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물종 다양성이 높은 하천변 복원을 위해 8개 하천 13지점에서 자연하천변 식물군락의 이질성을 ${\beta}$-diversity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하천에서 내륙으로 들어감에 따른 이질성의 평균값은 0.32이었다(0.23~0.37범위). 이 값은 식물군락의 종 구성이 6번 완전히 바뀌는 community turnover를 나타낸다. ${\beta}$-diversity는 섬진강, 한강, 낙동강, 금강 수계 간에 차이가 없었고, 각 수계 안에서 하천 유역은 하류(0.23)보다 상류(0.36)에서 더 높았다(p level<0.05).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beta}$-diversity는 경사도에서 유의성이 나타났다. Belt-transect를 통해 나타난 종들과 ${\beta}$-diversity 값을 통해 하천변의 우점종 모식도를 그려보면 상류의 종조성은 6번 바뀌고, 하류의 종조성은 약 5번 바뀌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하천 계획에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식재 수종과 식재 패턴의 기초를 제시하였으며, 하천변 식물군락의 종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사도를 높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have researched heterogeneity of naturalized river plant community by ${\beta}$-diversity for restoration of river community which has high diversity plant species. As a result the average of heterogeneity was 0.32(range 0.23~0.37) from the river to the inland. This value shows commu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하천과의 거리, 하천유역 및 하천수계에 따른 βt를 구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식물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 대해 알아보아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이질성(Heterogeneous)이라는 초점으로 식물의 분포 패턴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하천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인간의 간섭에 의한 훼손이 없거나, 적은 자연하천을 군집생태학적 방법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식물종과 환경요인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자료를 활용하여 복원할 하천의 특성에 맞는 식물군락 및 식물종을 선택하고, 식물이 정착하여 지속가능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하천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인간의 간섭에 의한 훼손이 없거나, 적은 자연하천을 군집생태학적 방법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식물종과 환경요인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자료를 활용하여 복원할 하천의 특성에 맞는 식물군락 및 식물종을 선택하고, 식물이 정착하여 지속가능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식물은 각자 최적의 환경조건을 갖춘 서식처에서 생육하는데, 식물의 생존과 생장에 가장 중요한 3대 필수요소 중 하나인 수분의 구배가 달라지는 것은 서식처 환경이 달라 서식하는 식물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을 뜻한다. 둘째, 경사도는 광의 유입과 긴밀한 연관이 있다. 생물의 서식을 고려한 구조적 패턴에서는 광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일련의 연구에 따르면 침엽수가 있는 하천이나, 밀도 높은 관목덩굴 등으로 그늘이 있는 하천, 또는 수목이 부재하기 보다는 나무가 있어 그늘진 하천 등이 생물의 서식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Kim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하천은 ‘크기에 관계없이 구배를 가지고 일정한 물길을 따라 흐르는 수괴’를 의미한다(Lee et al., 1996).
하천은 어떤 특성을 가지는가? , 1996). 하천은 연속성을 가지며(Vannote et al., 1980; Hauer and Lamberti, 1996), 임지와 같은 다른 서식지와 생태통로를 이끌어내는 필수요소로서 자연적으로 다양한 식물상과 동물상을 부양하고, 특징적인 군집과 기능을 보유한다. 많은 종들이 다양한 서식지로 이루어진 하천에 의존한다(Van Andel and Aronson, 2006).
하천을 복원할 때 최대한 자연적인 상태로 복원하면서 인간과 공존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하천복원을 시행하는데 인간을 제외한 환경의 보전 및 복원은 있을 수 없다. 따라서 하천을 복원할 때 최대한 자연적인 상태로 복원하면서 인간과 공존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nn, GY and Lee, EH (2000). A study on the plan of plant state for improvement of stream-ecosystem-in case of chungrang stream,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 Revegetation Technology, 3(2), pp. 35-46. [Korean Literature] 

  2. Ann, SH (1995). River of South Korea, Minumsa, pp. 36-62. [Korean Literature] 

  3. Bae, JH, Lee, KJ and Han, BH (2008).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ubsequent to crossing structure of the urban stream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3), pp. 268-279. [Korean Literature] 

  4. Cho, HJ and Yoon, JC (2009). Research on the method used to select an adequate rehabilitation plan for natural river based on the river's degree of naturalnes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1(3), pp. 71-80. [Korean Literature] 

  5. Gunkel, G (1996). Renaturierung Kleiner Fliessgewaesser, Gustav Fischer Verlag Jena, Stuttart. 

  6. Hauer, FR and Lamberti, GA (1996). Methods in Stream Ecology, Academic Press, pp. 579-589. 

  7. Heo, EB (2010). Studies on the Woody Vegetation in the edge of Natural River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 Korea, Master's Thesis, Kongju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8. Hupp, CR and Osterkamp, WR (1996). Riparian vegetation and fluvial geomorphic processes, Geomorphology, Vol. 14. pp. 277-295. 

  9. Iowa State University (1997). Stewards of our Streams: Buffer Strips Design,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Leopold Center. 

  10. Jeon, YH, Kim, JK and Kim, CG (2007). Future prospects of aquatic ecosystem restoration project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4, pp. 27-34. [Korean Literature] 

  11. Joo, GJ, Kim, HW and Ha, K (1997). The development of stream ecology and current statu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20(1), pp. 69-78. [Korean Literature] 

  12. Kim, HJ, Shin, BK, You, YH and Kim, CH (2008). A study on the vegetation of the present-day potential natural state of water for flood plain restoration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5), pp. 564-594. [Korean Literature] 

  13. Kim, HJ, Shin, BK and You, YH (2011). A study on the planning of riparian forest in flood pla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2), pp. 189-210. [Korean Literature] 

  14. Kim, JH, Koh, SD, Lee, HS, Oh, KH, Ihm, BS, Cho, KJ, Cho, DS, Min, BM, Seo, GH, Lee, JS, Jeong, YS, Lee, CS, Cho, KH, Ryu, TC, Lee, KS, You, YH and Kim, JY (2005). Modern-Ecology Experimental, Kyomunsa, pp. 29-31. [Korean Literature] 

  15.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KICT) (2002). River Restoration Guideline, Ministry of Environment, pp. 255. [Korean Literature] 

  16.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WRC) (1999). Water Resources Information of new Millennium,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pp. 1-28. [Korean Literature] 

  17. Kraus, W (1994). Uferstreifen-Unverzichtbare Bestandteile von Tallandschaften. In: Zeitschrift Fuer Kulturtechnik und Land-Entwicklung, Literaturangaben, 35(3), pp. 130-139. 

  18. Krause, A (2000). Uber Motive fur die okologische Verbesserung von Wasserlaeufen, Angewandte Landschaftsoekologie, pp. 9-11. 

  19. Kwon, HJ (1999). Geomorphology, Bobmunsa, pp. 90-94. [Korean Literature] 

  20. Large, ARG, Prach, K, Bickerton, MA and Wade, PM (1994). Alteration of Patch Boundaries on the Floodplain of the Regulated River Trent, UK. Regulated Rivers: Research and Management, 9(1), pp. 71-78. 

  21. Lee, C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Korean Literature] 

  22. Lee, HH, Han, Y, Kim, DI, Jeong, SJ and Kim, YS (1996). Geoenvironmental System 1: Topography.Meteorological Phenomena, Kyohaksa. [Korean Literature] 

  23. Lee, KS and Cho, DS (1999). Spatial distribution of herbal vegetation along microtopographic formed by disturbance in a temperate deciduous hardwood forest,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2(4), pp. 211-217. [Korean Literature] 

  24. Lee, WC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book. [Korean Literature] 

  25. Magurran, AE (1988). Ecological Diversity and Its Measurement, Princeton University, New Jersey. 

  26.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02). Stream Restoration Guideline, Seoul City. [Korean Literature] 

  27.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07). Ministry of Environment Report, Seoul City. [Korean Literature] 

  28.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02). Nature-Friendly River Management Guideline,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Korean Literature] 

  29.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07). Landscape Design Standard,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orean Literature] 

  30.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09). River Design Standard,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orean Literature] 

  31. Noh, HJ and Jeong, HY (2002). Understanding of Statisti cal Analysis by STATISTICA, Hyungseul Publishing, p p. 535-544. [Korean Literature] 

  32. Park, BK (2011). A Study on the Vegetation Restoration Model Depending on the Planting Foundation of Low-Water Revetment in Ecological River,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pp. 1-4. [Korean Literature] 

  33. Park, JS and Yoon, YS (2008). Modern-Statistics, Dasanbooks, p. 526. [Korean Literature] 

  34. Shields, FD, Bowie, AJ and Cooper, CM (1995). Control of streambank erosion due to bed degradation with vegetation and structure, Water Resource Bulletin, 31(3), pp. 75-488. 

  35. Splett, G (2000). Einfluss von Strukturverbesserungen auf Selbstreinigungskraft und Gutezustand von Fliessgewassern - Eine Ubersicht, WASSERWIRTSCHAFT, 90(7-8), pp. 380-383. 

  36. Vannote, RL, Minshall, GW, Cummins, KW, Sedell, JR and Cushing, CE (1980). The River Continuum Concept,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37(1), pp. 130-137. 

  37. Van Andel, J and Aronson, J (2006). Restoration Ecology, Blackwell Publishing, pp. 141-157. 

  38. Wilson, MV and Shmida, A (1984). Measuring beta diversity with presence-absence data, Journal of Ecology, 72(3), pp. 1056-1061. 

  39. Wilson, MV and Shmida, A (1985). Biological determination of species diversity, Journal of Biogeography, 12(1), pp. 3-12. 

  40. Yoo, YH, Gi., KJ, Han, DY, Kwak, YS and Kim, JH (1995). Succession and heterogeneity of plant community in Mt. yongam,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18(1), pp. 89-97.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