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장 남성의 스트레스 및 정서 상태에 따른 금연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Stress and Emotional Status of the Korean Male Office Work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2, 2013년, pp.6364 - 6372  

양미영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  안경민 (삼육보건대학교 뷰티헤어과) ,  손애리 (삼육대학교 보건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직장 남성의 스트레스 및 정서 상태에 따른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해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간접흡연(Zero), 연기 없는 직장 금연캠페인"에 참가한 C회사의 흡연자 106명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25일부터 12월까지 8개월 간 조사하였으며,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금연 동기, 정서 상태, 스트레스 대처행동, 생활 스트레스, 희망, 직무 만족도의 정서적 변수를 가지고 사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성공자에 한 해 금연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30대 이상의 연령층과 기혼에서 금연 성공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비성공자와 성공자의 정서적 변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공자의 사전 사후 효과 분석을 한 결과 금연 동기와 관련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불안관련정서상태, 스트레스 대처행동, 직무 만족도에서 경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직장인 남성이 금연에 성공하려면 금연동기와 불안이나 스트레스 대처가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를 적용하는 금연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금연캠페인의 메시지도 핵심집단(target audience)별로 정서적 측면을 강조한 메시지 개발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non-smoking program according to the stress and emotional condition of male office workers. As research subjects, 106 smokers at C company who participated in the campaign of "No Second-Hand Smoking and No Cigarette Smoke at Work" from April 25, 2011 to Decemb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접흡연(Zero), 연기 없는 직장 금연 캠페인”은 흡연 및 간접흡연의 유해성을 인식시키고 간접흡연 위험에 대해 충분한 지식습득을 갖춘 직장인 금연전도사를 육성하고자 함이며, 건강한 습관과 가치관 형성을 통해 건강한 생활습관을 갖고, 지속적인 금연교육과 상담을 통해 가족과 지역사회 및 직장에서 금연도우미 역할을 실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직장 남성 흡연자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정서상태가 금연성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사)국제절제협회 주관으로 2011년 4월 5일부터 12월까지 시행 된 “간접흡연(Zero), 연기 없는 직장 금연캠페인”에 참가한 흡연자를 대상으로 금연 성공자와 비성공자의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며, 특히 금연성공자의 심리·정서적 요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효과적인 금연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금연 프로그램에 참가한 금연 성공자와 비성공자의 금연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특히 다각적 교육방법을 적용한 금연 프로그램이 직장남성의 스트레스 및 정서 상태와 금연에 미친 효과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직장 내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한 금연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금연 성공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정서적 요인을 통한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봄으로서 흡연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금연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사)국제절제협회 주관으로 2011년 4월 5일부터 12월까지 시행 된 “간접흡연(Zero), 연기 없는 직장 금연캠페인”에 참가한 흡연자를 대상으로 금연 성공자와 비성공자의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며, 특히 금연성공자의 심리·정서적 요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효과적인 금연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금연 프로그램에 참가한 금연 성공자와 비성공자의 금연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특히 다각적 교육방법을 적용한 금연 프로그램이 직장남성의 스트레스 및 정서 상태와 금연에 미친 효과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제 흡연자들의 보고에 의하면, 흡연자들은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는가? 실제 흡연자들의 보고에 의하면, 스트레스 상황에서 쉽게 흡연을 하며 금연 이후에도 강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다시 흡연을 하게 된다고 한다. [3]의 연구에 의하면 성인 흡연자들은 금단증상을 막기 위해 담배를 피우게 되나 담배를 피우지 않는 동안 더 큰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다양한 금연상담프로그램들이 시행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7%가 스트레스와 의지부족, 습관으로 인하여 금연에 실패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 금연에 대한 욕구는 높으나 앞서 밝힌 장애요인들로 인해 개인의 노력만으로 담배를 끊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경우 보건복지부와 각 지역 보건소를 통해 다양한 금연상담프로그램들이 시행되고 있으며, 미국은 공공장소에서의 흡연금지, 담배 구매 허용연령 상승, 연방 담배세 인상 등의 강력한 흡연규제 정책으로 금연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5].
직장 실내의 남자가 간접흔연 노출이 가장 많은 집단이라고 뒷받침하는 자료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1995년에 국민건강증진법 상 대부분의 공중시설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한 이래 흡연의 폐해를 알리는 공중보건사업에 노력을 기울여왔음에도 불구하고 OECD 국가 중 여전히 높은 편이며[1], 이는 간접흡연의 위험 또한 높음을 암시한다. 현재 비흡연자의 직장실내 간접흡연노출률(만 19세 이상, 표준화)은 2011년 남자 55.2%, 여자 37.2%이었으며, 가정실내 간접노출률(만 19세 이상, 표준화)은 남자 4.9%, 여자 16.7%로, 남녀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2].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비흡연자임에도 불구하고 간접흡연 노출이 가장 많은 집단은 직장 실내의 남자임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MIHWFA], 2009. 

  2. Ward BW et al. Early release of selected estimates based on date from the 2011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2012. (http://www. cdc.gov/nchs/nhis.htm) 

  3. No Smoking Guide. Stress & Cigarette, Available From: http://www.nosmokeguide.or.kr/properly/properly2_05_0 3.asp, (accessed Oct., 2013) 

  4.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MIHWFA], Retrieved November 20, 2011. (http://www.mw.go.kr/front/mw_sch/index.jsp) 

  5. I. H. Ko, Fast-growing electronic cigarette market in the United States, Herald, November, 2013.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31104000041 &md20131107005020_AT) 

  6. S. A. Kim, The Effects of Childhood Psychosocial Predictors on Middle School Adolescent Drinking and Smoking, Journal of Social Science, 20(4), 1-25, 2009. 

  7. N. H. Park,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o-social Factors and Smoking, Drinking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4), 123-136, 2005. 

  8. H. J. Sho, Exploring Young Adult Smokers' Cognitive Structure of Smoking Behavior for Effective Anti-smoking Communication Campaign Messages, Journal of advertising, 23(4), 77-96, 2012. 

  9. S. A. Kim, The Effects of Psychosocial Predictors during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on Adolescent Drinking and Smoking,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21(3), 31-57, 2010. 

  10. K. H. Suh, Health Psychological Approach toward Women's Cigarette Smoking, Korean Academic Society of Women Health, 4(1), 1-21, 2003. 

  11. S. H. Yoon, J. Y. Bae, S. W. Lee, Depression, Drinking and Smoking among Korean Men,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19, 31-50, 2006. 

  12. S. R. Son,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moking Status, Nicotine Dependence in Korean Workers, The Graduate School of Dong-A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December, 2011. 

  13. Y. M. Yoon, "Influencing factor on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of adult Male",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of Sahmyook University, Jun, 2012. 

  14. S. H. Yoo,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hort term success of smoking-cessation at public health centers smoking-cessation clinic,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2006. 

  15. E. Y. Kim,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University, 2006. 

  16. H. K. Yan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cessation at public health centers smokingcessation clinic, Department of Nursing,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9. 

  17. Y. H. Kim,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for Six Months in the Smoking Cessation Clinic of a Public Health Center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4), 433-442, December, 2009. DOI: http://dx.doi.org/10.4040/jkan.2009.39.3.433 

  18. K. S. Park, The Analysis of Successful Factor for Users of Smoking Cessation Clinic in a Community Health Center: Focused on Participants in C Health Center, Department of Nursing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1. 

  19. G. H. Yoo, The Effects of Anti-smoking Policy in Workplace on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2011. 

  20. Y. M. Yoon, Influencing factor on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of adult Males,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of Sahmyook University, August,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