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남성의 금연동기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of Adult Male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4 no.5, 2012년, pp.520 - 530  

윤영미 (삼육서울병원) ,  양은경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  신성례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research analyzed the different factors that influenced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Methods: Subjects were both current and past male adult smoker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four small businesses in Seoul and one public enterprise in Gyeonggi-Province from December 10, 2011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흡사하게 분석된 연구는 아직 우리나라에 없는 실정이나 선행연구에 의하면 금연동기가 금연의 성공 예측요인중 하나로 제시된바 있다(Ha & Choi, 2012; Lee, 1999; Park & Lee, 1999;). 따라서 논의는 본 연구결과 금연동기의 평균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던 변수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상자들의 내적, 외적 금연동기 정도를 파악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흡연 특성 중 어떠한 특성이 금연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이와 흡사하게 분석된 연구는 아직 우리나라에 없는 실정이나 선행연구에 의하면 금연동기가 금연의 성공 예측요인중 하나로 제시된바 있다(Ha & Choi, 2012; Lee, 1999; Park & Lee, 1999;).
  • 본 연구는 성인남성 흡연 경험자들의 금연동기를 조사하여 금연동기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과거 흡연하는 성인들의 금연에 관련이 있었던 일반적 및 흡연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내재적/외재적 동기 부여 모델에 근거한(Curry et al., 1990) 성인남성 흡연 경험자들의 내재적, 외재적 금연동기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금연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므로 성공적 금연을 위한 금연중재 프로그램이나 금연동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남성 흡연 경험자의 금연동기와 그 영향 요인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기란 무엇인가? , 2009)에서 단순히 금연을 시도한 경우에 비해 금연동기가 뚜렷한 경우 장기 금연성공률이 높다고 하였고 성공적인 장기 금연에 이르도록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동기부여가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 바 있다. 동기란 행동을 강요하는 개인 내면의 추진력으로서 개인이 어떤 목적을 위하여 행동을 일정한 방향으로 작동시키려는 내적인 심리상태를 말한다(Kim, Jung, Jung, & Jin, 2000).
2011년 우리나라 성인 흡연자의 몇 퍼센트가 금연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가? 우리나라 성인남성의 흡연율은 2000년대에 들어 금연분위기 조성과 금연중심의 건강증진정책에 힘입어 매우 빠른 속도로 감소하여 2010년 하반기 조사부터는 40% 미만을 기록하였으나 구미 선진국의 20% 전후에 비해 아직 높은 수준이다. 2011년 현재 우리나라 성인 흡연자의 65.8%가 금연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6개월 내 금연 계획이 있는 자는 15% 정도에 그치고 있고 스스로 금연을 시도하는 사람들의 84.7%가 스트레스와 의지 부족, 습관으로 인하여 실패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성인 남성 흡연 경험자의 금연동기와 그 영향 요인을 조사하기 위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금연동기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한다. • 대상자의 흡연 관련 특성에 따라 금연동기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한다. • 일반적 및 흡연 특성 중 금연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2004, November). The why test. Retrieved November 20, 2011, from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 Web Site: http://www.aafp.org/online/en/home.html 

  2. Choi, J. H., Yang, Y. J., & Seo, H. G. (1995). Article: Smoking habit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of Korean medica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6 (2), 157-171. 

  3. Copeland, A. L., & Brandon, T. H. (2000). Testing the causal role of expectancies in smoking motivation and behavior. Addictive Behaviors, 25 (3), 445-449. http://dx.doi.org/10.1016/S0306-4603 (99)00003-9 

  4. Coppotelli, H. C., & Orleans, C. T. (1985). Partner support and other determinants of smoking cessation maintenance among wom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3, 455-460. http://dx.doi.org/10.1037/0022-006X.53.4.455 

  5. Curry, S. J., Wagner, E. H., & Grothaus, L. C. (1990).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for smoking cess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8 (3), 310-316. http://dx.doi.org/10.1037/0022-006X.58.3.310 

  6. DiClement, C. C., Prochaska, J. O., Fairhurst, S. K., Velicer, W. F., Velasquez, M. M., & Rossi, J. S. (1991). The process of smoking cessation: An analysis of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and preparation stages of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9 (2), 295-304. http://dx.doi.org/10.1037/0022-006X.59.2.295 

  7. Fagerstrom, K. O. (1978). Measuring degree of physical dependence to tobacco smoking with reference to individualization of treatment. Addictive Behaviors, 3 (3-4), 235-241. http://dx.doi.org/10.1016/0306-4603 (78)90024-2 

  8. Fiore, M. C., Bailey, W. C., Cohen, S. J., Bailey, W. C., Benowitz, N. L., Curry, S. J., et al. (2000). Treating Tobacco Use and Dependenc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Rockville, M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ublic Health Service. 

  9. Ha, M. H., & Lee, D. H. (2000). Predictors of quitting smoking - results of worksite smoking cessation campaign of a steel manufacturing industr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 Medicine, 12 (2), 170-178. 

  10. Ha, Y. S., & Choi, Y. H. (2012). Effectiveness of a motivational interviewing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cessation change in adolescents.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42 (1), 19-27. http://dx.doi.org/10.4040/jkan.2012.42.1.19 

  11. Ham, O. K., & Yoo, J. B. (2008). Smoking temptation,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counseling among users of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services provided by a public health center.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22 (2), 246-254. 

  12. John, R., & Hughes, M. D. (2003). Motivating and helping smokers to stop smoking.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8 (12), 1053-1057. http://dx.doi.org/10.1111/j.1525-1497.2003.20640.x 

  13. Jun, Y. W. (2006).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at smoking-cessation clinic of a public health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4. Kim, C. H., & Seo, H. G. (2001).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at smoking-cessation clinic. Journal of Korea Academy of Family Medicine, 22 (11), 1603-1611. 

  15. Kim, E. J., & Kim, M. (1991).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stop smoking by some middle-aged men in Seoul.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8 (1), 45-58. 

  16. Kim, S. B., Jung, M. Y., Jung, H. S., & Jin, J. K. (2000). Organizational behavior. Seoul: MinYougSa. 

  17. Kim, S. J., Moon, S. Y., & Han, K. S. (2002). The actual condition of smok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3 (1), 147-160. 

  18. Kwon, S. K. (2005). Nursing leadership. Seoul: Yehamedia. 

  19. Lee, E. S., & Seo, H. G. (2007).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 Academy of Family Medicine, 28 (1), 39-44. 

  20. Lee, H. S. (1999). Motivational Interviewing for smoking cess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 (11), 1604-1610. 

  21. Lee, J. S., Kang, S. M., Kim, H. J., Lee, K. Y., Cho, B., & Goh, E. (2009). Long-term maintenance of smoking cessation and related factors of relaps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30 (3), 203-209. http://dx.doi.org/10.4082/kjfm.2009.30.3.203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November). 2011 Smoking prevalence. Retrieved November 20, 2011, from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Web Site: http://www.mw.go.kr/front/mw_sch/index.jsp 

  23. Nam, W. O. (2006). Determinants of the will to quit smoking in a count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llym University, Chuncheon. 

  24. Park, I. H., & Lee, H. S. (1999). Motivational interview.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 (11), 1599-1603. 

  25. Prochaska, J. O., & DiClemente, C. C. (1982). Transtheoretical therapy: Toward a more integrative model of change.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19 (3), 276-288. http://dx.doi.org/10.1037/h0088437 

  26. Richmond, R. L., Kehoe, L. A., & Webster, I. W. (1993). Multivariate models for predicting abstention following intervention to stop smoking by general practitioners. Addiction, 88 (8), 1127-1135. http://dx.doi.org/10.1111/j.1360-0443.1993.tb02132.x 

  27. Shin, K. K. (1999). Brief outpatient approach to smoking cess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 (5), 510-519. 

  28. Son, H. M. (2005). Differences in processes of change, decisional balance, and temptation across the stages of change for smoking cess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5), 904-913. 

  29. Song, T. M. (2011). Changes in smoking rates of male adults in Korea and smoking cessation policy: Focus on smoking cessation clinics. Korea Health and Welfare Forum (2011.03), 55-63. 

  30. Suh, J. E., & Kang, I. S. (2008). The success experience of smoking cessation by adult males. Korea Center for Qualitative Methodology, 9 (1), 1-10. 

  31. Suh, K. H., Kim, K. H., & Jun, I. D. (2008).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centered smoking intervention and abstention facto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3 (3), 705-726. 

  32. Zimmerman, R. S., Warheit, G. J., Ulbirch, P. M., & Auth, J. B. (1990).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use and attempts and success at smoking cessation. Addictive Behaviors, 15 (3), 197-207. http://dx.doi.org/10.1016/0306-4603(90)9006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