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창의적 학교환경에 대한 인식 척도의 타당성 검증 및 집단 차이 연구
A Validation Study of the Creative School Environment Perceptions Scale and A Study of Group Difference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2 no.3, 2012년, pp.663 - 677  

조선미 (인천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Mayfield와 Mayfield(2010)의 창의적 환경에 대한 인식척도를 학교환경에 맞게 수정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한 연구이다. 또한 이 연구는 집단별 차이분석을 통해 창의적 학교환경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본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 초등학생 5~6학년 203명이었다. 요인분석 결과 척도는 창의성을 지지하는 환경요인, 일 특성 요인, 창의성을 저해하는 방해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기존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수렴타당성을 검증하였는데 척도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표본 t 검증 결과 인식에 집단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6학년이 5학년보다 학교환경이 창의성을 더 방해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또한 창의적 아이디어를 잘 만들어 내는 행동특성을 보이는 학생의 경우는 학교환경이 창의성을 지지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부정적인 아이디어 생성행동을 보이는 학생의 경우는 학교환경이 창의성을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처럼 창의적 학교 환경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학년과 창의적 아이디어 생성행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년별 그리고 창의적 아이디어 생성행동별 집단차이를 고려하여 창의적 학교환경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erify validity of Creative School Environment Perceptions (CSEP) scale developed based on the scale developed in 2010 by Mayfield and Mayfield. Factor analysis was used to assess construct validity. Another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편적인 것을 묻는 적은 수의 문항이 다양한 분야에 있는 일상적인 창의성 수준을 보이는 사람들의 인식을 측정하기에 더 적합하다는 의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ayfield와 동료들이 개발한 간편 척도가 학생들의 창의적 환경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이를 활용하고자 한다.
  • 따라서 창의성 수준에 따라 창의적 학교환경에 대한 인식 또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식에 대한 집단 차이분석을 통해 창의적 학교환경에 대한 인식과 관련 있는 요인들을 찾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Mayfield와 Mayfield(2010)의 척도를 학생들의 창의적 학교환경에 대한 인식 척도로 번안 ․ 수정하여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한 연구이다. 그들의 척도가 선정된 이유는 다양한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일상적인 수준의 창의성을 보이는 사람들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적 환경에 대한 인식척도를 학교환경에 맞게 수정하여 요인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경기지역 초등학생 5~6학년 203명이었다. 요인분석 결과 척도는 창의성을 지지하는 환경요인, 일 특성 요인, 창의성을 저해하는 방해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기존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수렴타당성을 검증하였는데 척도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표본 t 검증 결과 인식에 집단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6학년이 5학년보다 학교환경이 창의성을 더 방해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또한 창의적 아이디어를 잘 만들어 내는 행동특성을 보이는 학생의 경우는 학교환경이 창의성을 지지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부정적인 아이디어 생성행동을 보이는 학생의 경우는 학교환경이 창의성을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처럼 창의적 학교 환경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학년과 창의적 아이디어 생성행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년별 그리고 창의적 아이디어 생성행동별 집단차이를 고려하여 창의적 학교환경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높은 수준의 창의성을 보여주는 사람의 특징은 무엇인가? 높은 수준의 창의성(High Level Creativity)을 보여주는 사람들은 내적 동기가 강한 반면 일상적인 수준에서의 창의성(Garden Variety Creativity)을 보여주는 사람들은 내적 동기가 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Stafford, 1998). Krogh(1998)는 일상적인 수준의 창의성을 보이는 집단의 경우는 자유롭게 정보를 교환하는 창의적 환경에 대한 인식이 창의성과 더 관련있다고 보았다.
교육계의 화두는 무엇인가? 시대가 급격하게 변화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창의성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교육계의 화두는 창의적 인재양성이다(Forrester & Hui, 2007). 변화하는 세계에 적응하기 위해 창의성을 학생들에게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고 모두 공감하고 있으며 이런 공감대는 창의성을 강조하는 교육과정 개정으로 이어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김혜숙 (1999). 창의성 진단 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13(4), 269-303. 

  2. 김혜숙 (2004). 창의적 가정.학교 환경 진단 척도의 수정과 확증적 요인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3(2), 69-84. 

  3. 김혜숙 (2005). 창의적 환경 측정도구들의 이론적 차원과 측정학적 타당성 검토. 영재와 영재교육, 4(1), 47-69. 

  4. 김혜숙 (2010). 창의적 수행능력 관련변인에 대한 구조모형: 개인적 특성, 과제, 심리적 과정특성 및 환경 변인의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9(2), 103-125. 

  5. 민지연, 서은진 (2009). 창의적 교실 분위기와 창의성 및 동기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23(4), 787-800. 

  6. 박병기, 박상범 (2007). 창의적 성향.환경.과정 척도(C-DEPs)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1(4), 905-922. 

  7. 박병기, 박상범 (2009). 통합창의성이 내재된 다차원 창의적 환경 척도(ICEMCEs)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3(4), 839-862. 

  8. 이병희 (2008). 창의적 행동의 영역일반 구조모형 검증.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9. 이재천, 김범기 (1999). 과학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환경이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315-328. 

  10. 한순미 (2006). 환경은 창의성을 어떻게 조형하는가? 영재와 영재교육, 5(2), 167-188. 

  11. 홍미영, 강남화, 김주아 (2010). 중학생의 과학 교실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68-79. 

  12.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13. Abra, J. (1994). Collaboration in creative work: An initiative for investigation. Creativity Research Journal, 8, 205-218. 

  14.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New York: Springer-Verlag. 

  15. Amabile, T. M. (1996). Creativity in context. Boulder, CO: Westview Press. 

  16. Amabile, T. M., Conti, R., Coon, H., Lazenby, J., & Herron, M. (1996). Assessing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 1154-1184. 

  17. Amabile, T. M., Schatzel, E. A., Moneta, G. B., & Kramer, S. J. (2004). Leader behaviors and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Perceived leader support. Leadership Quarterly, 15, 5-32. 

  18. Anderson, N. R., & West, M. A. (1998). Measuring climate for work group innovati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eam climate inventor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9, 235-258. 

  19. Brace, N., Kemp, R., & Snelgar, R. (2003). SPSS for psychologist: A guide to data analysis using SPSS for windows (2n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20. Conger, J. A. (1993). Training leader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3, 203-218. 

  21.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New York: HarperCollins. 

  22. Floyd, F. J., & Widaman, K. F. (1995). Factor analysis in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clinical assessment instruments. Psychological Assessment, 7, 286-299. 

  23. Forrester, V., & Hui, A. (2007). Creativity in the Hong Kong classroom: What is the contextual practice?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2, 30-38. 

  24. Gardner, H. (1993). Multiple intelligences: The theory in practice. New York: Basic Books. 

  25. Hair, J. F. Jr.,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26. Hunter, S. T., Bedell, K. E., & Mumford, M. D. (2007). Climate for creativity: A quantitative review.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9(1), 69-90. 

  27. Huan, V. S., Yeo, L. S., & Ang, R. P. (2006). The influence of dispositional optimism and gender on adolescents'perception of academic stress. Adolescence, 41, 533-546. 

  28. Jo, S. M. (2009). A study of Korean students' creativity in scienc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trieved July 21, 2009, from http://gradworks.umi.com/3355938.pdf 

  29. Kaufman, J. C. (2009). Creativity 101. New York, NY: Springer 

  30. Krogh, G. (1998). Care in knowledge creation.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40, 133-153. 

  31. Mathisen, G. E., & Einarsen S. (2004). A review of instruments: Assessing creative and innovative environments within organization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6(1), 119-140. 

  32. Mayfield, M., & Mayfield, J. (2010). Developing a scale to measure the creative environment perceptions: A questionnaire for investigating garden variety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2(2), 162-169. 

  33. Runco, M. A., Plucker, J., & Lim, W. (2001).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integrity of a measure of ideational behavior.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3, 393-400. 

  34. Stafford, S. (1998). Capitalizing on careabouts to facilitate creativity.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7, 159-176. 

  35. Tabachnick, B. G., & Fidell, L. S. (1996).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New York: Harper collins College. 

  36. West, M. A. (2002). Sparkling fountains or stagnant ponds: An integrative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mplementation in work groups.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51, 355-387. 

  37. Williams, S. (2001). Increasing employees' creativity by training their managers. Industrial and Commercial Training, 33, 63-68.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