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Female Colleg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10, 2012년, pp.227 - 236  

허정철 (광주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 영역 가운데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나, 문제해결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성숙도 영역가운데 결정성, 독립성, 관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타협성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따라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대학 1학년때 부터 실시함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더 나아가 대학에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같은 교과목을 개설하여 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많은 도움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influence a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ha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had statistically s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런데 아직까지 진로탐색상담프로그램을 활용한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진로를 준비해야 하는 여자대학생들이 진로탐색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가 향상되는지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상 연구의 필요성에 의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먼저 결정성 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 것은, ‘직업의 세계 이해’ 시간에 학생들에게 다양한 사회복지 분야 가운데서 관심있는 분야를 선택하도록 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선택한 이유를 설명하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분야의 많은 자격증 가운데 취득하고 싶은 자격증을 선택하도록 하였으며, 취득하고 싶은 구체적인 이유를 설명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자원봉사활동을 선택하고 구체적인 이유를 설명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이 진로를 스스로 결정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 것으로 밝혀졌다.

가설 설정

  • 가설 1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하게 향상 될 것이다.
  • 가설 2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진로성숙도가 유의미하게 향상 될 것이다.
  • 위와 같은 이론적 배경에 따라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로탐색이란 무엇인가? 진로탐색이란 자신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자신의 욕구, 흥미, 적성, 능력, 가치에 대한 탐색과 직업세계의 정보와 이해를 통해 합리적으로 자신에게 적합한 직업을 탐색하는 것이라고 하였다[5]. 즉, 학생들은 진로탐색을 통하여 개개인의 소질, 적성, 흥미, 성격 등에 대한 이해와 진로발달 측면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자신의 진로의식을 촉진하며, 진로계획을 확립하고 현명한 진로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대학생활에서 가장 고민되는 문제는 무엇인가? 최근 들어 청년 실업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대학생들의 진로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학생활에서 가장 고민되는 문제가 바로 학업과 진로문제이며, 해년마다 그 비율이 증가되는 추세임을 여러 연구에서 밝히고 있다[10-13].
대학생 시절이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여 사회에 나가기 직전의 최종 준비 단계이자 실질적인 진로 결정 단계임에 따라 갖는 특징은 무엇인가? 실제로 대학생 시절은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여 사회에 나가기 직전의 최종 준비 단계이자 실질적인 진로 결정 단계이다. 따라서 발달 단계상 진로에 관한 생각을 가장 많이 할 수 밖에 없고, 자신에게 맞는 직업 및 진로를 찾기 위한 움직임을 그 어느 때보다도 활발히 전개해 나가야 할 때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대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걸어갈 길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도록 돕는 것이 절실하다고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연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 인간이해, 제19집, pp.1-20, 1998. 

  2. 강덕구,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 이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 박은성,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5. 정지숙,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6. 박미옥,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7. 이지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8. 김순옥, REBT를 적용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 그램이 일반계 여자고등학생들의 진로신화 및 진로정체감, 진로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9. 박경분,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0. 김헌수, 장기명, 이난,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적용이 대학생의 진로 및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제18권, 제1호, pp.261-278, 2004. 

  11. 박완성,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진로결정수준.진로정체감.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진로교육연구, 제18권, 제2호, pp. 203-216, 2005. 

  12. 고미나, 박재황,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진로탐색행동 및 진로결정 관계분석", 진로교육연구, 제21권, 제3호, pp.69-85, 2008. 

  13. 조규판, 주희진,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9권, 제2 호, pp.273-291, 2009. 

  14. 이윤우, 진석언, "여자대학생의 진로탐색 활동을 위한 직업카드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 여성, 제 16권, 제2호, pp.135-157, 2011. 

  15. 이윤우, "직업카드를 활용한 여대생의 집단 진로 탐색활동이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23권, 제1호, pp.119-133, 2010. 

  16. 허정철, "자기성장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486-495, 2011. 

  17.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6. 

  18. N. E. Betz and G. Hackett,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8, pp.326-339, 1981. 

  19. N. Mazurek and A. Shoemaker, Career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Implications for secondary and post-secondary service provider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089 763), 1997. 

  20. 김현옥,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 변인과의 상관관계", 한국직업교육학회, 제8권, 제1호, pp.143-160, 1989. 

  21. D. E. Super, "Vocational Development Theory : Persons, Positions and Processes," The Counseling Psychology, Vol.1, pp.2-20, 1969. 

  22. 김충기, 진로교육의 본질, 평민사, 1983. 

  23. 이혜경,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진로의사결정 및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4. 김경모,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남자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5. 강지윤, 김성지, "진로탐색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 인간이해, 제24집, pp.1-31, 2003. 

  26. N. E, Betz and K. K. Voyten, "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influenc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dness,"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46, No.2, pp.179-189, 1997. 

  27. 이기학, 이학주,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 정도에 대한 예언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2권, 제1호, pp.127-136, 2000. 

  28. J. O. Crites, "Career Maturity Inventory : Administration & user's manual(2nd ed.)", Monterey, CA : McGraw-Hill, 1978. 

  29. 김원중, 진로의식 성숙과 사회, 심리적 변인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