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산생물 종류별 마비성 패류독소 축적 및 정화
Accumulation and Depuration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in Marine Organisms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5 no.5, 2012년, pp.465 - 471  

목종수 (서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오은경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손광태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이태식 (남서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이가정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송기철 (서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김지회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compare the accumulation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PSP) in different marine organisms, the occurrence and variation of PSP were surveyed in blue mussel Mytilus edulis, oyster Crassostrea gigas, short neck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and warty sea squirt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9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산생물의 품종에 따른 마비성패류독소 축적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매년 마비성패류독소가 발생하는 진해만에서 진주담치, 굴, 바지락, 해만가리비 및 미더덕을 동시에 이식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독화된 패류의 상업적으로 유효이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독소가 발생하지 않는 지역에서의 자연정화 및 실내 수조에서의 인공정화를 실시하여 제독 효과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매패류에서 검출되는 자연독에 설사를 유발하는 독소로는 무엇이 있는가? 진주담치, 굴, 가리비 등의 이매패류는 지역에 따라 특정한 시기에 식품위생상 문제가 되는 자연독을 함유하는 경우가 있다. ‘자연독’이란 보통의 자연 환경에서 정상적인 생리상태로 생육하고 있는 생물이 보유하는 독으로, 이매패류에서 검출되는 자연독에는 중독시 마비를 유발하는 마비성패류독소 (paralytic shellfish poison, PSP), 설사를 유발하는 설사성 패류독소(diarrhetic shellfish poison, DSP) 및 아자스피르산 (azaspir acid), 신경계 장해를 유발하는 기억상실성패류독소 (amnesic shellfish poison, ASP) 및 신경성패류독소(neurotoxic shellfish poison, NSP) 등이 대표적이며, 이 외에도 다수의 유독성분이 알려지고 있다(Noguchi, 2003; Toyofuku, 2006). 이들 패류독소는 대부분 독소를 생성하는 원인 플랑크톤을 패류가 섭이함으로써 그 플랑크톤에 함유된 유독성분이 패류에 이행되고, 사람이 독이 축적된 패류를 섭취하면 식중독을 일으키게 된다(Edebo et al.
독화된 이매패류의 상업적인 유효이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어떤 두 가지 정화방법을 비교를 했는가? 독화된 패류의 상업적인 유효이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두 가지 정화방법 즉, 자연정화(relaying)와 인공정화(depuration) 를 실시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자연정화는 진해만에서 독 화된 진주담치를 일정량씩 사각 채롱에 넣어 마비성패류독소가 발생하지 않은 경남 통영시 미륵도 연안지역으로 이설하여 독력 감소여부를 시험하였다.
자연독은 무엇인가? 진주담치, 굴, 가리비 등의 이매패류는 지역에 따라 특정한 시기에 식품위생상 문제가 되는 자연독을 함유하는 경우가 있다. ‘자연독’이란 보통의 자연 환경에서 정상적인 생리상태로 생육하고 있는 생물이 보유하는 독으로, 이매패류에서 검출되는 자연독에는 중독시 마비를 유발하는 마비성패류독소 (paralytic shellfish poison, PSP), 설사를 유발하는 설사성 패류독소(diarrhetic shellfish poison, DSP) 및 아자스피르산 (azaspir acid), 신경계 장해를 유발하는 기억상실성패류독소 (amnesic shellfish poison, ASP) 및 신경성패류독소(neurotoxic shellfish poison, NSP) 등이 대표적이며, 이 외에도 다수의 유독성분이 알려지고 있다(Noguchi, 2003; Toyofuku, 2006). 이들 패류독소는 대부분 독소를 생성하는 원인 플랑크톤을 패류가 섭이함으로써 그 플랑크톤에 함유된 유독성분이 패류에 이행되고, 사람이 독이 축적된 패류를 섭취하면 식중독을 일으키게 된다(Edeb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OAC. 2006.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Gaithersburg, MS, US. 

  2. Chang DS, Shin IS, Cho HR, Kim JH, Pyeun JH and Park YH. 1988a. Studies on distribution, characterization and detoxification of shellfish in Korea. 1.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Bull Kor Fish Soc 21, 113-126. 

  3. Chang DS, Shin IS, Goo HY, Oh EG, Pyun JH and Park YH. 1988b. Studies on distribution, characterization and detoxification of shellfish in Korea. 3. Detoxification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of sea mussel, Mytilus edulis. Bull Kor Fish Soc 21, 297-302. 

  4. Chang DS, Shin IS, Kim JH, Pyun JH and Choe WK. 1989. Detoxification of PSP and relationship between PSP toxicity and Protogonyaulax sp. Bull Kor Fish Soc 22, 177-188. 

  5. Chang DS, Shin IS, Pyeun JH and Park YH. 1987. A Study on paralytic shellfish poison of sea mussel, Mytilus edulis. Food poisoning accident in Gamchun Bay, Pusan, Korea, 1986. Bull Kor Fish Soc 20, 293-299. 

  6. Determan M. 2003.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PSP) patterns in Puget Sound shellfish in 2001.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Health, Olympia, WA, US, pp. 1-12. 

  7. Edebo L, Lange S, Li XP, Allenmark S, Lindgren K and Thompson R. 1988. Seasonal, geographic, and individual variation of okadaic acid content in cultivated mussels in Sweden. APMIS 96, 1036-1042. 

  8. Indrasena WM and Gill TA. 2000. Thermal degradation of partially purified paralytic shellfish poison toxins at different times, temperatures and pH. J Food Sci 65, 948-953. 

  9. Lee JS, Shin IS, Kim YM and Chang DS. 1997. Paralytic shellfish toxins in the mussel, Mytilus edulis, caused the shellfish poisoning accident at Geoje, Korea, in 1996. J Kor Fish Soc 30, 158-160. 

  10. Maruyama J, Noguchi T, Onoue Y, Ueda Y, Hashimoto K and Kamimura S. 1983. Anatomical distribution and profiles of the toxins in highly PSP-infested scallops from Ofunato Bay during 1980-1981. Bull Jap Soc Sci Fish 49, 233-235. 

  11. Mizuda M, Yamada K, Takata K, Shimaoka M, Takayama H and Ouchi A. 1999. Differences of accumulation and elimination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s among oyster, mussel and scallop. J Food Hyg Soc Jpn 40, 19-22. 

  12. Nagashima Y, Noguchi T, Maruyama J, Kamimura S and Hashimoto K. 1984. Occurrence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s in an asidian Holocynthia roretzi. Bull Jap Soc Sci Fish 50, 331-334. 

  13. Noguchi T. 2003. Marine toxins. Nippon Suisan Gakkaishi 69, 895-909. 

  14. Park MJ, Lee HJ, Lee TS, Son KT, Byun HS, Park JH and Jang DS. 2000. Comparison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contents and components in the different bivalve species. J Fd Hyg Safety 15, 293-296. 

  15. Rourke WA, Murphy CJ, Pitcher G, Riet JM, Burns BG, Thomas KM and MA Quilliam. 2008. Rapid postcolumn methodology for determination of paralytic shellfish toxins in shellfish tissue. J AOAC Int 91, 589-597. 

  16. Shon MB, Kim YS and Kim CH. 2009.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of Mediterranean mussels from Jinhae Bay in Korea. Kor J Fish Aquat Sci 42, 366-372. 

  17. Silvert W and Rao DVS. 1992. Dynamic model of the flux of domoic acid, a neuro toxin, through a Mytilus edulis population. Can J Fish Aquat Sci 49, 400-405. 

  18. Takata K, Takatsuji H and Seno M. 2008. Detoxification of the oyster Crassostrea gigas contaminated with paralytic shellfish poison (PSP) by cultivation in filtered seawater. Nippon Suisan Gakkaishi 74, 78-80. 

  19. Toyofuku H. 2006. Joint FAO/WHO/IOC activities to provide scientific advice on marine biotoxins (research report). Mar Pol Bull 52, 1735-1745. 

  20. Wekell JC, Hurst J and Lefebvre KA. 2004. The origin of regulatory limits for PSP and ASP toxins in shellfish. J Sellfish Res 23, 927-9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