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증외상환자의 주 손상 부위별 특성과 간호활동
Characteristics and Nursing Activities of Severe Trauma Patients Regarding the Main Damaged Body Par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5 no.4, 2013년, pp.210 - 218  

김명희 (부산대학교병원) ,  김명희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박정하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nursing activities of severe trauma patients regarding damaged body parts in Busan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Methods: A survey using a 'trauma patient information questionnaire and a list of nurse activities' was co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일 권역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중증외상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토대로 중증외상환자의 손상부위별 특성과 제공된 간호활동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임상실무에서 중증회상환자의 초기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함으로서 손상부위에 따라 특화된 질 높은 간호를 환자에게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에 내원한 중증외상환자의 손상부위에 따른 특성과 간호활동을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주 손상부위란 두경부, 안면부, 흉부, 복부, 사지 및 골반부, 외부의 부위 중 손상의 중등도가 가장 심한 신체부위를 의미한다(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Automotive Medicine, 1990). 본 연구에서는 AIS 점수가 가장 높은 신체부위를 의미한다.
  • 본 연구는 전자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일 권역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중증외상환자의 주 손상부위에 따른 특성과 간호활동을 분석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 권역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중증외상환자의 손상 부위에 따른 특성과 간호활동을 분석하였다. 이는 중증 외상환자의 초기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중증외상환자는 초기의 적절한 치료, 처치 및 간호에 따라 예후에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Kim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증외상환자란 무엇인가? 중증외상환자란 둔상이나 관통상 같은 외상으로 인해 뇌, 폐, 심장, 간 등 인체 내부 주요 장기의 손상 또는 광범위한 신체부위의 손상이 있으면서 이로 인해 쇼크나 다발성 장기 기능부전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한 환자로, 손상중증척도(Injury Severity Score, ISS) 15점 이상인 자를 말한다(Nerida & Zsolt, 2009). 본 연구에서는 일 권역응급의료센터 응급실에 내원한 외상환자 중 손상중증척도 15점 이상인 환자를 말한다.
손상부위란 무엇인가? 손상부위란 두경부, 안면부, 흉부, 복부, 사지 및 골반부, 외부로 나눈 신체부위에서 손상받은 부위를 의미한다(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Automotive Medicine, 1990). 본 연구에서는 생명에 대한 위험의 정도에 따라 1점에서 6점까지 6등급으로 손상정도를 제시하는 Abbreviated Injury Scale (AIS) 점수가 부여된 신체부위를 의미한다.
중증외상환자는 외상초기의 적절한 치료여부에 따라 예후에 영향을 받으므로 어떤 것이 가장 중요한가? 현재 중증외상환자들은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치료를 전담하고 있으나 입원대기 환자들이 정체되고(Chun, 2008) 치료전담 의료 인력이 부족(Lee, 2011)하여 중증외상환자의 진단, 치료 및 처치가 지연되고 있다. 외상환자는 외상초기의 적절한 치료여부에 따라 예후에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Nguyen, Rivers, & Havastad, 2000), 진단 및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빠른 시간 내에 처치가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Kim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Automotive Medicine. (1990). The abbreviated injury scale. Des Plaines, IL: AAAM. 

  2. Centr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09). Statistical yearbook of emergency. Retrieved May 21, 2012, from http://www.nemc.or.kr/ 

  3. Chun, S. J. (2008). An analysis of stay hours and the related factors in the patients at a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4. Cowley, R. A. (1976). The resuscitation and stabilization of major multiple trauma patients in a trauma center environment, The Journal of laboratory and clinical medicine, 83, 16-22. 

  5. Esposito, T. J., Sanddal, T. L., Reynolds, S. A., & Sanddal, N. D. (2003). Effect of a voluntary trauma system on preventable death and inappropriate care in a rural state. The Journal of Trauma, Injury, Infection, and Critical Care, 54(4), 663-670. 

  6. Gautam, V., & Heyworth, J. (1994). The value of the abbreviated ATLS course for accident and emergency nurses. Accident and Emergency Nursing, 2(2), 100-102. 

  7. Han, K. N., Choi, S. H., Kim, Y. C., Lee, K. H., Lee, S. E., Jeong, K. Y., et al. (2011). Evaluation of lung injury score as a prognostic factor of critical care management in multiple trauma patients with chest inju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Tranumatology, 24(2), 105-110. 

  8. Joo, S. Y. (2010). Professional meetings for preventable trauma mortality in trauma response system, A press release. Retrieved June 10, 2012, from http://blog.naver.com/joo350?RedirectLog&logNo128865110 

  9. Jung, K. W., Jang, J. M., Kim, J. Y., Baek, S. J., Somg, S. Y., Gang, C. S., et al. (2011). Delayed transfer of major trauma patients under the current emergency medical syste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Tranumatology, 24(1), 25-30. 

  10. Kim, H. D., & Kim, G. K. (1995). Special edition: Emergency care in patients with head injury. Kyung Hee Medicine, 11(1), 7-13. 

  11. Kim, H. J. (2005). Analysis of nursing performance of emergency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2. Kim, J. J., Suh, G. J., Jeong, K. Y., Kwon, W. Y., Kim, K. S., Lee, H. J., et al. (2011). Management of severe trauma patients in the emergency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Tranumatology, 24(2), 98-104. 

  13. Kim, K. S., Kim, Y. S., Choi, K. O., Hyeon, K. S., Yun, Y. S., Kim, S. Y., et al. (2012). Medical surgical nursing, Seoul: Soomoonsa. 

  14. Kim, T. Y., Jung, K. W., Kwon, J. S., Kim, J. Y., Bak, S. J., Song, S. Y., et al. (2011). Experience with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major trauma at the department of trauma surgery in one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for one yea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Tranumatology, 24(1), 37-44. 

  15. Kim, W. J. (2011). Severe trauma medical system overall improvement. Gigital BOSA, Medical news, Retrieved January 19, 2012, from http://www.bosa.co.kr/umap/sub.asp?news_pk169618 

  16. Kim, Y. S., Cho, M. S., Bae, G. S., Kang, S. J., Lee, K. H., Whang, K., et al. (2007). Clinical analysis of death in trauma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Tranumatology, 20(2), 96-100. 

  17.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2). Advanced course for severe trauma patients. Retrieved June 11, 2012, from http://edu.koreanurse.or.kr/offline_new/01_off_ view.asp?prgmNo19215&prgmExecuteNo14171 

  18.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3). Trauma nursing core course (provider course). Retrieved May 5, 2012, from http://edu.koreanurse.or.kr/ 

  19. Kunihiro, M. (2005). Trauma system in Japan: History, pres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Journal of Nippon Medical School, 72, 194-202. http://dx.doi.org/10.1272/jnms.72.194 

  20. Lee, E. N., Kim, B. J., Kang, K. H., Kim, S. S., & Kim, Y. S. (2008). Development of an in-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emergency room nurses according to their career ladde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1), 99-111. 

  21. Lee, W. C. (2011). Current state and problem of the transfer of severely injured patients in one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eoul. 

  22. Mackenzie, E. J. (1999). Review of evidence regarding trauma system effectiveness resulting from panel studies. The Journal of Trauma and Acute Care Surgery, 47(3), 34-41. 

  23. McCloskey, J. C., & Bulechek, G. M. (2000).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 Iowa Intervention Project. Mosby. 

  24. Nerida, B., & Zsolt, J. B. (2009). The definition of polytrauma: the need for international consensus, Injury, 40S4, S12-S22. http://dx.doi.org.eproxy.pusan.ac.kr/10.1016/j.injury.2009.10.032 

  25. Nguyen, H. B., Rivers, E. P., & Havastad, S. (2000). Critical car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 physiologic assessment and outcome evaluation. Academic Emergency Medicine, 7(12), 54-1361. http://dx.doi.org/10.1111/j.1553-2712. 2000. tb00492.x 

  26. Stewart, T. C., Lane, P. L., & Stefanits, T. (1995). An evaluation of patient outcomes before and after trauma center designation using trauma and injury severity score analysis. The Journal of The Trauma: Injury, Infection, and Critical Care, 39(6), 1036-1040. 

  27. Tang, Q., Liu, X., & Le, S. (2008). Application of chain-mode flow sheet management in first-aid of patients with severe trauma. Chinese Nursing Research, 22(8), 2036-2037. 

  28.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11). Emergency medicine. Seoul: Koonja. 

  29. Woodrow, P. (2000). Head injuries: Acute care. Nursing Standard, 14(35), 37-44. 

  30. Yoo, J. J. (1979). Statistical review ans nursing care of patients with traumatic abdominal injury. Jeonbug National University, Collected papers, 301-3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