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olyamide 복합막을 이용한 메탄/이산화탄소 혼합기체의 분리 특성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CH_4/CO_2$ Mixed Gas by Polyamide Composite Membrane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29 no.3, 2012년, pp.478 - 485  

이재화 (공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건호 (공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최경석 (공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공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수룡 (한국세라믹기술원 그린세라믹본부) ,  오세천 (공주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분자는 우수한 투과선택도 및 가공성으로 인하여 여러 기체 혼합물의 분리를 위한 막의 소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olyamide 복합막을 이용하여 $CH_4$$CO_2$ 혼합기체의 분리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모사 기체로는 순수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서로 다른 운전조건에서의 투과실험을 수행하였다. 주입 기체의 유량은 800~1000 $cm^3/min$으로 변화시켰으며, stage cuts의 변화는 50~60 %로 하였다. 또한 분리막의 운전 온도는 $30{\sim}70^{\circ}C$에서 변화시켰으며 기체의 초기 주입압력은 6 bar로 설정하였다. 각 실험조건에서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투과도를 평가하였고 이때 permeate에서의 이산화탄소에 대한 선택도를 함께 평가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Arrhenius plots를 이용하여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분리막에 대한 투과 활성화 에너지를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mers are widely used as membrane material for performing the separation of various gaseous mixtures due to their attractive permselective properties and high processability. The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CH_4$ and $CO_2$ mixed gas using polyamide composite membrane h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의 경우 운전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기체의 주입유량을 변화시켰다. 그러나 실제 분리막에서 기체 분리의 경우 기체의 유입유량에 의하여 또한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투과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운전변수들의 변화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운전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stage cut을 조절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그 결과를 Fig. 6에 나타내었다. Fig.
  • 고분자 분리막을 이용한 기체분리특성 연구는 과거부터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현재 활발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7-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polyimide에 polyamide가 침적된 상용화 중공사 복합막을 이용하여 운전온도 및 기체유량과 stage cut의 변화에 따른 메탄 및 이산화탄소의 혼합기체에 대한 분리특성을 고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olyamide 복합막을 이용한 CH4 및 CO2 혼합기체의 분리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polyamide 복합막을 이용한 메탄 및 이산화탄소의 혼합기체에 대한 분리특성에 있어서 온도의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800 cm3/min의 기체 주입유량과 6bar의 초기 기체 주입압력 그리고 50 %의 stage cut 운전 조건에서 30∼70℃로 분리막의 운전온도를 변화시켜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 4에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분리막을 이용하여 매립장의 LFG로부터 메탄을 회수하기 위한 분리 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분자 분리막을 이용한 기체분리특성 연구는 과거부터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현재 활발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7-1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탄과 이산화탄소가 지구 온난화 영향의 몇 %를 차지하고 있는가? 매립지에서 발생되는 LFG(Landfill Gas)의 조성은 메탄, 이산화탄소, 질소 및 산소 그리고 미량의 황화수소, 암모니아, CFCs (Chlorofluorocarbons) 및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 등의 기체성분으로 구성 되어 있다. 이중 메탄과 이산화탄소는 주요 온실가스로 지구 온난화 영향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메탄은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데 가장 중요한 인자로 이산화탄소에 비해 온난화지수가 약 21배 정도 크다. 또한 1996년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에 따르면 연간 2∼3 % 정도 대기 중의 메탄양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1-3].
LFG의 조성은? 현재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 발전과 함께 인구증가에 따른 소비증가에 의하여 폐기물의 발생량 또한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따라서 많은 양의 도시 폐기물이 매립되고 있다. 매립지에서 발생되는 LFG(Landfill Gas)의 조성은 메탄, 이산화탄소, 질소 및 산소 그리고 미량의 황화수소, 암모니아, CFCs (Chlorofluorocarbons) 및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 등의 기체성분으로 구성 되어 있다. 이중 메탄과 이산화탄소는 주요 온실가스로 지구 온난화 영향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메탄은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데 가장 중요한 인자로 이산화탄소에 비해 온난화지수가 약 21배 정도 크다.
Landfill Gas로부터 메탄을 분리하는 방법은?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LFG는 50 % 이상의 메탄이 함유되어 있어 LFG에서 메탄가스를 분리 회수하여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경우 온실가스 감축 등의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신재생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어 그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1,4,5]. LFG로부터 메탄을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흡수액에 대한 용해도 차이를 이용하는 흡수법, 압축‧냉각공정을 이용하는 심냉법, 흡착제 표면과 흡착되는 흡착질 상호간의 작용력에 의하여 특정 성분을 분리하는 흡착법 그리고 분리 막을 사용하여 특정한 성분을 선택적으로 투과하여 기체를 분리하는 막 분리 공정 등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의 메탄 분리기술에 있어서 막을 이용한 분리 공정은 에너지 소비가 적고 상온에서 조작이 가능하며 분리 시 상변화가 수반되지 않아 열에 불안정한 물질의 분리가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 Harasimowicz, P. Orluk, G. Zakrzewska-Trznadel, and A. Chmielewski, Application of Polyimide Membranes for Biogas Purification and Enrichments, J. Hazard. Mater., 144(3), 698 (2007). 

  2. B. R. Park, D. H. Kim, G. W. Lee, T. S. Hwang, and H. K. Lee, A Study on the Permeance Through Polymer Membranes and Selectivity of CH4/N2, Korean Chem. Eng. Res., 49(4), 498 (2011). 

  3. T. B. Ahn, T. H. Park, and I. C. Going, Prediction of Landfill Settlement Using Gas Generation Characteristics, Korean Geotech. Soc., 2(20), 29 (2004). 

  4. S. Kumar, S. A. Gaikward, A. V. Shekdar, P. S. Kshirsagar, and R. N. Singh, Estimation Method for National Methane Emission from Solid Waste Landfill, Atmos. Env., 38, 3481 (2004). 

  5. N. J. Kim, J. M. Choi, and E. J. Ji, Solvent Selection for the Detection of Siloxanes in Landfill Gas, J. Korean Env, Eng., 29(8), 915 (2007). 

  6. J.-S. Ahn and S. M. Lee, A Study on the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CH_4-CO_2$ Mixed Gas by Polyimide Hollow Fiber Membrane, Chemical Engineering, 34(6), 675 (1996). 

  7. D. H. Kim, Y. M. An, H. D. Jo, J. S. and H. K. Lee, Studies on the N2/SF6 Permeation Behavior Using the Polyethersulfone Hollow Fiber Membrances, Korean Membr. J., 19(3), 244 (2009). 

  8. H. H. Park, B. R. Deshwal, H. D. Jo, W. K. Choi, I. W. Kim, and H. K. Lee, Absorption of Nitrogen Dioxide by PVDF Hollow Fiber Membranes in a G-L Contactor, Desalination, 243, 52 (2009). 

  9. H. H. Park, B. R. Deshwal, I. W. Kim, and H. K. Lee, Absorption of $SO_2$ from Flue gas Using PVDF Hollow Fiber Membranes in a Gas-liquid Contactor, J. Membr. Sci., 319, 29 (2008). 

  10. Y. M. An, D. H. Kim, H. D. Jo, Y. S. Seo, Y. S. Park, and H. K. Lee, The Permeation Behaviors of H2S/CH4 Using Polyimide Hollow Fiber Membrane, J. Memb. Soc., Korea, 19(4), 261 (2009). 

  11. M. L. Cecopieri-Gomez, J. Palacios- Alquisira and, J. M. Dominguez, On the Limits Gas Separation in CO2/CH4, N2/CH4, and CO2/N2 Binary Mixture Using Polyimide Membranes, J. Membr. Sci., 293, 53 (2007). 

  12. J. Y. Park and D. R. Paul, Correlation and Prediction of Gas Permeability in Glassy Polymer Membrane Materials vis a Modified Free Volume Based Group Contribution Method, J. Membr. Sci., 125, 23 (1997). 

  13. T. H. Kim, W. J. Koros, G. R. Husk, and K. C. O'Brien, Relationship Between Gas Separation Properties and Chemical Structure in a Series of Aromatic Polyimides, J. Membr. Sci., 37, 62 (1988). 

  14. A. F. Ismail, T. D. Kusworo, and A. Mustafa, Enhanced Gas Permeation Performance of Polyethersulfone Mixed Matrix Hollow Fiber Membranes Using Novel Dynasylan Ameo Silane Agent, J. Membr. Sci., 319, 306 (2008). 

  15. T. Mohammadi, M. T. Moghadam, M. Saeidi, and M. Mahdyarfar, Acid Gas Permeation Through Poly(Ester Urethane Urea) Membrane, Ind. Eng. Chem. Res., 47, 7361 (2008). 

  16. G. J. Van Amerongen, "Influence of Structure of Elastomers on Their Permeability to Gases, J. Poylm. Sci., 3, 307 (195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