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시판 증류식 소주의 관능특성 분석
Sensory Profiling of Commercial Korean Distilled Soju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5, 2012년, pp.648 - 652  

이승주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박천수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김호경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증류식 소주 9종에 대해 묘사분석법을 적용하여 18가지의 관능특성을 도출하였다. 전반적으로 시료의 향, 맛, 입안감촉 관련 관능특성은 알코올 수준을 반영하여 시료간의 차이를 보였다. 재래 증류식 소주와는 달리 현대 증류식 소주는 균일화된 원재료의 사용과 생산 조건의 영향으로 복합적인 향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관능특성 분석과 더불어 이를 나타내는 주요한 향기성분에 대한 규명도 향후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이를 통해 향후 국내시장에서 다양한 증류식 소주의 품질 향상과 대중화에 기여하리라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nine commercially distilled soju samples were determined by sensory descriptive analysis. Eight aroma attributes, as well as four flavor/taste attributes, and six mouth-feel related attributes were evaluated by 9 judges. The descriptive data set was initially analyzed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탁주(12), 희석식소주(13,14), 약주(15), 위스키(16), 와인(17) 등의 관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된 것과 비교하면 우리 고유의 양조기술을 통해 제조되고 있는 증류식 소주의 관능특성에 대한 다양한 분석과 연구가 시급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으로 꾸준한 소비가 있는 9가지 시판 증류식 소주에 대해 일반적인 묘사분석 방법(generic descriptive analysis method)을 적용하여 관능적 특성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정량적인 평가를 실시하여 향후 증류식 소주 개발 및 개선에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 민속주인 증류식 소주로는 무엇이 있는가? 그리하여 전통적으로 단식증류기로 증류한 증류식 소주에 비해 곡류를 당화한 후 연속식 증류기를 이용하여 주정을 제조한 후 이를 물로 희석하고, 첨가물을 넣어 만든 희석식 소주가 우리나라의 가장 대중적인 술로 자리잡게 되었다(5,6). 현재 증류식 소주로는 전통 민속주로 문배주, 안동소주, 옥천한주 3종이 있고 그 외 일부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나 그 소비량은 저조한 실정이다(3,4). 그러나 최근 막걸리를 대표로 한 우리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발효주인 막걸리, 약주에 대한 연구 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고유한 증류주인 증류식 소주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희석식 소주가 우리나라의 가장 대중적인 술로 자리 잡게 된 배경은? 우리나라의 전통주는 역사적으로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소주, 탁주, 약주 등 다양한 형태의 술로 발전하였다(1). 조선후기에 이르러서는 양조기술이 발달하고 자유로워지면서 소주 제조장 수가 28,000여개에 이르렀으나 일제강점 초기 주세법의 시행에 따라 면허 없이 술을 제조할 수 없게 되면서 양조장 수가 크게 줄어들고 우리 고유의 전통적인 방식의 술 제조법 전승이 중단되었다(2,3). 또한 1965년에 양곡관리법의 시행에 따라 곡류를 사용한 술의 제조 및 판매가 금지되어 증류식 소주를 포함한 쌀을 주로 이용한 우리 술의 제조가 크게 위축되었다(3,4). 그리하여 전통적으로 단식증류기로 증류한 증류식 소주에 비해 곡류를 당화한 후 연속식 증류기를 이용하여 주정을 제조한 후 이를 물로 희석하고, 첨가물을 넣어 만든 희석식 소주가 우리나라의 가장 대중적인 술로 자리잡게 되었다(5,6).
전통적인 증류식 소주의 제조 원료로는 무엇을 주로 사용하는가? 그러나 최근 막걸리를 대표로 한 우리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발효주인 막걸리, 약주에 대한 연구 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고유한 증류주인 증류식 소주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전통적인 증류식 소주는 고려 말 원나라에서 전해졌다고 알려져 있으며, 제조 원료로는 찹쌀, 멥쌀, 밀, 보리 등을 주로 사용하였고 이에 따라 분류를 한다(1). 단식증류기로 증류하는 전통적인 증류식 소주는 제조장마다 양조 방법이 달라 전해 내려오던 방법이 변형되기도 하고, 없어지기도 하였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Lee SR. Hankuk eui Balhyo Sikpum (Fermented Foods of Korea). Ewha Press, Seoul, Korea. pp. 142-155 (1986) 

  2. Lee MK, Lee SW, Yoon TH. The bibliographical study on nuruk.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4: 19-29 (1994) 

  3. Bae SM, Jung SY, Jung IS, Ko HJ, Kim TY. Effect of the amount of water on the yield and flavor of Korean distilled liquor based on rice and corn starch.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 439- 446 (2003) 

  4. Ahn BH. Research status of traditional liquors. Bull. Food Technol. 7: 42-47 (1994) 

  5. Cho HC. Brewing the Alcoholic Liquor. Nexus Press, Seoul, Korea. pp. 96-103 (2004) 

  6. Won WH. Alcohol and Beverage. Baeksan Publishing, Seoul, Korea. pp. 189-190 (2003) 

  7. Yi HC, Moon SH, Park JS, Jung JW, Hwang KT. Volatile compounds in liquor distilled from mash produced using koji or nuruk under reduced or atmospheric press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880-886 (2010) 

  8. In HY, Lee TS, Lee DS, Noh BS.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ju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34-140 (1995) 

  9. Lee DS, Park HS, Kim K, Lee TS, Noh B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 soju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49-654 (1994) 

  10. Ryu LH, Kim YM. Esterification of alcohols with organic acids during distilled spirit distillation. Korean J. Food Nutr. 15: 295-299 (2002) 

  11. Lee DS, Park HS, Kim K, Lee TS, Noh BS. Determination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flavour components in the Korean folk sojues using GC-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750-758 (1994) 

  12. Lee CH, Lee HD, Kim JY, Kim KM. Sensory quality attributes of takju and their changes during pasteurization. Korean J. Diet. Culture 4: 405-410 (1989) 

  13. Jee JH, Lee HS, Lee JW, Suh DS, Kim HS, Kim KO.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liking of commercial sojues market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60-165 (2008) 

  14. Jee JH.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oju and sonsumer behavior on the liking.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007) 

  15. Lee SJ, Kwon YH, Kim HR, Ahn BH.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Korean commercial rice wines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374-380 (2007) 

  16. Yegge JM, Noble AC. The identification of sensory and non-sensory attributes of California Chardonnay wines that influence acceptance and purchase intent for differing segments of consumers. pp. 28-31. In: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of Enology and Viticulture 50th Anniversary Annual Meeting. June 18, Seattle, WA, USA. The American Society of Enology and Viticulture, Davis, CA, USA (2001) 

  17. Monica Lee KY, Paterson A, Piggott JR, Richardson GD. Sensory discrimination of blended Scotch whiskies of different product. Food Qual. Prefer. 12: 109-117 (2001) 

  18. Lee SJ, Lee KG. Understanding consumer preferences for rice wines using sensory data. J. Sci. Food Agr. 88: 690-698 (2008) 

  19. Monica Lee KY, Paterson A, Piggott JR, Origins of flavour in whiskies and a revised flavour wheel: A Review. J. Instit. Brew. 107: 287-313 (2001) 

  20. Schlich P. Uses of change-over designs and repeated measurements in sensory and consumer studies. Food Qual. Prefer. 4: 223-235 (1993) 

  21. Paterson A, Piggott JR. The contributions of the process of flavour in Scotch malt whisky. pp. 151-170. In: Distilled Beverage Flavour. Piggott JR, Paterson A (eds). Ellis Horwood, Chichester, UK (1989) 

  22. Lee SJ, Ahn BH. Sensory profiling of rice wines made with nuruks using different ingr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19-123 (2010) 

  23. Kim HR, Jo SJ, Lee SJ, Ahn BH.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prepared from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551-557 (2008)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