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식품냉장창고 온도분포 분석 및 적정 확률분포모델 설정
The Survey of Cold Storage Temperature and Determine of Appropriate Statistics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7 no.3, 2012년, pp.312 - 316  

김형태 (군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상규 (군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백옥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오염물질과) ,  박경진 (군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에서 냉장보관창고 온도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여, 온도분포를 추정하였고, 이를 미생물 위해평가의 입력변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정 확률분포 모델을 제시하였다. 국내 냉장보관창고의 온도분포는 최저 $-3.2^{\circ}C$, 최대 $14.9^{\circ}C$, 평균 $2.55{\pm}3.55^{\circ}C$로 나타났고, $10^{\circ}C$이상 비율은 2.5%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냉장창고 온도는 설정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 위치별 온도분포는 상단(2.4~4 m) $0.8{\pm}1.69^{\circ}C$, 중단(1.5~2.4 m) $0.59{\pm}1.68^{\circ}C$, 하단(0.7~1.5 m) $0.65{\pm}1.46^{\circ}C$로 중단 온도가 가장 낮았으며, 위치별 온도차이는 최대 $1.11^{\circ}C$로 공간상에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편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수집된 온도자료는 @RISK 를 이용, 적합성 검정(GOF: K-S와 A-D test)을 수행하여, MRA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국내 냉장창고 온도분포에 대한 가장 적합한 확률분포모델로 LogLogistic(-4.189, 5.9098, 3.2565)을 선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proper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that based on the data for surveys of food cold storage temperatures as the input variables to the further MRA (Microbial risk assessment). The temperature was measured by directly visiting 7 food plants. The overall mean temperatu...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여러 환경요인 중 유통·보관 단계에 해당되는 냉장식품 보관창고 온도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여 현재의 시점에서 국내 냉장식품 보관 온도분포를 추정하고, 이를 MRA의 입력변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정 확률분포 모델을 제시하여, MRA 수행을 통한 관련 식중독균 대한 위해수준 평가 및 냉장보관식품 온도관리 등 보관관리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냉장보관창고 온도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여, 온도분포를 추정하였고, 이를 미생물 위해평가의 입력변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정 확률분포 모델을 제시하였다. 국내 냉장보관창고의 온도분포는 최저 3.

가설 설정

  • 1)For each of these statistics, the smaller the value, the better the fi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98년부터 2008년까지의 식품안전사건 및 사고 분석 결과 무엇이 중요하다고 보이는가? 1998년 1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식품안전사건 및 사고에 대한 언론매체의 보도자료 등을 중심으로 식품안전사고의 발생단계별 분석결과를 보면 원료생산단계 및 제조 공정에서 많은 원인을 제공하였지만, 유통과정에서도 약 7.7%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어, 보관, 유통, 판매과정의 관리도 중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4). 냉장보관 및 운송 등에 있어 보관 및 유통상의 잘못으로 식 품의 품질 및 안전적인 문제가 발생하여 회수 및 폐기된 식품의 경제적 가치 또한 상당할 것으로 예상 된다.
식품안전사건 및 사고 분석으로 어떠한 손실이 예상되는가? 7%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어, 보관, 유통, 판매과정의 관리도 중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4). 냉장보관 및 운송 등에 있어 보관 및 유통상의 잘못으로 식 품의 품질 및 안전적인 문제가 발생하여 회수 및 폐기된 식품의 경제적 가치 또한 상당할 것으로 예상 된다.
부적절한 냉장온도관리는 어떤 질병의 원인이 되는가? 식중독 발생에 있어 부적절한 냉장온도관리는 국내외적 으로 주요 원인으로 규명되고 있으며1), 냉장보관이 요구 되는 식품은 보관, 유통, 판매 중 주변 온도에 따라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이 나타날 수 있는데, 특히, Listeria monocytogenes 등은 0 °C 또는 그 이하의 냉장온도에서도 성장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2) 때문에 식품안전에 있어 냉장보관에 대한 온도관리는 매우 중요하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Jackson V., BlairI S., McDowell D.A.: The incidence of significant foodborne pathogens in domestic refrigerators. Food control, 18, 346-351 (2007). 

  2. Chan Y.C., Wiedmann M.: Physiology and genetics of Listeria monocytogenes survival and growth at cold temperatures. Crit. Rev. Food Sci. & Nutr., 49, 237-253 (2009). 

  3. Lee Y.S., Ha J.H., Park K.H., Lee S.Y., Choi Y.J., Lee D.H., Park S.H., Moon E.S., Ryu K., Shin H.S., Ha S.D.: Survey on storage temperature of domestic major chilled foods in refrigerator. J. Fd. Hyg. Safety, 23, 304-308 (2008). 

  4. Bahk G.J.: The analysis of food safety incidents from 1998 to 2008 in Korea. J. Fd Hyg. Safety, 24, 162-168 (2009). 

  5. KFDA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orea Food Standards Codes (2011). 

  6. Bahk G.J.: Statistical probability analysis of storage temperatures of domestic refrigerator as a risk factor of foodborne illness outbreak. Kor. J. Food Sci. Technol., 42, 373-376 (2010). 

  7. Oh D.H., Rahman SME., Kim J.M., Bahk G.J.: The statistics probability analysis of pork-cutting processing conditions for microbial risk assessment. J. Fd. Hyg. Safety, 24, 63-68 (2009). 

  8. Franz E., Tromp S.O., Rijgersberg H.: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for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leafy green vegetables consumed at salad bars. J. Food Prot., 73, 274-285 (2010). 

  9. Palisade Corp.: Guide to using @RISK (version 5.5). Newfield, New York, USA. pp. 173-196 (2010). 

  10. KFDA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Pre-request programs in HACCP (2011). 

  11. USFDA (United State Food & Drug Administration): Code of federal regulation for food and drugs: Code of hygienic practice for refrigerated packaged foods with extended shelf life. CAC/RCP 46 (2010). 

  12. Food Safety Authority of Ireland. Guidance note: Cook-chill system in the food service sector. Revision 1. (2006). 

  13. Runsey, I.: Temperature and air distribution in refrigerated warehouses. A new dimension to energy savings. Food safety, Food supply, Food solutions. GDS Publishing Ltd. (2008). 

  14. Chourasia, M.K., Goswami, T.K.: Simulation of effect of stack dimensions and stacking arrangement on cool-down characteristics of potato in a cold store by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Bios. Eng., 96, 503-515 (2007). 

  15. Rosario L.M., Son H.H., Rahman M.: Numerical simulation of temperature and velocity in a refrigerated warehouse. Int. J. Refrig., 29, 692-699 (2010). 

  16. Choi S.G., Hong S.E.: Refrigeration engineering. Gungiwon, Korea. pp. 110 (2009). 

  17. Kang S.H., Koo B.K., Hwang H.Z., Seok H.T., Ahn H.S., Song S.Y.: Optimized insulation thickness of the refrigerated warehouse with different envelope structures and insulation materials by L.C.C. analysis. Kor. J. Air-Cond.& Refrig. Eng., 15, 372-381 (2003). 

  18. Margaret D., Kerrie M., Simon T.: Incorporating parameter uncertainty into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QMRA). J. Water & Health, 9, 10-26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