내에서 적정 품질을 확보하려는 기본적인 목표를 달성 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안전사고 저감, 환경성 제고, 사회적 책임을 위한 노력 등이 추가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09), "Safety Risk Assessment for Construction Trades".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 Safety Technology(2012), "Year 2011 Occupational Disaster Statistics". Safety Technology, 171-6: 6-10 

  3. Homepage of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http://www.kosha.or.kr) (2012), "Safety & Health Information for Occupational Disaster Statistics" (Last connection on July 15th 2012) 

  4.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2011), "Safety & Health Management Manual for Public Client".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5. Sun-Gu Kim, Sun-Gap Yang(1998),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nstruction Accident Causes with F.T.A. Method".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4-1: 417-423 

  6. Lougborough University and UMIST(2003), "Causal factors in construction accidents. Research Report 156". HSE. 

  7. Ho-Keun Hwang(2004), "Development of Model for Risk Assessment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Using Risk Correction Factor.", Master's Thesis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8. Yong-Hui Lee, Ji-Hwa Nam(2002), "A Critique on the Sfety Assessment Techniques for Product Safety."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Safety(Spring) in 2002, 503-508 

  9. Jung-Ho Yu, Ji-Won Song, Chang-Duk Kim(2008),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Using FMEA Technique for Selecting Priority order."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9-6: 185-193 

  10. Do-Sun Lee(2010), "Study for Reliability Improvement of Belt Type Door System Using FMECA". Master's Thesi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11. Hong-Hyun Kim, Ghang Lee(2007), "A Quantitative Analysis of Fatal Accidents Related to Cranes Using the FMEA Method."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7-3: 115-122 

  12. Hyun-soo Lee, Hyunsoo Kim, Moonseo Park, Kwang-pyo Lee, Sabum Lee(2009), "Construction Risk Assessment Methodology Using Site Risk Influence Factors."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0-6 : 117-126 

  13. Seong-Hwa Seo, Jong-Il Weon, Heung-Sik Woo(2011), "A Study on Reduction of Hazard Conditions on Plant Work of Steel Industry."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13-4: 61-6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