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역사회건강증진을 위한 참여: 이해와 적용
Community Participation for Health Promotion: Definitions and Application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9 no.4, 2012년, pp.57 - 66  

유승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건강증진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paper describes the concept, principles, and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community participation in health promotion. Methods: Descriptions of and discussions on community participation in this paper are based on the results of selected peer-reviewed research articles, white pap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 상황에서의 지역사회 참여에 대한 논의의 시작으로 본고에서는 참여의 의미와 유형, 전략에 대해 짚어보고자 한다. 최근 추진되는 사업과 관련한 현실적 필요에 의해 참여가 관심을 받고 있지만, 참여를 이해하고 적용하는 측면에서는 불명확성이 존재하고 있다.
  • 참여자마다, 혹은 참여를 장려하는 입장과 참여를 구하는 입장, 그리고 실제로 참여하는 입장에서 생각하고 기대하는 참여의 정도와 종류가 어떠한지, 최근 지역사회 건강증진에서 강조되는 참여란 사전적 의미 이상으로 어떤 내용을 포함하는지에 대한 이해와 논의가 필요한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참여의 개념과 범위, 지역사회 건강 증진을 위한 참여 원칙들을 논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지역사회 현장과 관계형성이 이루어진 바탕 위에 지역사회 맥락과 의견을 반영한 연구프로그램의 협력적 기획 및 수행은 찾기 힘든 편이다. 이런 상황에서 참여전략의 시작은 1) 누가 지역사회(community)이고 그 중에서도 특히 누가 참여할 것인가? 2) 어느 단계의 참여가 적합한가? 의 설정과 3) 참여 동기의 파악일 것이다. 참여주체를 파악하고 건강증진사업 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지금까지는 사업장, 경로시설,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단지 등 생활터가 단골 대상이었던 면이 없지 않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사회 참여에 대한 서구의 경우는? 지역사회 참여에 대한 선행연구나 전략사례는 지금까지 주로 서구에서 개발되었다. 서구에는 지역사회에 자발적 참여조직이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고, 여러 대학과 연구기 관에 개설된 지역사회 건강 연구소에서 지역사회 현장과 협력관계를 형성하여 사업과 연구를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건강증진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구성원들을 앞서 언급한 참여모형 상 비참여나 소극적 참여대상으로 설정하여 일방적인 교육이나 조사를 시행한 경우가 많고, 건강증진 사업의 기획, 수행, 평가에 다양한 지역사회 자발적 참여조직의 적극참여가 흔하지 않다.
community participation란? 지역사회 참여를 의미하는 community participation은 community involvement, community engagement, community empowerment와 단계적으로 정도 차이가 있는 개념으로 설명되기도 한다(CDC, 2011; Laverack, 2007).1)일반적으로community participation이란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자신들이 속한 지역사회의 주요사안을 이해하고,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그에 대한 대안을 개발・추진하는 활동에 적극적이고 성실하게 개입할 수 있게 되는 과정(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2002), 또는 삶과 관련된 행동이나 결정에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 (Doherty, 2008)이라고 정의된다. 한편 실상에서 community participation은 다수의 지역사회 구성원들을 대표하는 소수가 위원회 등의 형태로 활동하는 경우가 전형적인데, participation의 한 형태인 community involvement는 지역사회 자원을 동원하고 보건의료서비스 접근성을 촉진하는 측면에 초점을 맞췄다고 볼 수 있다(Laverack, 2007).
협력이란? 참여는 지역사회 주민을 위시한 개인 차원에만 해당되는 활동이 아니라 각종 규모와 유형의 조직, 기구, 부서, 기관 차원에도 해당된다. 협력 이란 특성이 다른 다수의 조직들이 서로 공유하는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관계를 맺고 각자의 역할과 달성 목표를 정해 함께 일하는, 다시 말해 관계형성과 공동의 작업에 참여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참여와 협력은 지역사회 역량의 주요영역(Bopp, GermAnn, Bopp, Baugh Littlejohns, & Smith, 2000; Chaskin, 2001; Goodm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drews, J. O., Cox, M. J., Newman, S. D., & Meadows, O. (201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toolkit to assess partnership readiness for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Progress in Community Health Partnerships: Research, Education and Action, 5(2), 183-188. 

  2. Arnstein, S. R. (1969). A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Journal of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35(4), 216-224. 

  3. Baker, E. A., & Brownson, C. A. (1998). Defining characteristics of community-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s. Journal of Public Health Management and Practice, 4(2), 1-9. 

  4. Becker, A. B., Israel, B. A., & Allen III, A. J. (2005). Strategies and techniques for effective group process in CBPR partnerships. In B. A. Israel, E. Eng, A. J. Schulz, & E. A. Parker (Eds.), Methods in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for health (pp. 52-72). San Francisco, CA: Jossey-Bass. 

  5. Bopp, M., GermAnn, K., Bopp, J., Baugh Littlejohns, L., & Smith, N. (2000). Assessing community capacity for change. Alberta, Canada: David Thompson Health Region & Four Worlds Centre for Development Learning. 

  6. Brager, G., & Specht, H. (1973). Community organizing. New York,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7.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Principles of community engagement (2nd ed.). Atlanta, Georgia: Author. 

  8. Chaskin, R. J. (2001). Building community capacity: a definitional framework and case studies from a comprehensive community initiative. Urban Affairs Review, 36(3), 291-323. 

  9. Crisp, B. R., Swerissen, H., & Duckett, S. J. (2000). Four approaches to capacity building in health: Consequences for measurement and accountability.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5(2), 99-107. 

  10. Davidson, S. (1998). Spinning the wheel of empowerment. Planning, 1262, 14-15. 

  11. Doherty, G. (2008). Developing a good practice guide to community participation. Dublin, Ireland: Inner City Organisations Network/North West Inner City Network. 

  12. Goodman, R. M., Speers, M. A., McLeroy, K., Fawcett, S., Kegler, M., Parker, E, . . . Wallerstein, N. (1998). Identifying and defining the dimensions of community capacity to provide a basis for measurement. Health Education and Behavior, 25(3), 258-278. 

  13. Government of South Australia. (2009). Policy guideline: consumer and community participation guideline. Adelaide, South Australia: Department of Health, Government of South Australia. 

  14.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ublic Participation (IAP2) Australia. (2004). IAP2 Public Participation Spectrum. Retrieved from http://www.iap2.org.au/resources/spectrum 

  15. Israel, B. A., Checkoway, B., Schulz, A., & Zimmerman, M. (1994). Health education and community empowerment: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perceptions of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community control. Health Education Quarterly, 21(2), 149-170. 

  16.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2). Workshop on health promoting public health centers for 2012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health promotion model development. Seoul, Korea: Author. 

  17. Laverack, G. (2001). An ident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organizational aspects of community empowerment.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36(2), 40-52. 

  18. Laverack, G. (2007). Health promotion practice: Building empowered communities. New York, NY: Open University Press. 

  19. Mahjabeen, Z., Shrestha, K. K., & Dee, J. A. (2009). Rethinking community participation in urban planning: The role of disadvantaged groups in Sydney Metropolitan Strategy. Australian Journal of Regional Studies, 15(1), 45-63. 

  20. Michigan Public Health Training Center. (2010).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A partnership approach for public health. Ann Arbor, MI: Author.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Introduction to the 5th Community Health Plan development: 2011-2014. Seoul, Korea: Author. 

  22. Na, B. J. (2010). Introduction and directions for the 5th Community Health Planning.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35(2), 195-253. 

  23. Nelson, N., & Wright, S. (1995). Participation and power. In N. Nelson & S. Wright (Eds.), Power and participatory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pp. 1-18). London, UK: Intermediate Technology Publications. 

  24.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n.d.). Office of Welfare and Health. Retrieved from http://namesearch-app.seoul.go.kr/main/org/org_chart_bon.jsp?dept_cd12310000 

  25.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2). Building resident participatory healthy villages. Retrieved from http://health.seoul.go.kr/archives/4351 

  26. Tsouros, A. D. (1995). The WHO Healthy Cities Project: state of the art and future plans.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0(2), 133-141. 

  27. Verity, F. (2007). Community capacity building - a review of the literature. Adelaide, South Australia: Department of Health, Government of South Australia. 

  28. Wilcox, D. (1994). Community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putting theory into practice. RRA Notes, 21, 78-82. 

  29.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2002). Community participation in local heal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pproaches and techniques. Copenhagen, Denmark: Center for Urban Health,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