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디의 추출 공정에 따른 성분 변화 및 분말 과립차의 관능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Granular Tea and the Components of Mulberry Fruit Extracts by Different Extraction Process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0 no.5, 2012년, pp.331 - 338  

류일환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권태오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work, mulberry fruit extracts by four extraction processes, namely wet pressing extraction (WPE), hot-water extraction (HWE), enzymatic hydrolysis (EH), and lactic-acid bacteria fermentation (LBF) by Lactobacillus plantarum TO-2100, were analyzed for nutrients and functional compoun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디 추출공정에 따라 유기산, 비타민, 아미노산, 폴리페놀, 안토시아닌 등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여 천연 식품소재로서의 이용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기능성과 영양성이 우수한 오디 추출물을 이용하여 분말 과립차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먼저, 오디 생과 5 ㎏에 가온 정제수 30%를 첨가하였다. 이는 오디 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도를 최소화하고 효소의 원활한 작용을 위한 유동성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혼합물에 예비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비율로 조절한 cellulase (celluclast) : pectinase (citrozyme) : amyloglycosidase (AMG) 4:1:2의 비율로 2% 첨가 후 45℃에서 5시간 가수분해하고 프레스 여과에 의해 잔사를 제거하여 오디 효소분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뽕나무는 예로부터 어떻게 활용되어 왔는가? 뽕나무(Morus alba L., Moraceae) 열매인 오디(mulberry, Mori Fructus)는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본초강목(本草綱目), 일본의 오처경(五妻鏡), 끽다양생기(喫茶養生記) 및 동의보감에 의하면 ‘상심자’라 하여 예로부터 대머리를 예방하고 머리를 검게 하는 자양·보양제일 뿐만 아니라 고혈압, 당뇨병 및 노화를 치료하는 생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 등에서 오디는 당뇨 및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등 성인병 예방 및 치료 효과가 밝혀지면서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 오디가 각광받는 이유는? , Moraceae) 열매인 오디(mulberry, Mori Fructus)는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본초강목(本草綱目), 일본의 오처경(五妻鏡), 끽다양생기(喫茶養生記) 및 동의보감에 의하면 ‘상심자’라 하여 예로부터 대머리를 예방하고 머리를 검게 하는 자양·보양제일 뿐만 아니라 고혈압, 당뇨병 및 노화를 치료하는 생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 등에서 오디는 당뇨 및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등 성인병 예방 및 치료 효과가 밝혀지면서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뽕나무에는 25종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ala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의 함량이 많아서 숙취를 없애주며, serine과 tyrosine이 함유되어 있어 뇌의 혈액 순환과 노인성 치매를 예방해 준다고 알려져 있다.
오디 추출물의 유기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에서 tartaric acid나 malic acid는 함량이 감소되는 이유는? 각각의 추출 공정에 의한 오디 추출물의 유기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Table 2), 착즙에 비해 열수 추출, 효소분해 추출 및 젖산발효 추출 모두에서 tartaric acid나 malic acid는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이었고, acetic acid는 효소분해 추출 및 젖산발효 추출에서, citric acid는 열수 추출과 효소분해 추출에서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이는 첨가된 수분량의 증가로 인한 유기산의 용해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되며, 젖산발효 추출에서 acetic acid 와 lactic acid의 함량 증가는 젖산균의 생육에 의한 생산 및 malic acid가 lactic acid로 전환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Avinash et al., 2011), citric acid 함량 감소는 젖산균의 에너지 대사에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Fugelsang and Edwards,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kimele LA. (1970). Fermentation studies on maize during the preparation of a traditional African starch-cake food.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21:619-625. 

  2. Avinash T, Ajay JY, Pradeep KG, Dinesh J and Deepak KJ. (2011). Conversion of malic acid into lactic acid in Aloe vera by using lactic acid bacteria. Journal of Phytology. 3:1-11. 

  3. Bae HA, Baek H, Park HI, Choung MG, Soha EH, Kim SH, Kim DS, Chung IM, Seong ES, Yu CY and Lim JD. (2011). Effect of fermentation time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mulberry (Morus alba L.) leaf tea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9:276-286. 

  4. Bang IS, Park HY, Yuh CS, Kim AJ, Yu CY, Ghimire B, Lee HS, Park JG, Choung MG and Lim JD. (2007). Antioxidant activities and phenolic compounds composition of extracts from mulberry (Morus alba L.) fruit.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5:120-127. 

  5. Bang IS, Yu CY and Lim JD. (2010). Effects of temperature and UV irradiation on stability of anthocyanin-polyphenol copigment complex in mulberry frui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8:191-200. 

  6. Byun GI, Kwon YJ and Park ML. (2008). Development of granular tea by using astringent persimmon and persimmon leave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4:273-285. 

  7. Costilow RN and Fabian FW. (1953). Availability of essential vitamins and amino acid for Lactobacillus plantarum in cucumber fermentation. Application Microbiology. 1:320-326. 

  8. Fugelsang KC and Edwards CG. (2007). Wine microbiology: practical applications and procedures. (2nd ed.).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LLC. Springer Street. New York, USA. p.29-34. 

  9. Ha SY, Hwang YS, Yang YJ and Park YM. (2007). Correlation between instrumental quality attributes and consumers' sensory evaluation in refrigerated-stored 'Campbell Early' and 'Kyoho' grape.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5:125-132. 

  10. Hong JH, Ahn JM, Choi SW and Rhee SJ. (2004). The effects of mulberry on th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and oxidative stress in erythrocytes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Nutritional Sciences. 7:127-132. 

  11. Hong JS and Kim MA.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uck by the addition of astringency persimmon paste. Journal of Korean Food Cookery Science. 21:360-370. 

  12. Keatha KK. (1948). Vitamin and amino acid requirements of certain lactic acid bacteria.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USA. p.1-86. 

  13. Kim EJ, Kim GY, Kim YM, Choi KH and Jang SJ. (2009). Anti-obesity effect of mulberry leaves extraction in obese rats high-fat diet.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3:831-836. 

  14. Kim HB. (2003). Quantification of cyanidin-3-glucoside(C3G) in mulberry fruits and grapes. Korean Journal of Sericultural Science. 45:1-5. 

  15. Kim HB, Kim SL, Moon JY and Chang SJ. (2003). Quantification and varietal variation of free sugars in mulberry fruits. Korean Journal of Sericultural Science. 45:80-84. 

  16. Kim HB, Kim SL and Kang SW. (2004). Varietal analysis and quantification of amino acid in mulberry fruits. Korean Journal of Sericultural Science. 46:47-53. 

  17. Kim SY, Pack KJ and Lee WC. (1998). Antiim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orus spp. fruit extract. Korean Journal Medicinal Crop Science. 6:204-209. 

  18. Kim TW, Kwon YB, Lee JH, Yang IS, Youm JK, Lee HS and Moon JY. (1996). A study on the antidiabetics effect of mulberry fruits. Korean Journal of Sericultural Science. 38:100-107. 

  19.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8a). Health Functional Food Code. Section III.3.5.5 Citric acid.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III.3.5.5-1-III.3.5.5-2. 

  20.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8b). Health Functional Food Code. Section III. 3.1 Vitamin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III.3.1.1-1-III.3.1.14-5. 

  21. Lee JR, Hah YJ, Lee JW, Song YM, Jin SK, Kim IS, Hah KH and Kwak SJ. (200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emulsified sausages containing mulberry and persimmon leaf powder.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imal Resource. 22:330-336. 

  22. Maddalena R, Alberto A and Stefano R. (2011). Folate production by probiotic bacteria. Nutrients. 3:118-134. 

  23. Magdi AO, Ibrahim EAR and Hamid AD. (2010). Biochemical changes occurring during fermentation of camel milk by selected bacterial stater cultures. African Journal of Biochemistry. 9:7331-7336. 

  24. Maria C, Manca N, Mario EA and Fabiana MS. (2003). Nutritional requirement and amino acids utiliz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from wine - A short review. Food Agriculture and Environment. 1:76-79. 

  25. Maria RA, Maria CMN and Mario EA. (2012). Influence of phenolic compounds on the growth and arginine deiminase system in a wine lactic acid bacterium. Brazilian Journal of Microbiology. 43:167-176. 

  26. Marta J, Yuki K, Seiji T and Toshihiro F. (2012). Thermal stability of vitamin C: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use of total ion monitoring chromatograms.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59:190-193. 

  27. Mohammad A, Rasool K, Anna R and Ryszard A. (2012). Antioxidant activity of mulberry fruit extracts. International Journal Molecular Science. 13:2472-2480. 

  28. Mohsen Z, Afshin E, Fatimah AB, Abdul KSM, Bita F, Mohd SBAK and Nazamid S. (2012). A glutamic acid-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Malaysian fermented foods.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13:5482-5497. 

  29. Park ML, Choi SK and Byun GI. (2007). A study on the establishing the preparation conditions for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Sing.) granular tea. Journal of East Asian Society Dietary Life. 17:689-695. 

  30. Park YS and Chang HG.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black rice flour.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9:406-411. 

  31. Ryu IH, Lee EJ, Kwon JW, Lee KS and Kwon TO. (2010). Fermentation property by novel cellulolytic lactic acid bacteria Enterococcus sp. TO-94 on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ournal Medicinal Crop Science. 18:429-438. 

  32. Sandra H, Dominique LB, Daniel M and Mireille Y. (2004). Ability of thermophilic lactic acid bacteria to produce aroma compounds from amino acid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70:3855-3861. 

  33. Selina H, Susanne MS and Christophe L. (2011). Concurrent high production of natural folate and vitamin B12 using a coculture process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SM39 and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DF13. Process Biochemistry. 46:1063-1070. 

  34. Simova E, Simov Z, Beshkova D, Frengova G, Dimitrov Z and Spasov Z. (2006). Amino acid profil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efir grains and kefir starter made from them.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107:112-123. 

  35. Tabasco R, Sanchez-Patan F, Monagas M, Bartolome B, Victoria Moreno-Arribas M, Pelaez C and Requena T. (2011). Effect of grape polyphenols on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a growth: resistance and metabolism. Food Microbiology. 28:1345-1352. 

  36. William K, Hilde M, Hege TS and Robert P. (2002). Yield,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 of banana juice extracted by the enzymatic and mechanical methods.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82:478-482. 

  37. Wiramsri S, Wanaisa S, Jeno MS, Murray MY and Peter LD. (2011). Effect of amino acid requirements on the growth and lactic acid production of Pediococcus acidilactici culture. African Journal of Microbiology Research. 5:3815-38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