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요 구성지방산이 Oleic acid인 유채유, 동백유, 올리브유와 Palmitic acid가 주요 구성 지방산인 팜유를 기준으로 중량비로 혼합하여 지방산 조성 및 물성변화를 관찰 하였다.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50:50(w/w)비율에서는 Oleic acid은 유채유와 대두유의 혼합 시 42.8%로 가장 낮았고 동백유와 유채유의 혼합비율에서 72.1%로 가장 높았다. 75:25(w/w)유채유와 대두유 혼합비율에서 가장 낮았고 동백유와 올리브유의 혼합비에서 가장 높았다. 팜유를 기준으로 식물성 유지를 혼합하였을 시에는 다른 유지와 혼합 후 총 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다. 혼합 후 지방산 조절을 통한 산화안정성 및 저온에서의 유동성 개선이 기대 된다. 혼합 후 동백유 > 올리브유 > 유채유 순으로 산가 안전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Oleic acid 함량에 따라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혼합을 통한 산화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색도는 비율 및 유지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바이오디젤 생산 정제공정에 있어서 혼합비율 조절에 따른 정제비용 절감이 기대 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지간 혼합에 의한 특성변화를 확인하고, 혼합유의 원료 다양성 확보 및 품질개선을 위한 정보를 얻어 향후 연구수행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re have been lately many worldwide resource challenges such as potential exhaustion of fossil fuels, sudden rise of oil price and ever-rising grain pricing due to global food crisis, there have been more interests focused on recycling vegetable oils and fats into clean natural fuel and produ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과정에서 어떠한 원료로 부터 생산된 바이오디젤을 사용했느냐에 따라 연료특성의 변화가 야기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포화 지방산 Oleic acid(C18:1)의 함량이 높은 동백유, 올리브유, 유채유와 포화지방산이 많아 산화안정성이 우수한 팜유를 대상으로 하여 주요 식물성 기름의 혼합에 의한 지방산 조성변화를 분석하고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바이오디젤의 원료 다양성 확보 및 품질개선을 위한 정보를 얻어 향후 연구수행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바이오디젤의 원료는 무엇에 의존하고 있는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폐유지를 원료로 이용하여 생산한 바이오디젤 생산비를 약 50%이상의 감소 효과와 식량파동에 따른 원료 수급 문제를 다소 해결할 수 있다는 이점을 동시에 얻을 수 있을 것이다(이, 2004). 현재 대부분의 바이오디젤 원료 역시 외국으로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다양한 원료물질로부터 생산된 바이오디젤은 정유사를 통해 일정비율로 혼합된후,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어떠한 원료로 부터 생산된 바이오디젤을 사용했느냐에 따라 연료특성의 변화가 야기될 가능성이 있다.
국내의 대표적인 유지는? 국내의 대표적인 유지는 참깨, 들깨, 유채, 땅콩 등이 있으며, 탄수화물, 단백질과 함께 3대 영양소의 하나로 높은 에너지원이고 물질의 운반체로서 세포막 구성, 피하조직, 장기 보호 작용 및 유수신경의 절연체 역할을 하는 등 생체에 매우 중요한 성분이다(May et al., 1983).
유지는 불포화도가 높을수록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가? 또한 액체로서의 운반기능, 유용성, 고열량, 저유황분, 낮은 방향족 함량 및 생물 분해 등이 있다. 유지는 불포화도가 높을수록 자동산화 속도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각 지방산별 산화 속도를 살펴보면 Linolenic acid : Linoleic acid : Oleic acid : Stearic acid 이 각각 179 :114 : 11 : 1의 비율로 알려져 있다(Kim, 1998). 특히 단일 불포화지방산(Monounsaturated fatty acid)인 Oleic acid(C18:1)은 이중결합수가 1개인 불포화지방산으로 융점이 낮고, 불포화지방산 중에서 산화안정성이 높으며 저온에서의 유동성이 우수하여 바이오디젤 원료로도 적합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hn, T.H., J.S. Kim, S.J. Park, H.W. Kim, K.M. Park and C.U. Choi. 1991. Antioxidative effect of commercial lecithin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perilla oil. J. Korean Food Sci. Technol. 23(3):251-255. 

  2. AOAC. 198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3. AOCS. 2003. Official Method cd 3d-63, "Acid Value", Official Method and Recommended practices of the AOCS, 15th Ed. AOCS. Champaign, Illinois, USA. 

  4. Bang, H.A., H.J. Cho, S.C. Kim and C.H. Park. 1999. Antioxidative effect of blended vegetable oils. J. Natural. Sci. 18:90-95. 

  5. Casal, S., R. Malheiro, A. Sendas, B.P.P. Oliveira and J.A. Pereira. 2010. Olive oil stability under deep-frying conditions. Food & Chem. Toxi. 48:2972-2979. 

  6. Gapor A., A. Kato and A.S.H. Ong. 1986. Tocopherol content in oil palm leaflet. J. American Oil Chem. Soc. 63(3):330-331. 

  7. Hemalatha, S. and Ghafoorunissa. 2007. Sesame lignans enhance the thermal stability of edible vegetable oils. J. Food Chem. 105(3):1076-1085. 

  8. Hyun, Y.H. 2002. The study on the thermal oxidation of mixed rapeseed oil with coconut and palm oil. J. Korean Food & Nutr. 15(4):342-249. 

  9. Jang, Y.S., K.S. Kim., Y.H. Lee., H.J. Cho and S.J. Suh. 2010. Review of property and utilization of oil crop for biodiesel. J. Korean Plant Biotechnol. 37:25-46. 

  10. Kim, C.K., G.S. Song, Y.J. Kown, I.S. Kim and T.K. Lee. 1994. The effect of germination of perilla seed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the oil. J. Korean Food Sci. Technol. 26(2):178-183. 

  11. Kim, D.H. 1998. Food Chemistry. Tamgudang, Seoul, Korea p. 457. 

  12. Kwon, Y.J. 1995. The oxidative stability of perilla oil during the storage of the seed and the antioxidant components of the seed. The Research Reports of Miwon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Food & Dietary Culture 6:571-592. 

  13. May, W.A., R.J. Peterson and S.S. Chang. 1983. Chemical reactions involved in the deep-fat frying of foods: IX. Identification of the volatile decomposition products of triolein. J. American Oil Chem. Soc. 60(5):990-005. 

  14. Park, Y.B., H.K. Park and D.H. Kim. 1989. Oxidative stability of deep-fried instant noodle prepared with rapeseed oil fortified by adding antioxidants or by blending with palm oil. J. Korean Food Sci. Technol. 21(4):468-479. 

  15. Shin, H.S. 1988. The necessity of blended oil in Korean. J. Korean Oil Chem. Sci. Technol. 5(1):1-11. 

  16. Wong, M.L., R.E. Timms and E.M. Goh. 1988.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total tocopherols in palm oil. Olein and Stearin. J. American Oil Chem. Soc. 65(2):258-261. 

  17. 이진석. 2004. 바이오디젤의 상용화 현황 및 전망.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바이오매스센터. 설비저널 33권 10호.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