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벼 정조저장 중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른 쌀의 이화학적 특성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Rough Rice Stored at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and Period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9 no.4, 2014년, pp.413 - 426  

김정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백만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김광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윤미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김기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이점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벼 수확 후 지역브랜드로 유통되는 벼의 저장 중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지방산도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조사할 목적으로 신동진, 일미, 추청, 호품, 히또메보레 등 5품종을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저장한 후 4개월마다 밥의 조직감(texture), 알칼리붕괴도(ADV), 도요 윤기치, 밥의 호화특성, 지방산도 및 지방산 조성 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밥의 경도는 밥의 씹힘성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밥의 부착성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밥의 응집성은 밥의 탄력성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밥의 경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고 밥의 응집성은 저장전과 비교해서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라 품종 간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알칼리붕괴도는 품종 및 저장기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저장온도에 의한 영향은 미미하였다. 일미와 추청의 경우는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신동진, 호품 및 히또메보레의 경우는 상온저장의 경우 저장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은 반면 저온저장의 경우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ADV 값은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도요윤기치는 저장초기에는 품종 및 저장온도에 따라 품종간 차이는 크지 않았고 대체로 저장 후 4개월 이후부터 상온 및 저온저장 모두 도요윤기치 값이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4. 밥의 호화특성은 상온저장에서 최고점도의 경우 신동진, 호품, 히또메보레 품종은 일미와 추청에 비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저장전보다 확연히 높게 나타났다. 강하점도 또한 상온저장시 저장전보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높아졌으며 치반점도는 저장온도와 큰 상관없이 저장전보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낮게 나타났다. 5. 현미의 지방산도는 저온저장보다 상온저장의 경우에 저장전과 비교하여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그 증가폭이 컸고 백미의 지방산도는 저장전과 비교하여 저장 8개월 후부터는 지방산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6.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현미의 포화지방산 함량의 경우 저장 전에 비해 일미와 추청 품종은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신동진, 일미 및 히또 메보레 품종의 경우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더라도 저장전과 비슷한 함량을 유지하였다. 또한 백미의 포화지방산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더라도 상온저장 및 저온저장 모두 저장 전과 비슷한 함량을 유지하였다. 현미의 지방산 중 oleic acid와 linoleic acid의 함량은 저장 전부터 품종간 차이를 나타냈고 그 외의 지방산 함량의 변화는 저장 4개월 후부터 품종 간 차이가 나타났다. 백미의 지방산 중 linoleinic acid와 stearic acid의 경우 검출된 함량은 적으나 저장 4개월 후에 그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palmitic acid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rough rice stored at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and periods. So we analyzed texture, alkali digestion value (ADV), toyo glossiness value, pasting properties, fat acidity and fatty acid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8) 저온 저장시설 또한 부족하여 수확기 산물벼의 상온 야적보관량이 많기 때문에 고온다습한 여름철로 인하여 미곡의 품질관리가 지극히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RPC에서 유통되는 브랜드화된 5품종을 이용하여 저장온도를 달리하고 저장기간별로 쌀의 이화학적 특성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여 벼 수확 후 상온 장기 저장시 쌀 품질저하가 적은 벼 품종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벼의 건조, 도정, 저장, 가공 및 포장기술의 개발 및 개선이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이유는? 우리나라에서 쌀은 주요한 식량원으로서 막대한 경제적, 산업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나 연간 소비량의 지속적인 감소와 최소시장 접근물량(Minimum Market Access, MMA)의 수입량 증가 등으로 쌀 재고량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벼는 재배기간이 비교적 긴 반면, 수확기간이 짧기 때문에 안전하게 식량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건조 및 저장과정이 필수적이고 수확 후 관리 방법에 따라 품질변이가 크므로 건조, 도정, 저장, 가공 및 포장기술의 개발 및 개선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수확된 산물벼는 건조 후 사일로 또는 창고에서 장기간 정조형태로 저장되는데 이때 저장중 정조의 품질은 저장기간과 온도, 수분함량 등에 의해 변화된다.
벼를 저장 할 때 일어나는 물리적인 변화는? 수확된 산물벼는 건조 후 사일로 또는 창고에서 장기간 정조형태로 저장되는데 이때 저장중 정조의 품질은 저장기간과 온도, 수분함량 등에 의해 변화된다. 저장 중 일어나는 물리적인 변화로는 도정수율 및 흡수율의 저하, 취반 시 팽창용적의 증가, 미반립의 경화 및 광택감소 등이 있다. 화학적인 변화로는 밥의 호화특성의 변화, 지방산과 아밀로오스 복합체 형성에 의한 전분의 용해도 및 팽윤력 감소, 지방산도 변화, 불포화지방산의 자동 산화에 의한 고미취의 주성분인 hexanal 등 카르보닐 화합물의 증가 및 단백질의 용해도 감소 등이 알려져 있다(Chrastil J.
벼를 저장할 때 일어나는 화학적인 변화는? 저장 중 일어나는 물리적인 변화로는 도정수율 및 흡수율의 저하, 취반 시 팽창용적의 증가, 미반립의 경화 및 광택감소 등이 있다. 화학적인 변화로는 밥의 호화특성의 변화, 지방산과 아밀로오스 복합체 형성에 의한 전분의 용해도 및 팽윤력 감소, 지방산도 변화, 불포화지방산의 자동 산화에 의한 고미취의 주성분인 hexanal 등 카르보닐 화합물의 증가 및 단백질의 용해도 감소 등이 알려져 있다(Chrastil J., 1990; Ramarathna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OAC. 1970. Fat acidity 14. 164, 14. 066.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1th edition. p. 222. 

  2. Choi, Y. H., E. G. Jeong, J. I. Choung, D. S. Kim, S. L. Kim, J. T. Kim, C. G. Lee, and J. R. Son. 2006. Effects of Moisture Contents of Rough Rice and Storage Temperatures on Rice Grain Quality. Korean J. Crop Sci. 51(S) : 12-20. 

  3. Chrastil, J. 1990. Chemical and Physicochemical Changes of Rice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Journal of Cereal Science 11 : 71-85. 

  4. Elaine, T. C., L. B. Karen, T. V. Bryan, M. M. Anna, and E. B. Franklin. 1999. Correlation Between Cooked Rice Texture and Rapid Visco Analyser Measurements. Cereal Chem. 76(5) : 764-771. 

  5. Ha, K. Y., H. K. Park, J. K. Ko, C. K. Kim, Y. G. Choi, K. Y. Kim, and Y. D. Kim. 2006. Effect of Storage Period and Temperature on the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Rice Quality. Korean J. Crop Sci. 51(S) : 25-29. 

  6. Katekhong, W. and S. Charoenrein. 2012. Effect of Rice Storage on Pasting Properties, Swelling and Granular Morphology of Rice Flour. As. J. Food Ag-Ind. 5(4) : 315-321. 

  7. Kanlayakrit, W. and M. Maweang. 2013. Postharvest of paddy and milled rice affect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using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International Food Research Journal 20(3) : 1359-1366. 

  8. Kim, H., H. J. Lee, O. W. Kim, S. E. Lee, and D. H. Yoon. 2006. Effect of Non-Uniform Milling on Quality of Milled Ric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3(6) : 675-680. 

  9. Kim, I. H., K. H. Park, M. G. Shin, H. J. Kim, and S. H. Lee. 1996. Comparison of Lipid composition of Rice Varieties with the Different Sensory Qual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5) : 727-734. 

  10. Kim, K. S., Y. H. Lee, Y. S. Jang, and I. H. Choi. 2013. Analysis of Fatty Acid Compositions and Biodiesel Properties of Seeds of Woody Oil Plants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6(5) : 628-635. 

  11. Kim, K. Y., G. M. Lee, K. I. Noh, K. Y. Ha, J. Y. Son, B. K. Kim, J. K. Ko, and C. K. Kim. 2007. Varietal Difference of Germination, Fat acidity and Lipoxygenase Activity of Rice Grain Stored at High Temperature. Korean J. Crop Sci. 52(1) : 29-35. 

  12. Lee, T. H. and H. J. Joo. 2008. Efficacy analysis of Rice Processing Center (RPC)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Journal of Rural Development 31(34) : 53-72. 

  13. Park, C. E., Y. S. Kim, K. J. Park, and B. K. Kim. 2012.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ice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Journal of Stored Products Research 48 : 25-29. 

  14. Parnsakhorn, S. and J. Langkapin. 2013.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erminated Brown Rice and Brown Rice during Storage at Various Temperature. Agric. Eng. Int.: CIGR Journal 15(2) : 293-303. 

  15. Perdon, A. A., B. P. Marks, T. J. Siebenmorgen, and N. B. Reid. 1997. Effects of Rough Rice Storage Conditions on the Amylograph and Cooking Properties of Medium-Grain Rice cv. Bengal. Cereal Chem. 74(6) : 864-867. 

  16. Ramarathnam, N., T. Osawa, M. Namiki, and S. Kawakishi. 1987. High Temperature Storage Effect on Longevity of Rice Seeds. Journal of Food Sci. 52(3) : 835-836. 

  17. Sirisoontaralak, P. and A. Noomhorm. 2007.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properties of irradiated rice during storage. Journal of Stored Products Research 43 : 282-289. 

  18. Shin, M. G., B. K. Min, and D. C. Kim. 1991.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20(3) : 276-280. 

  19. Soponronnarit, S., M. Chiawwet, S. Prachayawarakorn, P. Tungtrakul, and C. Taechapairoj. 2008. Comparative Study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ccelerated and Naturally Aged Rice. Journal of Food Engineering 85 : 268-276. 

  20. Tananuwong, K. and Y. Malila. 2011.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rganic Hulled Rice during Storage under Different Conditions. Food Chemistry 125 : 179-185. 

  21. Yoon, D. H., O. W. Kim, and H. Kim. 2007. The Quality of Milled Rice with Reference to Whiteness and Packing Condition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4(1) : 18-23. 

  22. Yoshida, H., T. Tanigawa, I. Kuriyama, N. Yshida, Y. Tomiyama, and Y. Mizushina. 2011. Variation in Fatty Acid Distribution of Different Acyl Lipids in Rice (Oryza sativa L.) Brans. Nutrients 3 : 505-514. 

  23. Yoshihashi, T., N. T. T. Huong, V. Surojanametakul, P Tungtrakul, and W. Varanyanond. 2004.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2-Acetyl-1-pyrroline Content in Aromatic Rice Variety, Khao Dawk Mali 105. Journal of Food Science 70(1) : S34-S37. 

  24. Zhou, Z., K. Robards, S. Helliwell, and C. Blanchard. 2001. Ageing of Stored Rice: Changes in Chemical and Physical Attributes. Journal of Cereal Science 33 : 1-15. 

  25. Zhou, Z., K. Robards, S. Helliwell, and C. Blanchard. 2003a. Effect of Rice Storage on Pasting Properties of Rice Flour.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6 : 625-634. 

  26. Zhou, Z., C. Blanchard, S. Helliwell, and K. Robards. 2003b. Fatty Acid Composition of Three Rice Varieties Following Storage. Journal of Cereal Science 37 : 327-3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