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S-SPME GC/MS법을 이용한 일본왕개미의 trail pheromone 성분 분석
Analysis of the composition of trail pheromone secreted from live Camponotus japonicus by HS-SPME GC/MS (Head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25 no.5, 2012년, pp.292 - 299  

박경은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이동규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권성원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이미영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GC/MS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는 훌륭한 분리능과 재현성으로 인해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정립된 데이터베이스의 활용을 통한 성분 분석에서 활용도가 높다. 또한 HS-SPME (headspacesolid phase micro extraction)법은 용매로 추출을 하지 않은 휘발성 물질의 추출을 하는데 널리 사용되었다. 이 두 방법의 연계는 다양한 시료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성분의 분석에 널리 활용되었다. 위 특징을 이용하여 살아있는 Camponotus japonicus가 분비하는 미량의 페로몬 구성 성분의 분석 방법을 확립하였다. n-Decane, n-undecane, n-tridecane 등의 물질이 미량 페로몬에서 검출되었으며, 이 탄화수소들을 분석하는데 적합한 SPME fiber, 추출 온도, 추출 시간을 최적화하였다. 살아있는 시료를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현상이 발생하는 그 순간을 분석하는 장점이 있는 한편, 살아있는 시료를 분석하기 때문에 추출 시간 등이 제한된다는 한계점이 있었으나 살아있는 HS-SPME GC/MS 분석방법이 정립된다면 살아있는 시료를 죽일 필요 없다는 점에서 친환경적인 연구의 발전에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C/MS has been utilized for many applications due to great resolution and reproducibility, which made it possible to build up the database of mass spectrum, while HS-SPME has the advantage of solventfree extraction of volatile compounds.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methods, HS-SPME GC/MS, enabled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2 그러나 이는 dufuor gland에서 발견된 것이며, 분비된 페로몬에서의 성분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S-SPME GC/MS를 이용하여 분비된 페로몬의 구성성분에 대해서 밝히고자 한다.
  • 따라서 개미의 의사소통에 대한 연구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살아있는 생물의 분비물에 대해 분석이 가능한 HS-SPME GC/MS를 이용하여 개미가 분비하는 페로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실험에서 사용하는 C.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살아 있는 시료에 대한 HS-SPME 법의 장점은? 살아 있는 시료에 대한 HS-SPME 법은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시료를 손실시키지 않고 다시 활용할 수 있으며, 시료가 살아있는 동안에만 발견할 수 있는 현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둘째로, 유기용매를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연구 진행의 안정성과 환경친화적인 연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연구원들의 건강에 해를 끼치지 않는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Camponotus japonicus란? Camponotus japonicus는 한국과 일본에서 흔하게 발견할 수 있는 개미로서11 아직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은 상황이다. Semiochemical 중 Camponotus 속에게서 관찰되는 페로몬의 정성분석은 현재 연구되어있으나, 살아있는 개미가 직접 분비하는 페로몬이 아닌 페로몬의 저장고인 dufuor gland를 적출하여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12-14 이는 분비물이 아니고, 분비 직전의 페로몬에 대한 연구일 뿐이다(Fig.
GC/MS의 활용도가 높은 이유? GC/MS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는 훌륭한 분리능과 재현성으로 인해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정립된 데이터베이스의 활용을 통한 성분 분석에서 활용도가 높다. 또한 HS-SPME (headspacesolid phase micro extraction)법은 용매로 추출을 하지 않은 휘발성 물질의 추출을 하는데 널리 사용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J. Lisec, N. Schauer, J. Kopka, L. Willmitzer and A. R. Fernie, Nat. Protocols, 1(1), 387-396 (2006). 

  2. A. Kende, D. Portwood, A. Senior, M. Earll, E. Bolygo and M. Seymour, J. Chromatogr A, 1217(43), 6718- 6723 (2010). 

  3. J. H. Kim, Anal. Sci. Technol, 24(2), 119-126 (2011). 

  4. M. S. Yu, S. B. Yang and N.-K. Ha, J. Envir. Sci., 19(12), 1447-1454 (2010). 

  5. M. N. Kayali-Sayadi, J. M. Bautista, D. Polo, amp, x, L. M. Ez and I. Salazar, J. Chromatogr B, 796(1), 55- 62 (2003). 

  6. W. Miekisch, P. Fuchs, S. Kamysek, C. Neumann and J. K. Schubert, Clin. Chim. Acta, 395(1-2), 32-37 (2008). 

  7. A. Mallouchos, M. Komaitis, A. Koutinas and M. Kanellaki, J. Agr. Food Chem., 50(13), 3840-3848 (2002). 

  8. K. Fiedler, E. Schtz and S. Geh, Int. J. Hyg. Envir. Heal, 204(2-3), 111-121 (2001). 

  9. C. A. Zini, F. Augusto, E. Christensen, E. B. Caramo and J. Pawliszyn, J. Agr. Food Chem, 50(25), 7199- 7205 (2002). 

  10. B. D. Jackson and E. D. Morgan, Chemoecology, 4(3), 125-144 (1993). 

  11. Z. Liu, S. Yamane, Q. Wang and H. Yamamoto, J Ethol., 16(2), 57-65 (1998). 

  12. N. Fujiwara-Tsujii, N. Yamagata, T. Takeda, M. Mizunami and R. Yamaoka, Zool Sci., 23(4), 353-358 (2006). 

  13. U. Haak, B. Hlldobler, H. J. Bestmann and F. Kern, Chemoecology, 7(2), 85-93 (1996). 

  14. T. H. Jones, D. A. Clark, A. A. Edwards, D. W. Davidson, T. F. Spande and R. R. Snelling, J. Chem. Ecol., 30(8), 1479-1492 (2004). 

  15. G. Janssens, Anal. Chim. Acta, 95(2), 153-159 (1977). 

  16. R. B. Josens, W. M. Farina and F. Roces, J. Insect. Physiol., 44(7-8), 579-585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