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지역 전통향토음식을 이용한 정식 및 별미식 식단 구성
Constitution of Formal and Informal Meals Consisting of Traditional Local Foods in Busa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0, 2012년, pp.1467 - 1474  

김현숙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우민지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김현주 (세계김치연구소) ,  송영옥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해산물 사용이 높아 고단백, 고섬유질 식품으로 알려진 부산지역 향토음식으로 가정에서 일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식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부산향토음식에 관해 문헌 및 구두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중 가장 많이 조사된 겨울철 부산 향토음식을 기준으로 3첩 반상형 정식 식단 5종 및 별미식 식단 5종을 구성하였다. 정식 식단 I형은 흰밥, 시래기 된장국, 배추김치, 굴깍두기, 시금치나물, 매운잡채, 돼지수육, 배추속쌈, 보리막장으로 구성하였다. 정식 식단 II형은 흰밥, 소고기무국, 배추김치, 멸치섞박지, 겨울초 겉절이, 매집찜, 생미역귀 초회로 구성하였다. 정식 식단 III형은 오곡밥, 보름지짐이, 동치미, 9가지나물, 각색산적, 김구이로 구성하였고 정식 식단 IV형은 흰밥, 가자미 미역국, 배추김치, 소라김치, 몰한치 생채, 조개찜, 각색산적으로 구성하였다. 정식 식단 V형은 흰밥, 까시리김치국, 대구아가미젓 무김치, 조기구이, 토란대 들깨나물, 계란찜, 버섯초회로 구성 하였다. 별미식 식단 I형은 홍합죽, 배추김치, 동치미, 미역 설치, 코다리 조림, 늙은 호박전으로, 별미식 식단 II형은 굴떡국, 배추김치, 마른 가자미조림, 까막발이털털이 초회, 도토리묵, 오징어 젓갈로 구성하였다. 별미식 식단 III형은 김치국밥, 연두부 계란탕, 갈치섞박지, 삼색나물, 대구찜, 다시마튀각으로 구성하였고 별미식 식단 IV형은 동지팥죽, 배추김치, 동치미, 톳나물두부무침, 각색산적, 늙은 호박전으로 구성하였다. 별미식 식단 V형은 콩칼국수, 갓김치, 멸치섞박지, 몰설치, 해물전으로 구성하였다. 식단의 영양성분을 성인 남자 30~49세 한 끼 영양섭취기준과 비교하였을 때, 정식과 별미식 모두 저열량, 고단백식, 고 식이섬유식으로 나타났다. 비타민의 함량은 정식 식단별로 차이가 있었고, 별미식 식단은 적정 수준 이었다. 정식 I형은 Vt. A를 제외하고 모든 비타민 함량이 KDRI보다 낮았으며 정식 V형은 Vt. C 함량이 KDRI의 50% 수준이었다. 칼슘, 철분, 아연, 나트륨, 칼륨 등의 무기질 함량은 정식 및 별미식 식단 모두에서 KDRI보다 높게 나타났다. 개발된 식단의 재료 사용 및 조리방법은 중복도가 낮고, 주식과 부식의 어울림, 지역적 특성, 영양균형, 식단 구성의 다양성 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식단은 가정에서 전통 한식을 손쉽게 준비할 수 있는 활용성이 높은 식단으로 생각된다. 식단준비 시 해산물의 염분을 충분히 제거하는 점이 요청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troduce menus consisting of traditional local foods consumed in Busan, Korea. Five different types of formal meal menus with three side dishes and five different types of informal meal menus of which the main dish was not cooked rice were developed. Scores for the menu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단 구성을 위하여 부산지역 향토음식을 계절별로 조사한 후 가장 많이 조사된 겨울철 향토음식을 중심으로 향토음식 조리법의 표준화를 실시하였고, 재료 및 조리법이 중복되지 않도록 식단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식단의 영양 성분분석을 통하여 식단의 영양적 우수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해산물 사용이 높아 고단백, 고섬유질 식품으로 알려진 부산지역 향토음식으로 가정에서 일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식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부산향토음식에 관해 문헌 및 구두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중 가장 많이 조사된 겨울철 부산 향토음식을 기준으로 3첩 반상형 정식 식단 5종 및 별미식 식단 5종을 구성하였다.
  • 부산지역에서 일상으로 섭취해 온 전통향토음식을 바탕으로 식단 개발을 하기 위하여 부산지역 전통향토음식에 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조사는 한국전통향토음식 관련 학술논문(4-7,17-22) 및 서적(23,24)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문헌에 수록되어 있는 않은 자료는 구두조사로 실시하였다.
  • 따라서 부산지역의 향토음식은 바닷가를 중심으로 발달한 음식으로 타 지역의 향토음식에 비해 단백질 및 식이섬유소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지역 향토음식으로 3첩 반상 형태의 정식 식단 5종과 별미식 식단 5종을 구성하여 다양한 식단을 제안함으로써 향토음식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식단 구성을 위하여 부산지역 향토음식을 계절별로 조사한 후 가장 많이 조사된 겨울철 향토음식을 중심으로 향토음식 조리법의 표준화를 실시하였고, 재료 및 조리법이 중복되지 않도록 식단을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토음식이란? 향토음식은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재료 또는 그 지역의 고유 조리법으로 만든 음식(1)으로 지역적 특성이 강한 반면, 전통음식은 예로부터 전해내려 온 음식을 총괄하여 지칭하는 용어로 향토음식도 이에 포함된다. 현대에서는 지역별 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향토음식과 전통음식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사용하지 못하고 양쪽 의미를 모두 포함한 전통음식 또는 전통향토음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전통 한식 상차림의 부식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그러나 별미식의 찬에 대하여는 정식의 찬과 같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보아 동일 종류의 찬을 사용하나 그 가짓수가 정식에 비해 간단한 것으로 생각된다. 전통 한식 상차림의 부식은 대부분 채식 또는 발효식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지방의 비율이 낮고 식이섬유소의 함량이 높아 건강식으로 알려져 있다(20). 지금까지의 전통음식 연구는 세시음식, 명절음식, 관혼 상제 시의 행사음식에 사용한 일품요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고, 가정에서 일상으로 섭취하여 온 일반식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부산지역의 향토음식이 바닷가를 중심으로 발달하고 단백질 및 식이섬유소의 함량이 높은 특징은 어떤 배경 때문인가? 건강식으로 각광받는 전통 한식은 일품요리 위주의 식단보다 항상 섭취할 수 있는 일상식으로 개발되어 이용될 때 그 효과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되나 이들 전통음식을 이용한 식단 개발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다. 부산은 바다, 강, 평야 및 산에 둘러싸여 있어 예로부터 해산물, 민물 수산물, 농산물 및 임산물 등의 식재료가 4계절 풍부하였고, 겨울철 기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편이어서 겨울철 해조류인 다시마, 미역, 까막발이, 모자반, 톳 등의 다양한 해조류와 멸치, 대구 등의 겨울철 어류가 풍부하였다. 따라서 부산지역의 향토음식은 바닷가를 중심으로 발달한 음식으로 타 지역의 향토음식에 비해 단백질 및 식이섬유소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in GH. 2003.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traditional foods of university student in Jeonla-Buk area. Korean J Culinary Res 9: 127-147. 

  2. Lee SH, Park YB. 2002. Tour experience program development a utilizable cooking peculiar of an Andong locality. Korean J Culinary Res 8: 147-168. 

  3. Kim JS, Kim SA. 2007. A study on excavation and transmission of native local foods in the Namhae region-recipes and nutrients of various fish soups-. Korean J Culinary Res 13: 47-58. 

  4. Kim SM, Kim HS, Lim JA. 2007. Recipe standardization of native local foods in Gijang region (the second report)- Miyeokseolchi , Molseolchi , Gijangumuk, Seokbakji-. Korean J Culinary Res 13: 220-231. 

  5. Kim SM, Kim HS, Lim JA. 2007. Recipe standardization of native local foods in Gijang region (the first report)- Myeolchijjigae, Galchijjigae, Maejipjjim-. Korean J Culinary Res 13: 68-79. 

  6. Kim SA, Shin ES. 2007.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Dong-rae Pajeon" (local food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72-1481. 

  7. Kim SA, Kwon SJ. 2004.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native local foods in Gyeongsangnamdo reg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405-411. 

  8. Min KH.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 foods and tourism merchandising in Gimje area. J Korea Tourism Res 24: 295-309. 

  9. Jang SO, Lee YJ. 2009. A study of residents' recognition and tourism merchandising intention of native local foods in Yeongcheon reg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452-466. 

  10. Lee SH, Kim SH, Jung LH, Jung JW, Jeon KC, Kim HK. 2010. Studies on commercialization of Korean native foods -focused on Boseong area-. Korean J Culinary Res 16: 43-52. 

  11. Ahn GD, Song KH, Lee HM. 2010. Utilization status and efforts to increase usage of traditional foods in school lunch according to dietitians' preferenc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5: 550-559. 

  12. Kim MH, Choi MK, Kim MW, Eom AY. 2011.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the preferences for traditional Korean food served at the middle school good service in the Gyeonggi area. Korean J Food & Nutr 24: 54-64. 

  13. Oh NY, Han MJ. 2009.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Food Culture 24: 359-365. 

  14. Bae YM, Song DH, Ahn HS. 2011. Perceptions of traditional Korean foods and satisfaction levels toward school food servi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parents of schools serving traditional Korean menus in Gyeonggi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17: 118-129. 

  15. Baek JO. 2009. A study on the university students' attitude and importance of native local foods in Busan and Gyeongnam areas. Korean J Culinary Res 15: 137-148. 

  16. Kim SB, Chang CS. 1998. Food culture interchange in the Korean-Japanese relations including the Chosun communication facilities (correspondents of Chosun): 3. The path of Chosun communication facilities (correspondent of Chosun) and the reception for them in Japan. Korean J Dietary Culture 13: 431-434. 

  17. Cho YB, Jung JW, Yoon TH, Kim SM, Park KT, Choi HM, Kim KM. 2007. Research on development plan of native local food in Busan area-focused on Dongrae-Pajeon, pan-fried green onion pancake-. Korean J Culinary Res 13: 19-30. 

  18. Shin AS. 2000. A research of traditional & native local foods in Busan. Korean J Culinary Res 6: 67-78. 

  19. Jung SH. 2009.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som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using in school meal service concerning Busan, Kyeongsang-namdo local foods. MS thesis. University of Silla, Busan, Korea. p 4-32. 

  20. Kim SA, Shin ES. 2007.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Dong-rae Pajeon" (local food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72-1481. 

  21. Kim SA. 2002. The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Aguyjjim (local food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1142-1149. 

  22. Rhee SH, Kong KR, Jung KO, Park KY. 2003. Decreasing effect of Kochujang on body weight and lipid levels of adipose tissues and serum in rats fed a high-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82-886. 

  23. Gijang Culinary Research. 2003. Native Local Food of Gijang. Gijang County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Busan, Korea. p 22-99. 

  24. Gijang county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2004. Season food of Gijang. Gijang County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Busan, Korea. p 30-78. 

  2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8. Gyeongsangnamdo. Kyomunsa, Seoul, Korea. p 2-30. 

  26. Institute of traditional Korea Food. 2010.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for the standardization of Korean cuisine. The beauty of Korean Food 300. 1st. Jilsiru, Seoul, Korea. p 64-99. 

  27. Choi JS. 2007.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local food industry. Munwonsa, Seoul, Korea. p 150-152. 

  2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 Food Composition Table. 7th e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325-341. 

  29. Kim HS. 2011. The Representation and standardization of native Local foods in the winter season of Busan region. MS thesis. University of Pusan, Busan, Korea. p 4-32. 

  30. Kim SM, Kim EH, Park SY, Choi SH. 2002. The fish story. Hyoil Publisher, Seoul, Korea. p 84-87. 

  31. Son SM, Park YS, Lim HJ, Kim SB, Jeong YS. 2007. Sodium intakes of Korean adults with 24-hour urine analysi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and comparison of sodium intakes according to the regional area and dish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 545-558. 

  32. Kim HR, Seog EJ, Lee JH, Rhim JW. 200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nion powder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42-3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