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화학교사의 학습관이 실습수업에 미친 영향
The Influence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View of Learning on Their Practice Teaching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57 no.6, 2013년, pp.830 - 844  

고은정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최병순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과)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화학교사들의 실습 수업을 관찰하여 특징을 분석하고, 실습 수업의 특징이 그들의 학습관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교육실습 과정 중에 촬영한 예비교사 3인의 실습수업 동영상 9편을 분석하고, 학습관과 관련한 설문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예비화학교사들의 학습관이 실습수업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습관은 대부분 그대로 실습수업의 특징에 반영되는 모습을 보였다. 예비교사 K는 비교적 구성주의적 학습관을 지니고 있었고 실습수업에서도 구성주의적 특징이 많이 나타났으며, M은 다른 예비교사들보다 전통적 학습관을 많이 지녔고, 실습수업에서 전통적인 특징이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몇 가지 외적 요인에 의해 예비화학교사들의 학습관은 제한적으로 반영되기도 하였다. 특히 구성주의적 학습관이 수업에 반영되지 않은 몇 가지 사례가 예비교사들의 실습수업에서 나타났고, 특히 예비교사 H에게서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학습관의 내면화 미흡, 실습학교의 여건, 실습 지도교사의 영향 등이 큰 요인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예비화학교사들이 지닌 학습관은 실습수업의 실행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교육실습을 책임지는 사범대학교와 교육실습학교, 지도교수와 지도교사가 예비교사들을 이해하고 수업을 지원하는 데에 시사점을 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ractice teaching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ractice teaching characteristics and the view of learning. Three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ir 9 pr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이 직접 교수경험을 통해 실천적 지식을 함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실습을 PCK 신장의 중요한 시기라고 규정하고, 교육실습 과정에서 수행된 예비교사의 수업을 구체적으로 탐색하여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여러 특징들을 규명하였다. 또한 실습수업의 특징과 그들의 과학 학습관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예비화학교사의 실습수업 분석에 있어서 그들의 과학 학습관이 중요한 이유는? 교육실습에서 어떠한 수업을 준비하고 실시하는가는 예비교사의 선경험이 어떠했는가, 사범대학 교육과정을 통해 어떠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했는가가 영향을 미칠 것이며 그 외에도 실습학교의 여건, 지도교사의 특성, 사회심리적 환경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것이다. 이러한 변인들 중, 학습관은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학점 이수 과정과 교육실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19 예비교사의 행동과 생각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수 업 과정에서 표출된다. 교사의 학습관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고 지적한 Clark와 Peterson20은 교사의 과학 수업에 대한 학습관이 교수 실제를 결정하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고 제시하였고, Kagan19도 교사 학습관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교수-학습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학습관에 대한 연구가 근본이 되어야한다고 보았다.
예비교사들이 발전적인 과학 교수 경험을 조직, 시행해볼 기회를 얻지 못하는 이유는? 이를 위해서는 우선 예비교사들이 실제로 교육실습 과정에서 수업을 어떻게 실행하는지를 관찰하여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무엇이 영향을 주는지를 체계적으로 기술, 설명하는 것이 관건이다. 예비교사들은 현장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교수 활동을 보아도 비 판하지 않고 그대로 수용하려는 경향이 강하며,15 교과지도와 관련된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1617 교육실습이 설명식 수업과 문제풀이 수업 위주로 진행되기 때문에 발전적인 과학 교수 경험을 조직, 시행해볼 기회를 갖지 못한다 (윤혜경 등, 1997).18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예비교사가 교실 현장에서 겪는 문제점은 많으며, 그것이 수업에 드러날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PCK는 무엇인가? 교육혁신과 학교 교육의 질 향상의 핵심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이고,1 교사 전문성 발달의 필수적 요소는 내용교수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이하 PCK)이다.2 교사가 내용 지식을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특별한 형태로 표현하는 지식인 PCK는 1986년 Shulman3에 의해 소개된 이후 다른 내용전문가의 지식과 교사의 지식을 차별화해주는 교사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전문성의 형태이며, 경쟁력 있는 교과 교사를 정의하는 핵심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여져 왔다.4−8 즉 전문가로서 과학교사는 수업에서 풍부한 PCK를 가져야 하며,910 PCK의 발달은 교실 실천 속에 내재되어 있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Park, S.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6, 26(1), 122-131. 

  2. Imm, C. H.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2003, 24(4), 235-249. 

  3. Shulman, L. S. Educational Researcher 1986, 15, 4-14. 

  4. Ko, M. R.; Nam, J. H.; Lim, J.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9, 29(1), 54-67. 

  5. Kwak, Y. S. Open Education Action Research in Duksung Woman's University 2007, 10, 81-114. 

  6. Jang, H. S.; Choi, B. 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0, 30(6), 870-885. 

  7. Gess-Newsome, J.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s, 1999; pp 3-17. 

  8. Magnusson S.; Krajcik, J.; Borko, H.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s, 1999; pp 95-132. 

  9. Kwak, Y. S.; Kang, H. S. Evaluation Teacher and Teaching; Wonmisabook: Seoul, 2005. 

  10. Chung, H. N.; Choi, B. 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3, 33(1), 63-78. 

  11. Jung, H. Y.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09, 26(3), 241-260. 

  12. Jung, Y. K. The Theory and Practice of Practice Teaching for Pre-service Teachers; Moonumsabook: Seoul, 2004. 

  13. Lim, S. R.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1998, 15(2), 128-149. 

  14. Jang, J. E.; Kim, S. W.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9, 29(1), 43-53. 

  15. Zeichner, K. M.; Liston, D. P. Harvard Educational Research 1987, 5, 23-48. 

  16. Kang, K.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9, 29(5), 580-591 

  17. Park, I. O.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2007, 39(3), 185-212. 

  18. Yoon, H. K.; Park, S. J.; Shim, J. K.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997, 17, 289-299. 

  19. Kagan, D. Educational Psychologist 1992, 27, 65-90. 

  20. Clark, C. M.; Peterson, P. L. Thir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Macmilian: New York, 1986; pp 255-296. 

  21. Kwon, S. K.; Park, S. J.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995, 15(1), 104-115. 

  22. Cho, H. H.; Park, S. J. Philosophy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Kyoyookbook: Paju, 2001. 

  23. Park, J. W. Role of Metacognition in the Changes of Basic Concepts About Relativity. Docto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2. 

  24. Davis, N.; McCarty, B.; Shaw, K.; Sidani-Tabbaa, 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93, 15(6), 627-636. 

  25. Driver, R.; Bell, B. School Science Review 1986, 67(4), 443-456. 

  26. Kim, M. H.; Nam, I. K.; Kwon, S. K.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10, 29(3), 243-251. 

  27. Park, Y. B.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0, 20(2), 244-249. 

  28. An, Y. D. Relation Between the Belief of Teachers and Teaching Practices Through an Analysis on Science Instruction Structures and Contents. Master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9. 

  29. Lee, H. H.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viction and Reality in Science Lesson.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6. 

  30. Imm, C. B.; Kwak, Y. S. KICE Research Report 2006, ORM 2006-24-7. 

  31. Imm, C. B.; Yi, H. J.; Kwak, Y. S.; Kang, D. H.; Park, Y. S.; Jung, Y. J. KICE Research Report 2004, RRI 2004-5. 

  32.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Standards for Science Teacher Preparation 2003, Retrieved July 28, 2009. http://www.nsta.org/pdfs/NCATE-NSTA Standards2003.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