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직원의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Ability of CPR of Hospital Staffs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19 no.2, 2013년, pp.96 - 103  

이정화 (해운대 백병원) ,  성미혜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건강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ospital staffs' performance abilit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50 hospital staffs in B hospital located in Busan.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to Septemb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병원직원의 심폐소생술관련 특성, 심폐소생술에 관한 지식과 태도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수행능력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심폐소생술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향후 병원직원의 심폐소생술 교육의 질적 향상과 교육의 체계화, 그리고 자동제세동기의 효율성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병원직원의 심폐소생술 관련 특성과 심폐소생술에 관한 지식, 태도, 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병원직원의 심폐소생술의 수행능력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병원직원의 심폐소생술의 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심폐소생술 교육의 체계화 및 자동제세동기의 효율성을 확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병원직원 249명으로 자료 수집은 2012년 8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병원직원의 심폐소생술관련 특성, 심폐소생술에 관한 지식과 태도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수행능력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심폐소생술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향후 병원직원의 심폐소생술 교육의 질적 향상과 교육의 체계화, 그리고 자동제세동기의 효율성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병원직원의 심폐소생술 관련 특성과 심폐소생술에 관한 지식, 태도, 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자는 병원직원의 심폐소생술의 지식, 태도, 수행능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병원 내 심폐소생술 교육의 체계화와 자동제세동기의 효율성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폐소생술의 지식이란 무엇인가? 심폐소생술의 지식은 심정지 환자의 의식 확인, 응급의료체계에 신고, 기도유지, 호흡확인 및 인공호흡, 흉부압박, 호흡재평가 등 심폐소생술에 관한 정보를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으로(Park, 2002), 본 연구에서는 Park (2002)이 개발하고 Shin (2009)이 수정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AED 보급 현황은 어떻게 되는가? 또한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의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대책 방안과 관련하여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10442호에 자동제세동 기 등의 응급장비를 심폐소생술을 행할 수 있는 공공보건의료기관, 다중이용시설 등에 갖추어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2009). 이에 대한 결과로 전국적으로 자동제세동기 보급이 늘어나고 있으며 2011년 6월 을 기준으로 전국 4천 396곳에 자동제세동기가 설치되었으며, 서울시는 2011년 9월까지 공공시설, 철도역사, 종합운동장 등 다중 이용시설 696여 곳에 자동제세동기 보급 및 점검을 마친 상태이다(Moon, 2011). 병원은 환자의 진료를 위한 공간으로 다른 공공장소와는 다르게 심정지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 병원 내 심정지에서도 심정지 목격 후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까지의 소요시간이 생존 퇴원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Ahn, Lim, Kim, & Kim, 2005).
조기 심폐소생술의 시행 여부가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질환들은 갑작스런 심정지로 사망에 이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심정지 시 임상적 사망에서 생물학적 사망 으로의 진행을 막고 순환을 회복시켜 주는 것은 심폐소생술로, 심정지 발생 시는 4-6분 후면 치명적인 뇌손상이 일어나므로 대상자 가 발생한 현장에서의 목격자가 시행하는 조기 심폐소생술의 시행 여부가 매우 중요하다(Song & Oh,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S., Lim, K. S., Kim, W. Y., & Kim, W. (2005). Original articles: factors affecting the treatment results of In-hospital pulseless ventricular tachycardia and ventricular fibrill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6(4), 416-424. 

  2. Cho, G. C. (2011). A proposal for activation of CPR by lay persons. Panel discussion for expansion of CPR obligation education, 11-27. 

  3. Cho, H. Y. (2008). Analysis of nurses' attitude toward basic life support and influencing fac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4. Choi, H. O. (2006). Study on knowledge and competence of nurses in perform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5. Creutzfeldt, J., Hedman, L., Medin, C., Wallin, C. J., & Fellander-Tsai, L. (2008). Effects of repeated CPR training in virtual worlds on medical students' performance. Studies in Health Technology and Informatics, 132, 89-94. 

  6. Hamasu, S., Morimoto, T., Kuramoto, N., & Horiguchi, M. (2009). Effects of BLS training on factors associated with attitude toward CPR in college students. Resuscitation, 80(3), 359-364. 

  7. Handley, A. J. (2002). Teaching hand placement for chest compression-a simpler technique. Resuscitation, 53(3), 29-36. 

  8. Kanstad, B. K., Nilsen, S. A., & Fredriksen, K. (2011). CPR knowledge and attitude to performing bystander CPR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Norway. Resuscitation, 82(8), 1053-1059. 

  9. Kim, E. M., & Lee, E. K. (2009). The effects of BLS training on CPR attitudes of prim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of Nursing, 20(2), 189-196. 

  10. Kim, J. Y., Kim, D. W., Ahn, W. S., Shin, T. J., & Park, J. H. (2004). The education program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or resident and their effects assessed by anesthesiologists.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6(4), 424-429. 

  11. Kim, S. E. (2003). Outcom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in a emergency department of tertiary medical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2. Kim, S. S., & Kam, S. (2006). The effect of bas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3(4), 155-171. 

  13.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2009). Law about emergency medical No. 10442. Retrieved November 30, 2009, from http://www.kacpr.org/info/notice/view.php?codenotice&page3&number230&keyfield&key 

  14.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2011). 2011 Korea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Retrieved february 02, 2011, from http://www.kacpr.org/info/notice/view.php?codenotice&page3&number230&keyfield&key 

  15. Lee, J. E., Koh, B. Y., Lee, I. M., Choi, K. M., Park, S. I., & Ahn, H. G. (2003). The evaluation of bas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targeted for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7(1), 43-54. 

  16. Lee, M. H., Choi, S. H., & Park, M. J. (2007). Effect of CPR taining for lay trainees on their Knowledge and attitudes.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2), 198-203. 

  17. Mazer, S. P., Weisfeldt, M., Bai, D., & Cardinale, C. (2003). Reverse CPR a pilot study of CPR in the prone position. Resuscitation, 57(3), 279-285. 

  18. Mols, P. (2012). Do we need CPR/AED programmes or only CPR education for the nursing staff in our hospital. Acta Clinica Belgica, 67(4), 233-234. 

  19. Moon, S. H. (2011). Installation of AED in Seoul. Retrieved August 16, 2011, http://www.mdtoday.co.kr/mdtoday/?no163044 

  20. Park, D. S. (2010). Comparison of educational effects between song.video self stud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nd video self instruction (VSI) of CPR by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0(4), 225-235. 

  21. Park, J. S., & Jeon, H. R. (2010). Original articles: The effect of basic life support education using a standardized basic life support video program in nurse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2), 301-311. 

  22. Park, S. H. (2002). The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basic life support of the spouses of heart diseas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3. Park, S. H., Choi, H. J., Kang, B. S., Im, T. H., & Yeom, S. R. (2006). Original articles: A study assessing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first responders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7(6), 545-558. 

  24. Park, S. S., & Park, D. S. (2009). Comparison of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R) education effects between the song. video self-instruction and CPR VSI (Video Self-Instruct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10(2), 1-13. 

  25. Oh, Y. H., & Kim, B. J. (2005). The effect of a CPR training for non-healthcare provid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2), 278-286. 

  26. Ryoo, H. W. (2008). Basic life support performance and its related factors in new doct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7. Sayee, N., & McCluskey, D. (2012). Factor influencing performance of CPR by foundation year 1 hospital doctors. Ulster Medical Journal, 81(1), 14-18. 

  28. Shin, J. H. (2009). Performance ability after CPR education of the ground workers in an airpor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13(3), 29-40. 

  29. Song, K. J., &, Oh, D. J. (2007). Review: Current status of CPR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73(1), 4-10. 

  30. Statistics Korea. (2010). 2009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09. Retrieved November 9, 2010,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bSeq&aSeq179505&pageNo58&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