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n Vivo 실험모델에서 오디추출복합물의 퇴행성관절염 개선 효능 연구
Effect of Mulberry Extract Complex on Degenerative Arthritis In Vivo Mode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5, 2016년, pp.634 - 641  

이화 ((주)벤스랩 중앙연구소) ,  윤샛별 ((주)벤스랩 중앙연구소) ,  신소희 ((주)벤스랩 중앙연구소) ,  정종문 (수원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오디추출복합물(mulberry extract complex, MEC)의 퇴행성관절염 증상 완화 및 개선 효과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monosodium iodoacetate(MIA)로 유도한 퇴행성관절염 in vivo 실험모델을 이용하였다. 연골의 주요 구성성분인 glycosaminoglycan(GAG) 및 collagen의 농도를 실험동물의 연골에서 측정한 결과 MIA로 인해 감소하였던 GAG 및 collagen의 농도가 MEC를 경구 투여한 실험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교원질 합성을 억제하고 분해를 촉진하는 matrix metalloproteinase-2, 9, 13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는 MEC의 농도에 따라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연골 손상 지표인 cartilage oligomeric matrix protein과 C-terminal telopeptide 2의 측정결과에서는 대조군보다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어 MEC가 퇴행성관절염의 진행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관절염 지수 평가에서도 MEC는 모든 농도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성 있게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통하여 MEC가 퇴행성관절염에서 나타나는 연골 구성성분의 분해를 억제하고, 여러 중요한 퇴행성관절염 진행 인자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결국 연골파괴 감소와 더불어 통증을 줄여줌으로써 퇴행성관절염에 대한 증상 완화 및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in vivo effects of treatment with mulberry extract complex (MEC) on cartilage degeneration and pain severity in an experimental model of rat degenerative arthritis. Monosodium iodoacetate ($2mg/50{\mu}L$) was injected into right knee 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연구를 통해 식용 가능한 천연물 중에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뛰어난 32종의 천연물을 탐색하였고, 그중 퇴행성관절염 개선 효과가 탁월한 오디, 상엽, 서리태로 오디추출복합물을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오디추출복합물이 퇴행성관절염에 대한 개선 효과를 동물모델과 임상 시험을 통해 선행연구로 보고하였으며(21-23),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동물모델에서 염증 지표들을 살펴본 것 외에 오디추출복합물이 monosodium iodoacetate(MIA)로 유도된 퇴행성관절염 동물모델의 연골 분해 정도와 통증, 그리고 급성 염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이러한 결과로 보아 MEC가 연골을 구성하는 GAG와 collagen이 관절염으로 인해 파괴되는 것을 억제하고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GAG와 collagen을 분해하는 MMPs가 MEC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 실험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스테로이드 항염제의 부작용은? 관절염에 공통으로 쓰이는 약물은 비스테로이드 항염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로 우리나라에서 100여 종 이상의 다양한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데, 이는 cyclooxygenase-2 (COX-2)의 활성을 억제하여 prostaglandin E2의 합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통증과 염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이는 해열, 진통, 항염의 효과가 있으나 위장관, 신장, 심장, 간장 및 혈액학적 부작용을 동반할 수 있으며(6), 근본적인 치료가 불가능하므로 다른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하다.
퇴행성관절염이란? 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은 골관절염(osteoarthritis)이라고도 하며 가장 흔한 관절염의 유형으로 주로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의 퇴행성 손상으로 인해 염증과 통증이 유발되는 질병이다. 일반적으로 노화가 주요 발병 원인이지만 성별, 유전적 요소, 비만, 생활습관 등 다른 요인으로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2-4).
뽕나무의 잎에 함유된 페놀화합물은? 현재까지 알려진 오디의 생리활성 기능들에는 항당뇨, 항산화, 항암 효과 등이 있다(7-13). 상엽(mulberry leaf)은 뽕나무의 잎으로 rutin, chlorogenic acid, quercetin 3-(6-malonylglucoside), kaempferol 3-(6-malonylglucoside) 등 다양한 페놀화합물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암 활성 및 간 보호 등의 생리활성들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다(14-19). 서리태(black bean)는 흑두 또는 검정콩으로 불리며 속이 파랗다고 하여 속청이라고도 부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MOHW. 2014. Senior survey 20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Korea. p 311. 

  2. Chang MC, Hung SC, Chen WY, Chen TL, Lee CF, Lee HC, Wang KL, Chiou CC, Wei YH. 2005. Accumulation of mitochondrial DNA with 4977-bp deletion in knee cartilage - an association with idiopathic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Cartilage 13: 1004-1011. 

  3. van der Kraan PM, van den Berg WB. 2008. Osteoarthritis in the context of ageing and evolution: loss of chondrocyte differentiation block during ageing. Ageing Res Rev 7: 106-113. 

  4. Yeom HE. 2013. Symptoms, aging-stereotyped belief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older women with and without osteoarthritis. Geriatr Nurs 34: 307-313. 

  5. MOHW.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Korea. p 63. 

  6. Kim HA. 2007. The management of arthritis. J Korean Med Assoc 50: 743-750. 

  7. Park SW, Jung YS, Ko KC. 1997. Quantitative analysis of anthocyanins among mulberry cultivars and their pharmacological screening. J Korean Soc Hortic Sci 38: 722-724. 

  8. Kim HB, Kim SL. 2003. Identification of C3G (cyanidin-3-glucoside) from mulberry fruits and quantification with different varieties. Korean J Seric Sci 45: 90-95. 

  9. Kim EO, Lee YJ, Leem HH, Seo IH, Yu MH, Kang DH, Choi SW. 2010.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nstitu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s from seven different Morus alba L.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467-1475. 

  10. Kim HB, Kim AJ, Kim SY. 2003. The analysis of functional materials in mulberry fruit and food product development trends. Food Science and Industry 36(3): 49-60. 

  11. Kim MH, Ko KC, Lim SH, Yu YS. 1980. Study on the usability of mulberry fruit. Fruit characteristics of mulberry. Coll Agric Bull SNU 5: 221-223. 

  12. Kim TW, Kwon YB, Lee JH, Yang IS, Youm JK, Lee HS, Moon JY. 1996. A study of the antidiabetic effect of mulberry fruits. Korean J Seric Sci 38: 100-107. 

  13. Lee SH, Kim GH. 2008. Inhibitory effect of mulberry extracts on angiogenesis in porcine pulmonary artery endothelial cells. J Life Sci 18: 653-659. 

  14. Niidome T, Takahashi K, Goto Y, Goh S, Tanaka N, Kamei K, Ichida M, Hara S, Akaike A, Kihara T, Sugimoto H. 2007. Mulberry leaf extract prevents amyloid beta-peptide fibril formation and neurotoxicity. Neuroreport 18: 813-816. 

  15. Pirvulescu MM, Gan AM, Stan D, Simion V, Calin M, Butoi E, Tirgoviste CI, Manduteanu I. 2011. Curcumin and a Morus alba extract reduce pro-inflammatory effects of resistin in human endothelial cells. Phytother Res 25: 1737-1742. 

  16. Park JS, Park CH, Jun CY, Choi YK, Hwang GS, Kim DW. 2007. The anti-diabetes and vasoelasticity effects Mori Folium and Aurantii Fructus in streptozotocin induced type II diabetes mellitus model. Korean J Orient Int Med 28: 544-559. 

  17. Kim OG, Jeong JC. 2006. Effects of Mori folium extrac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Orient Int Med 27: 811-821. 

  18. Bae MJ, Ye EJ. 2010. Antioxidant activity and in vitro for anticancer effects of manufactured fermented mulberry leaf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796-804. 

  19. Kim HJ, Kim JK, Whang WK, Ham IH, Kwon SH, Bo SH, Kim HJ. 2003. Effects of Mori folium and Crataegus pinnatifida leave extracts on $CCl_4$ -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Yakhak Hoeji 47: 206-211. 

  20. Oh HS, Park YH, Kim JH. 2002. Isoflavone contents, antioxidative and fibrinolytic activities of some commercial cooking-with-rice soybea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498-504. 

  21. Seo HH, Jeong JM. 2013. Beneficial effects of phyto-extract complex (CME) on degenerative arthritis. Kor J Herbology 28: 87-93. 

  22. Seo HH, Jeong JM. 2014. Inhibitory effects of complex of mulberry extract on degenerative arthritis. Korean J Med Crop Sci 22: 262-269. 

  23. Kim JK, Ha JK, Li H, Jeong JM. 2015. Animal and clinical study of the efficacy of mulberry extract complex on degenerative arthritis. Kor J Herbol 30: 25-34. 

  24. Janusz MJ, Hookfin EB, Heitmeyer SA, Woessner JF, Freemont AJ, Hoyland JA, Brown KK, Hsieh LC, Almstead NG, De B, Natchus MG, Pikul S, Taiwo YO. 2001. Moderation of iodoacetate-induced experimental osteoarthritis in rats by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Osteoarthritis Cartilage 9: 751-760. 

  25. Na JY, Song KB, Kim SH, Kwon YB, Kim DG, Lee JK, Jo HK, Kwon JK. 2014. Effects of HPL-04 on degenerative osteoarthrit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30-39. 

  26. Kim KY, Sim KC, Kim GY, Choi CH, Jung JG, Chung JS, Jeong HW. 2011. Effe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and onion mixture extract on the collagen-induced arthritis in rat model.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5: 1000-1007. 

  27. Atta AH, Alkofahi A. 1998.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ome Jordanian medicinal plant extracts. J Ethnopharmacol 60: 117-124. 

  28. Kim JH, Ahn CS. 2009. Basic science of the articular cartilage. J Korean Arthrosc Soc 13: 189-192. 

  29. Kim MH. 2008. Effe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A. extract in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2: 183-188. 

  30. Nam DE, Kim OK, Shim TJ, Kim JH, Lee JM. 2014. Effect of Boswellia serrata extracts on degenerative osteoarthritis in vitro and in vivo mode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631-640. 

  31. Lee MC, Ji JH, Kim WY, Do JH, Kim YM. 2006. The effects of dehydroepiandrosterone-pyruvate on human osteoarthritic chondrocytes. J Korean Orthop Res Soc 9: 153-164. 

  32. Lee HJ, Park JO, Oh MS. 2015. Anti-inflammation and antioxidation effects of gamikyejakjimo-tang herbal acupuncture on pathologic factor and MIA-induced osteoarthritis rat. J Korean Med Rehab 25: 1-20. 

  33. Sim BY, Bak JW, Lee HJ, Jun JA, Choi HJ, Kwon CJ, Kim HY, Ruff KJ, Brandt K, Kim DH. 2015. Effects of natural eggshell membrane (NEM) on monosodium iodoacetate-induced arthritis in rats. J Nutr Health 48: 310-318. 

  34. An SS, Heo DS. 2013. Effects of Kyejiinsam-tang in MIAinduced osteoarthritis rats. J Korean Med 34: 69-85. 

  35. Lee EJ, Oh MS. 2014. Effects of Keonbodan on MIA-induced osteoarthritis in rat. J Korean Med Rehab 24: 51-64. 

  36. Lee HE, Oh MS. 2014. Effects of Mahwangbujaseshin-tang (Mahuangfuzixixintang) on MIA-induced osteoarthritis rats. J Korean Med Rehab 24: 65-81. 

  37. Pepys MB, Hirschfield GM. 2003. C-reactive protein: a critical update. J Clin Invest 111: 1805-1812. 

  38. Mohan G, Perilli E, Kuliwaba JS, Humphries JM, Parkinson IH, Fazzalari NL. 2011. Application of in vivo micro-computed tomography in the temporal characterisation of subchondral bone architecture in a rat model of low-dose monosodium iodoacetate-induced osteoarthritis. Arthritis Res Ther 13: R210. 

  39. Jung JK, Son KH, Kim YS, Park YG. 2011. Effect of Citri Pericarpium ethanol extract on collagen-induced arthritis in mice. Kor J Herbology 26: 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