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수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Willingness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in Emergency Situation: Convergence factor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8, 2018년, pp.311 - 318  

김선경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김선애 (한국교통대학교 간호학과) ,  김종임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박미현 (포항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과 심폐소생술 관련 융합적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응급상황에서의 심폐소생술 수행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된 연구로서 BLS와 핵심기본간호술을 교육받은 간호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2018년 1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수집되었다. 연구분석은 SPSS(ver. 24.0)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과 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심폐소생술관련 변수들 사이에서는 중간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가(r=.575~.738) 확인되었으며, 자동제세동기 활용의 경우 기본간호술 자신감, 심폐소생술 자신감, 숙련도, 자기효능감과 낮은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r=.163~.301). 핵심기본간호술과 심폐소생술 관련 변수들 간에는 중간정도의 상관관계(r=.415~453)가 확인되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과 (OR=1.22, 95% CI: 1.07~1.38) 자동제세동기 활용이 (OR=1.72, 95% CI: 1.09~2.75)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반적인 간호술기 능력 향상이 심폐소생술 술기 능력향상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심폐소생술에서 주요 사용 도구인 자동제세동기와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기효능감 증진과 실제상황에서 심폐소생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자동제세동기 사용을 교육의 필수요소로 포함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basic self - confidence and CPR - related factors an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CPR intent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to March, 2018. Using SPSS(ver, 24.0), independent t-test, Pear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폐소생술 수행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여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간호대학생들이 교육을 이수한 것에 그치지 않고 응급상황에서 실제로 심폐소생술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교육과정 및 내용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및 핵심간호술 관련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이 중 심폐소생술 수행 의도에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기효능감 뿐만이 아니라 실제상황에서 심폐소생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AED의 사용을 교육의 필수요소로 포함시키는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 본 연구는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과 심폐소생술 관련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응급상황에서의 심폐소생술 수행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실제 심폐소생술 시도를 가능하게 하는 수행의 도를 높이는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기효능감 뿐만이 아니라 실제상황에서 심폐소생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AED의 사용을 교육의 필수요소로 포함시키는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향후 간호전문가로 성장할 간호대학생을 대상의 심폐소생술 실습교육의 체계적 구성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우리나라의 모든 지역의 간호대학생이 아닌 5개 학교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하였고 표본의 크기가 크지 않아 결과의 해석과 일반화에 주의가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폐소생술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심폐소생술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서는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기술과 함께 필수장비로서 자동제세동기(AED)의 활용이 중요하다. 적절한 활용능력을 통해 심정지 발생 후 제세동까지 걸린 시간은 급성 심정지 대상자의 생존률과 관련되어 있다[12].
실제 상황에서 심폐소생술 이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무엇인가?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능력과 더불어 수행 의지가 실제 상황에서 심폐소생술 이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선행 연구에서 심폐소생술 학습 참가 경험만으로도 심폐소생술 의지를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어[9] 간호대학생들의 심폐소생술교육 및 학습의 의미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병원 밖에서 심정지 환자가 발생했을때 생존율이 다른 나라에 비해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 심폐소생술이 생존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행위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심정지 현장에 목격자가 있었던 병원 밖 심정지 경우가 94%로 대부분 목격자가 있는 상황에서 심정지가 발생하여 소생의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나 목격자들 중 단지 10.6%만이 심폐소생술을 실제로 시행하였다[4]. 그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병원 밖에서 심정지 환자가 발생했을 때 생존율은 3%로 이는 미국, 유럽, 일본 등의 다른 나라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E. K. Jeong. (2017). 2006-2016 Sudden Cardiac Death Research,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 Statistics Korea. (2015). Survey of acute cardiac arrest[internet]. Daejon: Statistics Korea.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3. B. W. Kang. (2005).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 K. J. Song & D. J. Oh. (2007). Current status of CPR in Korea. Korean Journal of Medicine, 73(1), 4-10. 

  5. B. W. Kang. (2009). Act on emergency medical service. Seoul: Chung-Ku Publishing. 

  6. E. H. Park. (2014).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http://www.kabone.or.kr/kabon10/index.php 

  7. J. S. Han, I. S. KO, K. S. Kang, I. J. Song, S. M. Moon & S. H. Kim. (1999). The effectivenes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targeted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6(3), 492-505. 

  8. J. M. Park & S. E. Jun. (2018). The Effects of Knowledge, Attitude, and Self-efficacy of CPR on Willingness to Perform CPR in Family Members of Patients with Heart Disease. Journal of Korean Adult Nursing, 30(1), 79-88. DOI : 10.7475/kjan.2018.30.1.79 

  9. T. C. Jonston, M. J. Clark, G. A. Dingle & G. FitzGerald. (2003). Factors influencing Queenslanders' willingness to perform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ournal of the 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56(1), 67-75. DOI: 10.1016/S0300-9572(02)00277-0 

  10. T. Dwyer. (2008). Psychological factors inhibit family member's confidence to initiate CPR. Journal of the Prehosp Emerg Care. 12(2), 157-161. DOI: 10.1080/10903120801907216. 

  11. K. H. Kang & I. S. Lee. (2005) Evaluation of a Self-efficacy-based Basic Life Support Program for High-risk Patients' Family Caregiv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6), 1081-1090.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2015 Korea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3. T. Sanna et. al. (2008).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lone v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lus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use by non-healthcare professionals: a meta-analysis on 1583 case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Journal of Resuscitation. 76(2), 226-232. DOI: 10.1016/j.resuscitation.2007.08.001 

  14. R. J. Berger & J. G. O'shea. (2014). AEDs at Your Fingertips: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on College Campuses and a Novel Approach for Increasing Accessibility.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62(8), 592-596. DOI: 10.1080/07448481.2014.947993. 

  15. T. Sakai et. al. (2011). Effectiveness of the new 'Mobile AED Map' to find and retrieve an AED: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Resuscitation. 82(1), 69-73. DOI: 10.1016/j.resuscitation.2010.09.466. 

  16. T. Taniguchi, W. Omi & H. Inaba. (2008). Attitudes towar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use in Japan. Journal of the 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79(2), 288-291. DOI: 10.1016/j.resuscitation.2008.05.011 

  17. Y. K. Lee & E. G. Ji. (2017). Development of self-efficacy scale,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36(1), 5-31. DOI :10.18284/jss.2017.06.36.1.5 

  18.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17). Core basic nursing skill items.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19. J. Cohen. (1992). A power primer. Psychol Bull, 112(1), 155-159. DOI: 10.1037/0033-2909.112.1.155 

  20. J. Y. Jung. (2004). Treatment compliance and its related factors of rural hypertensiv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1. D. W. Choi. (2014).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Experiences on the Essential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 184-191. DOI : 10.5977/jkasne.2014.20.2.184 

  22. C. J. Klein & E. R. Fowles. (2009) An investigation of nursing competence and the competency outcomes performance assessment curricular approach: senior student's self-reported perception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5(2), 109-121. DOI : 10.1016/j.profnurs.2008.08.006 

  23. M. W. Kim. (2003). Development of objectives of nursing clinical education, based on the nursing core competen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4. M. A. Kim, S. H. Nam & H. E. Kim, (2004). Changes in student nurses' perception between initial and final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1(1), 21-30. 

  25. H. K. Jung & T. H. Uhm. (2015). Factors that influence kindergarten teachers' willingness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19(2), 19-27. DOI: 10.14408/KJEMS.2015.19.2.019 

  26. K. H. Kang & J. A. Yim. (2008). A Population health characteristic analysis of willingness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4), 43-54. 

  27. A. Bandur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28. H. R. Kim, E. Y. Choi, H. Y. Kang & S. M. Kim. (2011).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attitude, self-efficacy and the nur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fter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emergency nursing car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1), 5-13. DOI : 10.5977/JKASNE.2011.17.1.005 

  29. A. Y. Kim. (1997). A study on the academic failure - tolerance and its correlates. Korean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11(2), 1-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