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 복분자 추출물의 약리, 화학적 특성 및 분석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tural Bokbunja Extract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29 no.3, 2012년, pp.402 - 411  

성기천 (대진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 복분자는 나무딸기 또는 산딸기로부터 얻어진 한방재료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 천연 복분자 나무딸기 또는 산딸기는 천연의 향기와 맛, 천연의 색상, 그리고 약리,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천연 복분자 추출물을 사용하여, 특성실험으로 미생물에 대한 항균실험과 섬유에 대한 염색실험을 하였다. 본 특성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들이 얻어졌다. 항균실험 결과 ATCC-001(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는 배양시험 후 72hrs 부터 미생물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ATCC-002(aspergillus niger)의 경우 배양시험 후 시간경과에 따라 계속 증식이 나타났다. 역시, 염색실험 결과 복분자 추출물이 천연염료로 매염제($Al_2(SO_4)_3{\cdot}13-14H_2O$)를 사용하여 섬유인 면과 견에서 연한 베이지 색의 방향으로 염색이 나타났다. 기기분석 결과 1CP/OES로 측정한 복분자 성분에서는 K(221.100ppm), Mg(17.920ppm), Ca(5.129ppm), Na(2.940ppm), Si(0.638ppm)등의 무기성분들이 확인되었고, GC/MSD로 측정한 복분자 성분에서는 Boric acic(1.711), Silane(2.142), Propyl isothiocyanate(2.565), Pyrazole(3.481), Furfurole(11.521)등의 유기성분들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ural Bokbunja is used as a material of oriental medicine which it obtains from Rubus or Raspberry. Natural Bokbunja Rubus has natural odor and taste, natural color, and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This experiment tested antimicrobial experiment against microbe and dye experiment 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천연의 복분자를 구입, 이를 추출하여 얻어진 천연 복분자 추출물에 대한 약리, 화학적 항균실험과 염색실험을 하고, 기기분석으로 복분자 성분 내에 무기 및 유기성분을 확인, 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 복분자 추출물을 사용하여 미생물에 대한 향균실험을 했을 때 결과는? 본 특성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들이 얻어졌다. 항균실험 결과 ATCC-001(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는 배양시험 후 72hrs 부터 미생물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ATCC-002(aspergillus niger)의 경우 배양시험 후 시간경과에 따라 계속 증식이 나타났다. 역시, 염색실험 결과 복분자 추출물이 천연염료로 매염제($Al_2(SO_4)_3{\cdot}13-14H_2O$)를 사용하여 섬유인 면과 견에서 연한 베이지 색의 방향으로 염색이 나타났다.
국내의 복분자 나무딸기 류의 재배지역은? 복분자 산딸기류의 품종과 지역분포를 알아보면 전 세계에는 약 600-1,200여종의 다양한 품종들이 분포되어 있고, 지역별로는 북미 서북부, 중국, 일본, 한반도 지역 등 온대성 임야에서 자생하거나, 지역의 특성에 맞게 약용작물로 재배되고 있다[3]. 이중 국내의 복분자 나무딸기 류는 약 22여종이 식품용 또는 생약용으로 재배되고 있는데, 재배 지역은 해발고도가 약 50-1,000m 사이의 임야나 산 계곡 또는 도서지역에 재배되고 있으며, 재배조건은 월평균 기온이 –5℃~28℃와 강우량이 약 120.0mm, 일조시간은 약 126.
국내의 복분자 나무딸기 류의 재배조건은? 복분자 산딸기류의 품종과 지역분포를 알아보면 전 세계에는 약 600-1,200여종의 다양한 품종들이 분포되어 있고, 지역별로는 북미 서북부, 중국, 일본, 한반도 지역 등 온대성 임야에서 자생하거나, 지역의 특성에 맞게 약용작물로 재배되고 있다[3]. 이중 국내의 복분자 나무딸기 류는 약 22여종이 식품용 또는 생약용으로 재배되고 있는데, 재배 지역은 해발고도가 약 50-1,000m 사이의 임야나 산 계곡 또는 도서지역에 재배되고 있으며, 재배조건은 월평균 기온이 –5℃~28℃와 강우량이 약 120.0mm, 일조시간은 약 126.0시간 내, 외로 한반도의 전 지역에서 재배가 가능하나 중, 남부지역인 내장산, 계룡산, 치악산, 월악산, 지리산 등의 임야와 완도, 거문도, 울릉도 등의 임야 또는 도서에서 주로 자생하고 있고, 재배지역으로는 전북 고창, 부안, 순창과 제주일대에서 주로 특용작물로 재배하고 있다[4]. 또한, 복분자 산딸기 류는 다른 유사식물과 비교하면 내한성이 매우 우수하고, 낮은 강수량에서도 잘 자라는 장점과 배수가 잘 되는 임야나 산 비탈 또는 계곡 주변의 양지에서 햇빛을 받고 자라는 호광식물 류로 광량에 따라 과실에 미치는 영향이 큼을 알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 Research Task on the Fruit Wine Development using Bokbunja and Wild Grap, Govp 1200517721, 1 (2002). 

  2. J. S. Hong, Processing Development of Bokbunja Wine, Department of Food Engineering, College of Agriculture, Chunbuk University,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ishery, Govp 1199702288, 20 (1996). 

  3. Jeju Agriculture Technology Center, A Research Task on the Safety and High-Yield cultivation Techniques Development of Jeju Model Bokbunja Rubus, Govp 1200815272, 3 (2007). 

  4.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ishery, Processing Development of Bokbunja Wine, Department of Food Engineering, College of Agriculture, Chunbuk University, Govp 1199702288, 5 (1996). 

  5.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ishery, Processing Development of Bokbunja-Wine, Department of Food Engineering, College of Agriculture, Chunbuk University, Govp 1199602335, 4 (1995). 

  6. Jeju Agriculture Technology Center, A Research Task on the Safety and High-Yield cultivation Techniques Development of Jeju Model Bokbunja Rubus, Govp 1200815275, 4 (2007). 

  7. C. W. Lee and J. H. Do, Chemical component and Volatile Perfume composition of Fruit, Kor. J. Nutri. Soci., 13(5), 453 (2000). 

  8. G. C. Bang, M. S. Kim, and M. W. Lee, Hydrolyzed Tannin of Bokbunja Rubus Fruit, J. of Bio-Phar. Soc., 27(4), 366 (1996). 

  9. J. M. Park and G. J. Ju, A Study on the Stability of Anthocyanine Color as Fruit Juice of Bokbunja Rubus, Kor. J. Nutri. & Food SOC., 11(3), 67(1982). 

  10. T. H. Yoon, Development and Use of Anthocyanine as Natural Color, Kor. J. Food Sci. Technol. Soc, 11(3), 32 (1978). 

  11. Jeju Agriculture Technology Center, A Research Task on the Safety and High-Yield cultivation Techniques Development of Jeju Model Bokbunja Rubus, Govp 1200815272, 6 (2007). 

  12. K. C. Sung,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tural Omija Extract, J.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 28(3), 290 (2011). 

  13. H. M. Yang etc, A Comparison on the Inflammation Control Efficacy of native Bokbunja and foreign Bokbunja, Kor. j. Food Sci. Technol. Soc., 3, 342 (2007). 

  14. J. W. Lee and J. H. Do, Quantitation of Total Phenol Component and Antioxdative Activity of Bokbunja Fruit, Kor. J. Food Nutri. Sci. Soc., 29(5), 943 (2000). 

  15. G. H. Kwon etc, Research and It's Application of Bokbunja Utility Component, Kor. J. Bio-technology Soc., 21(6), 405 (2006). 

  16. K. C. Sung,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Artemisia Extract, J.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 26(1), 51 (2009). 

  17. K. C. Sung,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tural Curcumin Extract, J. of the Korean Oil Chemists', 28(4), 395 (2012). 

  18. T. Philips, Utilization of Plant Pigment as Food Colorants, Food Pro. Dev., 9(3), 50 (1975). 

  19. F. J. Francis, Anthocyanin as Food Colors, Food Technol., 29, 52(1975). 

  20. Jeju Agriculture Technology center, A Research Task on the Safety and High-Yield cultivation Techniques Development of Jeju Model Bokbunja Rubus, Govp 1200815272, 7 (2007). 

  21. K. C. Sung,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tural Omija Extract, J. of the Korean Oil Chemists', 28(3), 293 (2012). 

  22. K. C. Sung,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tural Curcumin Extract, J. of the Korean Oil Chemists', 28(4), 396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