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 중.고등학교 급식소와의 비교를 통한 대학 급식소의 GMP 시설 구비 및 SSOP 수행도 조사
Compliance with GMP and SSOP in College Foodservices by Comparison of Elementary and Middle & High School Foodservices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8 no.3, 2012년, pp.248 - 265  

박순희 (국립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문혜경 (국립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total of 262 dietitians (in 97 college foodservices nationwide, 86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s, and 79 middle & high school foodservices in the Changwon area) were given a survey questionnaire composed of 18 GMP and 29 SSOP items from May to July, 2011. As a whole, total usage level of GMP fa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HACCP을 적용하는 초등학교 및 중ㆍ고등학교 급식소와의 비교를 통해 낮은 수준으로 준수되는 대학 급식소의 GMP와 SSOP 항목을 파악함으로써 대학 급식소 조리장의 HACCP 적용 표준 모델 개발 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전국 97개 대학 급식소 영양사들과 비교를 위해 선정된 창원지역 86개 초등학교 및 79개 중ㆍ고등학교의 영양(교)사들로부터 조사된 설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 초등학교, 중ㆍ고등학교의 영양사를 대상으로 HACCP 선행요건에 제시된 GMP 시설 구비 정도와 SSOP 수행도를 비교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대학급식소의 위생관리 수준을 파악하고 향후 HACCP을 적용한 대학급식소 조리장의 표준 모델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식소에서의 시설이란 무엇인가? 급식소에서의 시설이란 작업공간과 여기에 설치된 기기를 합한 것으로 설비는 급ㆍ배수, 환기, 열원, 조명, 냉ㆍ난방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시설ㆍ설비를 계획하여 운영ㆍ관리해야만 식재료와 작업의 전체적인 흐름이 원활해지고 작업자의 동선이 줄게 되어 시간, 노동력, 식재료 등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위생적인 식품취급도 가능해진다.
GMP란 무엇인가? 선행요건(prerequisite program)은 크게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적정제조기준)와 SSOP(Sanitation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위생표준운영절차)로 구성된다. GMP란 환경을 청결하게 하여 위생적인 식품을 생산하기 위한 시설, 위생 및 공정에 관한 기준이며, SSOP는 식품 취급 중 외부에서 위해요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생관리를 어떻게 이행하고 감시할 것인지를 규명한 표준절차이다(Moon 2010). 대학급식분야에서 선행요건의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와 SSOP에 해당하는 위생관리기준이 어느 정도까지 구비ㆍ관리되고 있는지 그 현황이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HACCP 시스템의 선행요건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HACCP 시스템을 온전하게 수행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HACCP의 적용에 필수적인 선행요건을 갖추는 것이 위생관리 향상을 위한 첫걸음이라 할 수 있다. 선행요건(prerequisite program)은 크게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적정제조기준)와 SSOP(Sanitation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위생표준운영절차)로 구성된다. GMP란 환경을 청결하게 하여 위생적인 식품을 생산하기 위한 시설, 위생 및 공정에 관한 기준이며, SSOP는 식품 취급 중 외부에서 위해요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생관리를 어떻게 이행하고 감시할 것인지를 규명한 표준절차이다(Moon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e HJ, Chae MJ, Jung HA (2007): A comparison of opinions between dietitians and students' parents on sanitation management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3):302-313 

  2. Bae HJ, Jeon EK, Lee HY (2008):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anitation management within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3):325-332 

  3. Choi SH, Kim SH, Kwak TK (2003): The survey of perception on obstacles in implementing generic HACCP plan for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Diet Assoc 9(3):209-218 

  4. Han MJ, Yoon JY, Kim NY, Yoo YH (2004): Satisfaction of meal and service quality in university foodservice institution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6):545-552 

  5. Jang SH, Chang HJ (2011): A facility design model for 1300 capacity school foodservice with adjacency and bubble diagrams. Korean J Community Nutr 16(1):98-112 

  6. Jeon EK, Bae HJ (2009): Evaluation of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within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in Gyeongbuk provin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5(1):62-73 

  7. Kim GM, Lee SY (2009): Analysis of the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 sanitary education (Seoul, Gyeonggi, Kangwon and Choongchung area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4(5):576-589 

  8. Kim HA (2006): Effect of the consumer's perception of the university foodservice quality on the consumer attitude. J Korean Soc Food Sci & Nutr 35(6):815-822 

  9. Kim K, Nam M, Nam BR, Ryu HJ, Heo R, Shim WB, Chung DH (2010): Microbiological safety assessment to secure safety of food service in university. J Fd Hyg Safety 25(1):49-58 

  10. Kim KH (2009): A fundamental study on the design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object of foodservice in educational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7(2):63-71 

  1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0a):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s. Avaliable from: http://www.haccphub.or.kr/info/info_04_02_view.jsp?seq8208. Accessed April 9, 2012 

  12.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0b): Food sanitation act. Standards for meal service facilities. Avaliable from: http://www.law.go.kr/LSW/lsSc.do?mouseY0&menuId0&p1&subMenu1&searchChk2&lawSearchNameLicLs%2C0&query%EC%8B%9D%ED%92%88%EC%9C%84%EC%83%9D%EB%B2%95&x32&y16#liBgcolor0. Accessed June 9, 2012 

  13.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1): Food Snitation Act. Avaliable from: http://www.moleg.go.kr/english/korLawEng?pstSeq58331&rctPstCnt3&searchConditionAllButCsfCd&searchKeywordsanitation. Accessed July 26, 2012 

  14. Kwak TK, Lee KM, Chang HJ, Kang YJ, Hong WS, Moon HK (2005): Analysis of critical control points through field assessment of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in foodservice establishment. Korean J Food Cookery Sci 21(3): 290-300 

  15. Lee IS (2007):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kitchen for food service by the application of HACCP. Masters degree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p.11-69 

  16. Lee SY (2012): Cleaning and disinfecting management of equipment and utensils in institutional foodservice operations. 2012 Hygiene education for institutional foodervice dietitian.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Seoul. pp. 118-141 

  17. Marriott NG (1997): Essentials of food sanitation. Chapman & Hall, NY. USA. pp.150-173 

  1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Sanitation guideline book for school foodesrvices. 3rd edition. Available from: http://www.mest.go.kr/web/1110/ko/board/view.do?bbsId149&pageSize10&cacheOffN¤tPage0&searchOptioncombi&searchWordB1DEBDC4&encodeYnY&boardSeq2189&modeview. Accessed April 9, 2012 

  19. Moon HY (2010): Management of prerequisite program for HACCP application. 2010 Hygiene education for institutional foodervice dietitian.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Seoul. pp.41-64 

  20. Park MK, Kim CJ, Yang IS (2007): A case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authority for newly-formed foodservice and the marketing strategies for college union foodservice. J Korean Diet Assoc 13(1):15-29 

  21. Ryu K, Chae HS, Kim WJ (2006):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and preparation of standard recipe for bellflower roots with seasonings served in a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J Korean Diet Assoc 12(2):157-171 

  22. Woo JJ, Han BJ, Rho JO (2004): Quality assessment of performance in the university foodservice by students living in Inche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3):294-301 

  23. Yang TS, You B, Jeon HJ (2005): A study for(on) the satisfaction and the importance of contract foodservice in colleges in Jeju. Korean J Culinary Research 11(2):1-25 

  24. Yoon MY, Lee IS (2006): Analysis on facilities & basic equipment of school foodservice safety in Pohang area. J Korean Diet Assoc 12(3):264-27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