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금·황련 추출물의 항균활성이 막걸리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Antimicrobal Activity of Sutellaria baicalensis·Coptidis rhizoma Extract on the Preservation of Makgeoll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4, 2012년, pp.974 - 979  

박순희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영양식품요법) ,  이슬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영양식품요법) ,  진효상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영양식품요법)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find herbal preservatives for Makgeolli, as Makgeolli loses its commercial value due to overproduced acidic materials. When Makgeolli was kept at $25^{\circ}C$ to find the changes in acidity, total microbial cell number, yeast cell number, and bacterial 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ark 등(2012)에서 전주 생 막걸리의 주 산패 원인균이 Acetobacter pasteurianus와 Lactobacillus casei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 두 균에 대해 항균력을 가진 천연 보존제를 찾고자 했다. 천연 보존제를 검색한 결과, 황금과 황련이 막걸리 산패원인균인 Acetobacter pasteurianus와 Lactobacillus casei에 가장 큰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이들의 에탄올 추출물 첨가에 의해 막걸리 보존성이 향상되었으므로 이를 보고한다.
  • Park 등(2012)에서 전주 생 막걸리의 주 산패 원인균이 Acetobacter pasteurianus와 Lactobacillus casei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 두 균에 대해 항균력을 가진 천연 보존제를 찾고자 했다. 천연 보존제를 검색한 결과, 황금과 황련이 막걸리 산패원인균인 Acetobacter pasteurianus와 Lactobacillus casei에 가장 큰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이들의 에탄올 추출물 첨가에 의해 막걸리 보존성이 향상되었으므로 이를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는 숙성되면서 Acetobacter와 젖산균에 의해 어떻게 변하는가? 막걸리는 숙성되면서 산패현상으로 pH가 떨어지고, 신맛이 많아져 상품가치를 상실하게 되는데(Lee & Kim 2007; Lee HO 2008), 이는 Acetobacter와 젖산균에 의한 것으로서 맥주, 청주, 포도주, 과일주 등 대부분의 발효주에서 나타난다(Lee 등 1998; J Ames 2000). Shin과 Cho(1970)는 막걸리 발효에 관여하는 주요 균으로 Lactobacillus casei를 보고하였고, 발효 과정 중 젖산균의 증식으로 인한 적정산도 증가에 영향을 준다고 했다.
황련은 어떤 작용을 하는가? 마늘, 양파는 부패성 효모(Cornner 등 1984; Fromtling 등 1978)와 곰팡이 증식 억제에 효과(Tansey 등 1987)가 있는 것으로, 황금은 Shigella dysenteriae, Shigella boydii 등에 항균성이 있고(Lee & Park 1987), 황련 주성분 berberine도 강한 항균 작용(Jung YH 2010)을 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이들 항균성 한약재에 또 다른 기능이 발견되고 있는데, 황금 주요 성분인 balicalin, wogonin 및 skullcapflavone 등은 항염증 및 항산화 작용(Park & Kim 1979)에 유효하고, 황련은 진정, 소염, 해열, 해독작용이 있다. 황금은 항 알레르기 작용, 혈압강하, 세포 면역 촉진, 항암작용에, 황련은 면역증강, 혈압강하, 항암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김훈 등 2008).
시판되는 막걸리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황금, 황련, 민들레, 쑥, 황백, 녹차, 오미자, 갈근, 백개자, 매실, 생강, 마늘로 천연보존제의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을 얻어 산 생성 균 억제 효과를 살펴본 실험 결과, 황금 에탄올 추출물은 어떤 균에 가장 큰 생육 억제 효과를 나타냈는가? 시판되는 막걸리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2가지 천연보존제의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을 얻어 산 생성 균 억제 효과를 살펴본 결과, 황금과 황련이 에탄올 추출과 열수 추출에서 가장 항균성을 나타냈다. 황금과 황련은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에서 더 강한 항균성을 나타냈고, 황금 에탄올 추출물은 A. pasteurianus에, 황련 에탄올 추출물은 L. casei에 대해 더 큰 생육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ornner DE, Beuchat LR. 1984. Effect of essential oils from plants on growth of food spoilage yeast. J Food Sci 49:429 

  2. Fromtling RA, Bulmer GS. 1978. In vitro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garlic (Allium salivum) on the growth and viability of Cryptococcus neoformans. Mycologia. pp. 70, 397 

  3. J Ames M Jay. 2000. Modern Food Microbiology 6th ed. pp 149-152. APAC Pub 

  4. Jang JH. 2010. Anti-inflammatory effect of phellodendri cortex extract. Ph.D. Thesis, Kyungwon Uni. Seongnam. Korea 

  5. Jung EK, Kim SJ, Joo NM. 2011.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evaluation of Takju among consumers ages 20 to 29. J Korean Diet Assoc 17:47-57 

  6. Jung GT, Ju ID, Choi JS, Hong JS. 2000. Preparation and shelflife of soybean curd coagulated by fruit juice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 (Omija) and Prunus mume (maesil). Korean J Food Sci Technol 32:108-1092 

  7. Jung YH. 2010.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effec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fermented Coptidis rhizoma extract. Ph.D. Thesis, Joongbu Uni. Geumsan. Korea 

  8. Kim JH, Lee DH, Choi SY, Lee JS. 2002. Characteriza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in Korean traditional liquo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118-122 

  9. Kim JH, Lee SH, Kim NM, Choi SY, Yoo JY, Lee JS. 2000.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liquors by using 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 Korean J Biotech Bioeng 28:367-371 

  10. Kim JH, Lee SY, Kim KBWR, Song EJ, Kim AR, Kim MJ, Ji KW, Ahn IS, Ahn DH. 2007. Effects of Glycyrrhiza uralensis, Menthae herba, Schizandra chinensis and chitosan on the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436-1443 

  11. Lee BW, Shin DH. 1991. Screening of natural antimicrobial plant extract on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 J Food Sci Technol 23:200-204 

  12. Lee CH, Kim GM. 1995. Determination of the shelf-life of pasteurized Korean rice wine, Yakju, in aseptic pack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7:156-163 

  13. Lee CH, Kim GM. 2007. Studies on Takju brewing with red yeast rice.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14. Lee HO. 2008. Studies on Takju brewing with birch sap.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15. Lee HS, Hong KH, Yoon CH, Kim JM, Kim SM. 2009. Effect of Korean turbid rice wine (Takju) lees extract on blood glucose in the db/db mouse. Korean J Food Culture 24:219-223 

  16. Lee IR, Park HS, 1987. Antimicrobial activity of scute decoction. Kor J Pharmacogn 18:249 

  17. Lee JY, Chang HG, Mok CK. 1998. Optimization of heat sterilization condition for Yakju. Food Engineering Progress 2: 137-1435 

  18. Lim SD, Kim KS, Kim HS, Park Y. 1998. A study on effect of medicinal herbs extract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Dairy Sci 20:53-60 

  19. Oh YJ. 2002. A study on effect of Angelica gigas, Rehmannia glutinosa, Artemisia capaillaris and Astragalus membranacers water extract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MS. Thesis, Dongguk Uni. Seoul. Korea 

  20. Park SW, Kim CJ. 1979. Studise on the food preservation by antimicrobial action of medicinal herbs. J Kor Agricultural Chemical Society 22:91 

  21. Park HS, Lee S, Jin HS. 2012. Isolation and indenfication of acid-forming bacteria from a fresh wheat Makgeolli in Jeonju. Korean J Food Nutr 25:951-956 

  22. Park WP, Lee SC, Kim SY, Choi SG, Heo HJ, Cho SH. 2008.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s from Prunus mume extract. Korean J Food Presserv 15:878-883 

  23. Shin DH. 1992. Screening of natural antimicrobials from plant and their application to food preservation.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 Jeonju. Korea 

  24. Shin JA, Oh NS. 2010.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process for acetic acid production. Food Engineering Progress pp. 14, 217-221 

  25. Shin MO, Kang DY, Kim MH, Bae SJ. 2008. Effect of growth inhibition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on of Makgeoly fractions in vario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288-293 

  26. Shin YD, Cho DH. 1970. A study on the microflora changes during Takju brewing. Korean J Microbiol 8:53-64 

  27. Sung CK. 1998. Development of natural food preservatives from agricultura products. M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 Daejeon. Korea 

  28. Sung HJ. 2004. A study on the antimicrobial effect of natural Artemisia extract using super critical carbon dioxide. MS. Thesis, Daejin Uni. Pocheon. Korea 

  29. Tansey MR. Appleton JA. 1987. Inhibition of fungal growth by garlic extract. Mycologia. pp. 70, 397 

  30. 김훈, 박진한, 김만배, 김대근, 임종필, 홍승헌. 2008. 본초생약학. pp. 105. 신일북스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