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영상 심폐소생술 교육이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Video Programs of 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 Educ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7 no.1, 2015년, pp.19 - 27  

변규리 (대구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박정은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홍해숙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video programs of 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 (CPCR) education of 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 of nurse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4 nurses working in a university hospital. Nurse's CPCR performance ha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동영상 CPCR 교육이 간호사의 CPCR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동영상 CPCR 교육과 기존의 강사중심 CPCR 교육이 간호사의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 및 술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교육 직후, 교육 3개월 후 및 교육 6개월 후의 점수 변화를 파악하여, 시간변화에 따른 동영상 CPCR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고자 한다.
  • 마네킹(Resusci Anne with Skillreporter, Leadal, Norway)을 직접 이용한 CPCR 술기능력 평가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순환부위, 가슴압박 시 충분한 이완, 압박깊이 및 속도, 가슴압박 대 인공호흡의 비율 및 인공호흡 시 정확도를 보고 판정하였다. 순환부위는 경동맥 촉지시 정확하여 초록색 불이 들어오면 1점, 그렇지않으면 0점이며, 1회 호흡 전달량(500-600 mL)이 정확하여 초록색 불이 들어오면 1점, 그렇지 않으면 0점이다.
  • 본 연구는 동영상 CPCR 교육과 강사중심 CPCR 교육이 교육 직후, 교육 3개월후, 교육 6개월후 시점에 따른 간호사의 CPCR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 및 술기능력에 미치는 교육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동영상 CPCR 교육이 간호사의 CPCR 관련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 및 술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동영상 CPCR 교육이 간호사의 CPCR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동영상 CPCR 교육과 기존의 강사중심 CPCR 교육이 간호사의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 및 술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교육 직후, 교육 3개월 후 및 교육 6개월 후의 점수 변화를 파악하여, 시간변화에 따른 동영상 CPCR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의식 CPCR 교육을 받은 간호사와 동영상 CPCR 교육을 받은 간호사의 비교연구를 통해, 동영상 CPCR 교육이 간호사의 CPCR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CPCR 교육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동영상 CPCR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교육 직후의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 및 술기능력정도가 높을 것이다.
  • 2) 동영상 CPCR 교육을 받은 실험군과 대조군은 시간별, 집단간, 집단 내 CPCR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 및 술기능력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정지로 인한 급사 환자에 대해 미국의 경우는 해마다 평균적으로 얼마나 발생하는가? 심정지로 인한 급사 환자 발생률은 생활방식의 서구화와 심혈관 질환의 급격한 증가 및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해마다 평균 45병상당 0.18건의 심정지가 발생하고 있으며[1], 3차 의료기관의 병원 내 심정지 발생률은 연간 입원환자 1,000명당 2.74-3.
CPCR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방법으로 내세우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현재 임상현장에서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기본 CPCR 술기교육으로 동영상 CPCR 술기교육인 ‘보면서 직접 따라하는 동영상 교육’이 있다[14]. 이 술기교육은 디브리핑을 함으로써 학습효과를 향상시키고, 학습자 스스로가 알고리즘에서 배울 핵심을 인지할 수 있으며, 개인행동의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변화와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재확인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15].
부적절한 CPCR 수행의 원인으로 볼 수 있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CPCR 교육시지식, 태도, 자기효능감, 술기능력 측정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살펴보면, 이론교육보다 이론과 실습이 병행되는 교육에서 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이 증진되었으며[7], 수행의지에 대한 자기효능감 또한 동영상을 활용한 CPCR 교육에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8].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CPCR 지식의 부족, 술기능력의 부족 및 낮은 자기효능감이 부적절한 CPCR 수행의 원인으로 조사되었으며[9,10], CPCR 교육 시 술기 능력에대한체계적인 교육강화와 실제로 수행할 수 있는 긍정적인 태도 및 자기효능감의 향상이 성공적인 CPCR 수행의 조건으로 강조되고 있다[11-13]. 그러나 임상 현장에서 CPCR 교육을 받은 간호사들이 실제 임상 현장에서는 CPCR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CPCR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onteleone PP, Lin CM. In-hospital cardiac arrest. Emergency Medicine Clinics of North America. 2012;30(1):25-34. http://dx.doi.org/10.1016/j.emc.2011.09.005 

  2. Ackermann AD. Investigation of learning outcomes for the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CPR knowledge and skills learned with the use of high-fidelity simul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2009;5(6):e213-e222. http://dx.doi.org/10.1016/j.ecns.2009.05.002 

  3. Swor R, Khan I, Domeier R, Honeycutt L, Chu K, Compton S. CPR training and CPR performance: do CPR trained by standers perform CPR?. Academic Emergency Medicine. 2006;13(6):596-601. http://dx.doi.org/10.1197/j.aem.2005.12.021 

  4. Hajbaghery MA, Mousavi G, akbari H. Factors influencing survival after in-hospit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Resuscitation. 2005;66(3):317-321.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05.04.004 

  5. Wik L, Myklebust H, Anestad BH, Steen PA. Twelve month retention of CPR skills with automatic correcting verbal feedback. Resuscitation. 2005;66(1):27-30.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04.12.022 

  6. Hwang SO, Lim K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 cardiovascular life support (4th ed). Seoul: Koonja;2011. p .32-150. 

  7. Madden C.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cquisition & retention of CPR knowledge & skills. Nursing Education Today. 2006;26:218-227. 

  8. Norman J.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on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The ABNF Journal : Official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Black Nursing Faculty in Higher Education. 2012;23(2):24-28. 

  9. Kim SM, Lee EJ. The effects of CPR clinical training on CPR performance and self effica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2(12):5759-5765. 

  10. Uray T, Lunzer A, Ochsenhofer A, Thanikkel L, Zingerle R, Lillie P, et al. Feasibility of life supporting first-aid (LSFA) training as a mandatory subject in primary schools. Resuscitation. 2003;59(2):211-220. http://dx.doi.org/10.1016/S0300-9572(03)00233-8 

  11. Kim JY, Jun SS, Kim DH, Choi S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BLS and provided CPR education among nurses at general wards in Pusa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8;15(2):143-152. 

  12. Ryoo HW. Basic life support performance and its related factors in new doctors [dissertation].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2008. 

  13. Kang KH, Yim J. A population health characteristic analysis of willingness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8;25(4):43-54. 

  14. Oh SI, Han SS. A Study on the sustainable effects of reeducation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n nurse's knowledge and ski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3):383-392. 

  15. Einspruch EL, Lynch B, Aufderheide TP, Nichol G, Becker L. Retention of CPR skills learned in a traditional AHA Heartsaver course versus 30-min video self-training: A controlled randomized study. 2007;74(3):476-486.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07.01.030 

  16. KACPR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line of publ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2011 [Internet]. 2011 [cited 2013 August 5]. Available from: http://www.kacpr.org 

  17. AHA (American Heart Association).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committee [Internet]. 2010 [cited 2013 August 1]. Available from: http://www.heart.org/HEARTORG/ 

  18. Hong JS, Ahn R, Kim WY, Kim SO, Hong ES. Retention of CPR skills by nursing students received training in AHA BLS courses for healthcare provid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Emergency Medicine. 2009;20(6):609-614. 

  19. Mundell WC, Kennedy CC, Szostek JH, Cool DA. Simulation technology for resuscitation train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Resuscitation. 2013;84(9):1174-1183.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13.04.016 

  20. Lee MH, Choi SH, Park MJ. Effect of CPR training for lay trainees on their knowledge and attitude.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2007;4(2):198-203. 

  21. Marenco JP, Wang PJ, Link MS, Homoud MK, Estes III, NA 3rd. Improving survival from sudden cardiac arrest: the role of th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JAMA :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1;285(9):1193-1200. http://dx.doi.org/10.1001/jama.285.9.1193 

  22. Park JS, Jeon HR. The effect of basic life support education using a standardized basic life support video program in nurse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2010;16(2):301-311. 

  23. Park JM. The effectiveness of competency and retention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dissertation] Daegu;Kyungpook National University;2006. 

  24. Hur HK, Park SH. Effects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for emergency care of patients with dyspnea, on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18(1):111-119. 

  25. Kim HS, Choi EY. Continuity of BLS training effect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18(1):102-110. 

  26. Shin SH, Kwon MS, Kwon SM.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on the knowledge and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11):5819-5826. http://dx.doi.org/10.5762/KAIS.2013.14.11.5819 

  27. Ahn JY, Seo KS, Park JB, Chung JM, Ryoo HW, Kang SW, et al. Comparison of skills and knowledge after basic life support training over a 6 month interval on preclinical medica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Emergency Medicine. 2009;20(5);496-504. 

  28. Smith KK, Gilcreas D, Pierce K. Evaluation of staff's retention of ACLS and BLS skills. Resuscitation. 2008;78(1):59-65.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08.02.007 

  29. Batcheller AM, Brennanm RT, Braslow A, Urrutia A, Kaye W.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erformance of subjects over forty is better following half-hour video self-instruction compared to traditional four-hour classroom training. Resuscitation. 2000;43(2):101-110. http://dx.doi.org/10.1016/S0300-9572(99)00132-X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