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색소 함유 식물추출물과 플로럴 워터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hot-water extracts and floral waters from natural plant pigm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2 no.1, 2015년, pp.129 - 133  

김연순 (대구대학교 생명환경학부) ,  서화진 (대구대학교 생명환경학부) ,  박신 (대구대학교 생명환경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천연염색의 원료인 천연염료, 즉 천연색소의 열수추출물과 플로랄워터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항산화 활성은 총 페놀 함량 분석과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단일항산소 억제 효과로 확인하였다. 열수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IC_{50}$ 값은 0.0085~3.5 mg/mL를 나타내어 일부 색소 추출물의 DPPH 소거 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오배자, 소목 추출물이 $8.5{\mu}g/mL$, $19.1{\mu}g/mL$로 높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비교 물질로 주로 사용되는 ascorbic acid의 $10.5{\mu}g/mL$ 만큼 높은 우수한 항산화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일항산소 억제 효과 역시 오배자, 소목 추출물에서 각각 0.21, 0.12 mg/mL을 나타내어 높은 소거 활성을 띄는 것으로 강한 빛에 의해 야기되는 활성산소의 피해로부터 생물체를 보호해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총 페놀 함량도 열수추출물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반면, 플로라워터의 항산화 활성은 열수추출물 대비 미비한 효과를 보였으나 황련, 황벽천초근의 경우 열수추출물 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플로라워터의 경우 액상시료를 첨가하여 수행되는 실험 방법에 의해 정량적 수치를 명확히 나타내기 어렵기 때문에 연구방법적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일부 천연색소 추출물은 생물체의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야기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보다 심도 깊은 연구를 진행한다면 새로운 생물 소재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potentials of ten kinds of medicinal plants used as natural dyeing agents were tested. Among the plant extracts and floral waters that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er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the extract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통 천연염색에서 주로 사용되어져온 천연염료 중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경감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폴리페놀성 색소화합물을 합유하고 있는 10종의 식물(소목, brazilein; 소리쟁이, emodin; 오배자, pyrogallol tannin; 황련, berberine+alkaloid; 황백, berberine; 천초근, pseudopurpurin;빈랑, tannin; 자근, shikonin; 울금, curcumin; 치자, crocin)로부터 열수추출물과 정유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플로럴워터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가치와 유용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천연염색의 원료인 천연염료, 즉 천연색소의 열수추출물과 플로랄워터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항산화 활성은 총 페놀함량 분석과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단일항산소 억제 효과로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빨강, 주황, 노란색을 띄는 카로티노이드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천연에서 유래된 색소는 역사 이전 시대부터 색을 표현하는 것뿐만아니라 플라보노이드, 카로티노이드, 파이토에스트로겐 등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특히 빨강, 주황, 노란색을 띄는 카로티노이드는 식물의 꽃, 열매 및 뿌리에 선명한 색상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강한 빛으로부터 식물체 광합성계를 보호 하며 광합성계의 필수 구성성분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1,2). 식물체내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 성분들은 건강과 질병에 대한 예방과 같은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플라보노이드 성분들은 생체내에서 항산화활성, 혈소판응집 억제, 항염증활성 및 항암작용 등을 도와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천연 항산화제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생체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항산화 기전이 존재하는데 그중 하나는 체내 존재하는 항산화 효소에 의해서, 나머지는 생체 내 여러 가지 항산화 물질과 식이를 통하여 공급되는 항산화제에 의한 것이다(6). 현재까지 천연 항산화제로는 비타민 E, 비타민 C, 탄닌, 안토시아닌, 카로티노이드, 플라보노이드 등이 있으며 생체 내에서 동맥경화, 염증, 퇴행성질환 및 암을 예방하는데 아주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7,8). 이러한 천연 항산화제는 대부분 색을 띄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져 온 천연염료의 주 성분과 일치한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식물에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 성분들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특히 빨강, 주황, 노란색을 띄는 카로티노이드는 식물의 꽃, 열매 및 뿌리에 선명한 색상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강한 빛으로부터 식물체 광합성계를 보호 하며 광합성계의 필수 구성성분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1,2). 식물체내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 성분들은 건강과 질병에 대한 예방과 같은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플라보노이드 성분들은 생체내에서 항산화활성, 혈소판응집 억제, 항염증활성 및 항암작용 등을 도와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또한 과일과 야채 등과 같은 식물들은 암을 억제하는 등의 다양한 건강에 도움이 되는 성분인 isoprenoid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Fiehn O (2002) Metabolomics - the link between genotypes and phenotypes. Plant Mol Biol, 48, 155-171 

  2. Bartley GE, Scolnik PA (1995) Plant carotenoids : pigments for photoprotection, visual attraction, and human health. Plant Cell, 7, 1027-1038 

  3. Craig WJ (1997)Phytochemicals : guardians of our health. J Am Diet Assoc, 97, S199-S204 

  4. Elson CE, Yu SG (1994) The chemoprevention of cancer by mevalonatederived constituents of fruits and vegetables. J Nutr, 124, 607-614 

  5. Oyanagi Y (1989) SOD and active oxygen modulators. Pharmacology and clinical trials. Nihon-Igakukan, Tokyo, p 5-290 

  6. Branen A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ne. J Am Oil Chem Soc, 52, 59-65 

  7.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methanol extract from vegetable produced in Ullung island. J Korean Food, 37, 223-240 

  8. Ali KA, Abdelhak M, George B, Panagiotis K (2005) Tea and herbal infusions :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propolis. Food Chem, 89, 27-36 

  9. Dabas D, Elias RJ, Lambert JD, Ziegler GR (2011) A colored avocado seed extract as a potential natural colorant. J Food Sci, 76, C1335-C1341 

  10. Sato M, Ramarathnam N, Suzuki Y, Ohkubo T, Takeuchi M, Ochi H (1996) Varietal differences in the phenolic content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wines from different sources. J Agric Food Chem, 44, 37-44 

  11. Szabo MR, Chambre D, Lupea AX (2007) Improved DPPH determination for antioxidant activity spectrophotometric assay, Institute of Chemistry. Slovak Academy of Sciences, 61, 214-216 

  12. Roterta R, Nicoletta P, Anna P, Ananth P, Min Y, Catherine RE (1999) Antioxidant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cation decolorization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 1231-1237 

  13. Jung J, Kim H, Cho M (1990) Action spectra for the generation of singlet oxygen from mitochondrial membranes from soybean (Glycine max) hypocotyls. Photochem Photobiol, 52, 561-566 

  14. Madsen HL, Nielsen BR, Bertelsen G, Skibsted LH (1996) Screen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spices. Food Chem, 57, 331-337 

  15. Suh HJ, Kim SR, Lee KS, Kang SC (2010)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Allomyrina dichotoma (Arthropoda : Insecta) larvae. J Photochem Photobiol B, 99, 67-73 

  16. Al-sereiti MR, Abu-Amer KM, Sen P (1999) Pharmacology of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inn) and its therapeutic potentials. J Indian Exp, 37, 124-130 

  17. Lee YM, Lee JJ, Choi MY (1998) Antioxidative effect of Pimpinella brachycarpa ethanol extract. J Life Sci, 18, 467-473 

  18. Choi YM, Kim MH, Shin JJ, Park JM, Lee JS, Kim. MH (2003) The antioxidant activit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32, 723-7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