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Samhwangsasim-tang (SST), Hwangryeonhaedok-tang (HHT), Ukgan-san (UGS), Onjunghwadam-hwan (OHH) and Samul-tang (SMT) have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anti-obesity effects of 5 herbal formulas in high fat diet-(HFD) induced o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비만 변증 유형별 대표적 처방 5종에 대한 항비만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마우스의 체중변화, 간, 지방 조직 변화 및 혈중 생화학적 지표 변화를 살펴보았다. 주요 한약처방 5종 중에서도 본 실험에서 탁월한 항비만 효과를 보인 三黃瀉心湯과 溫中化痰丸은 체중, 간 및 지방 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청 지질 농도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본 처방들은 유용한 항비만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현재까지 한약재나 한약처방을 활용한 연구를 통하여 비만에 관해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지만, 주요 한약 처방들에 대한 비만효과 비교 연구는 많이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요 한약처방 5종에 대한 항비만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마우스에 경구투여한 후, 체중변화, 식이 섭취량, 간, 복부 및 피하 지방 조직, 혈중 생화학적 분석 등을 조사하여 체중 조절 및 체지방 개선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이란? 비만은 에너지 섭취와 소비간의 불균형에 의해 섭취가 소비보다 증가할 때 발생되며, 최근 식생활의 변화와 신체 활동량의 감소로 한국인의 비만 유병률은 1998년부터 10년간 5% 정도 증가하는 추세이다1,2). 또한 비만은 당뇨,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등의 대사성 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위험요소로 보고되고 있어3,4), 비만을 적극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광범위하고도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예방과 관리가 필요하다.
비만은 어떤 질환의 위험요소로 여겨지고 있는가? 비만은 에너지 섭취와 소비간의 불균형에 의해 섭취가 소비보다 증가할 때 발생되며, 최근 식생활의 변화와 신체 활동량의 감소로 한국인의 비만 유병률은 1998년부터 10년간 5% 정도 증가하는 추세이다1,2). 또한 비만은 당뇨,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등의 대사성 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위험요소로 보고되고 있어3,4), 비만을 적극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광범위하고도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예방과 관리가 필요하다.
비만의 예방과 관리 수단으로 어떤 방법이 있는가? 적절한 비만 관리 및 치료를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약물요법이 시행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여러 작용기전에 따라 비만치료제가 개발되고 있지만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천연물 유래 항비만 소재 개발이 더욱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오래전부터 사용된 경험을 바탕으로 축적된 근거중심의 한약재나 한약처방을 활용한 비만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5-11). 특히 최근 문헌과 임상 경험을 통해 발전해 온 한약처방을 근거로 한 과학적 연구가 점차 진행되면서 그 중에서도 방풍통성산이 비만치료 제로 시판되고 있어 한약처방의 비만 예방 및 치료에 대한 관심과 이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MJ. Recent advances in regulating energy homeostasis and obesity. Korean J. Pediatr. 2005; 48(2):126-37.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2011;52-3. 

  3. Despres JP, Lemieux I. Abdominal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 Nature. 2006;444(7121):881-7. 

  4. Jornayvaz FR, Samuel VT, Shulman GI. The role of muscle insulin resistance in the pathogenesis of atherogenetic dyslipidemia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 Annu Rev Nutr. 2010;30:273-90. 

  5. Song MY, Kim EK, Kong JC, Lee JH, Shin BC, Ryu DG, Kwon KB. Inhibitory Effect of Daesiho-tang (Dachaihu-tang) Extracts on High-fat Dietinduced Obesity. J Oriental Rehab Med. 2008;18(3):41-9. 

  6. Park SW, Cho CS, Kim CJ. Effect of Yagwan-cheunghyeoltang on Obesity in Rats Induced by High Fat Diet. Korean J. Orient. Int. Med. 2011;32(2):170-87. 

  7. Song HN, Lee HH, Kim JB. Effects of Water Extract of Yukeuigambi-tang on Obesity and Hyperlipidemia in Mice Induced by High Fat Diet.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1;25(6):1026-31. 

  8. Wang S, Song HN, Choi WI, Park JH Jeong YJ, Kang SC, Ko SK, Bhang DH. Identification of Anti-obesity Constituents from Yukeuigambitang. Korean J. Plant Res. 2012;25(2):271-6. 

  9. Seo CS, Jeong SJ, Kim JH, Yoo SR, Shin HK. Simultaneous Analysis and Anti-obesity Effect of Taeeumin Cheongsimyeonja-tang. J Sasang Constitut Med. 2013;25(1):51-61 

  10. Jeong HS. Efficacy of Alismatis Orientale Rhizoma on Obesity induced by High Fat Diet. Kor J Herbology. 2013;28(3):95-106. 

  11. Sung YY, Yoon T, Yang WK, Kim SJ, Kim DS, Kim HK. The Antiobesity Effect of Polygonum aviculare L. Ethanol Extract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3; 2013:626397. 

  12. Lee HY. Yoon KH, Seo BI, Park GR, Yoon MC. Shen ZB, Cui HH, Shin SS. Molecular biologic mechanism of obesity by GGEx18. Kor J Herbology. 2011;26(1) :65-74. 

  13. Lee HC, Choi YM, Shim WJ, Kim KS, Choi SM, Kang BK, Shin SU.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with Abdominal Visceral Fat in Obese Patients Identified as Phlegm Type. Journal of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2006;6(1): 51-9. 

  14. Chung MH, Han SJ. Effect of Composite Preparation of Crude Drugs on Experimentally Induced Hyperlipemia in Rats Sam Whang Sasim Tang and Whang Ryun Haedok Tang. Kor J Pharmacogn. 1996;27(4): 397-407. 

  15. Lee JM, Lee E. Antihyperlipid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Samhwangsasimtang aqua-acupuncture. J Kor pharmacopuncture. 2005;8(1):51-7. 

  16. Kim YS, Jung EA, Chang JC, Yang HK, Kim NJ, Cho GH, Hae HS, Lee KS, Kim DH. Effect of Daewhangwhangryunhaedok- Tang on Hyper-lipidemia. Kor J Pharmacogn. 2001;32(2):145-52. 

  17. Kwak DH, Lee JH, Kim DG, Kim T, Lee KJ, Ma JY. Inhibitory Effects of Hwangryunhaedok-Tang in 3T3-L1 Adipogenesis by Regulation of Raf/MEK1/ ERK1/2 Pathway and PDK1/Akt Phosphorylation.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3;2013: 413906. 

  18. Schnell MA, Hardy C, Hawley M, Propert KJ, Wilson JM. Effect of blood collection technique in mice on clinical pathology parameters. Hum Gene Ther. 2002;13(1):155-61. 

  19. Cha MK, Lee JY, Kim DG, Lee KT. Effects of Bangpoongtongsungsan on Adipose Tissue and Hyperlipidemia of 3T3-L1 Induced Rats. J Korean Oriental Pediatrics. 2006;20(2):177-96. 

  20. Hwang S, Song T, Oh M. The Inhibitory Effects of Bangpungtongseoung-san on the Obese gene and Obese Inhibitory about Obese-mouse induced by High Fat Diet. J Korean Oriental Med. 2006;27(1) :11-22. 

  21. DiGirolamo M, Fine JB, Tagra K, Rossmanith R. Qualitative regional differences in adipose tissue growth and cellularity in male Wistar rats fed and libitum. Am J Physiol. 1998;274(5 Pt2 ):1460-7. 

  22. Kim AR, Hwang YG, Lee JJ, Jung HO, Lee MY. Effect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oquat) Leaf Ethanol Extract on Cholesterol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Rats Fed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1;40(5):673-81. 

  23. Goldberg IJ. Lipoprotein lipase and lipolysis:central roles in lipoprotein metabolism and atherogenesis. J Lipid Res. 1996;37(4):693-707. 

  24. Assmann G, Schulte H. The Prospective Cardiovascular Mu nster (PROCAM) study: prevalence of hyperlipidemia in persons with hypertension and/or diabetes mellitus and the relationship to coronary heart disease. Am Heart J. 1988;116(6 Pt 2):1713-24. 

  25. "NIH stops clinical trial on combination cholesterol treatment".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NHLBI). Retrieved 2 June 2011. http://www.nih.gov/news/health/may2011/nhlbi -26.htm 

  26. Hwan Seong Ro, Woo Kyoung Ko, Oon Ja Kim, Kun Koo Park, Young Whan Cho, Hyoungsup Park. Antihyperlipidemic Activity of Scutellaris baicalensis Georg., Coptidis japonica Makino and Rhei koreanum Nakai on Experimental Hyperlipidemia in Rats. J Kor Pharm Sci. 1996;26(3):215-9. 

  27. Youngjong Son,Yunsang Kim,Youngjong Lee. The Effects of Rhei palmati Radix and Rhei undulati Radix on the Blood Lipids and Enzymes of Hypercholesterolic Rats. Kor J Herbology. 1999;14(1):61-8. 

  28. Youngjong Lee. The Effects of Fraction Obtained from Rhei Rhizoma on the Blood Lipids in Hypercholesterol Rats. Kor J Herbology. 2000;15(2):87-93. 

  29. Chang Ho Park, Hee Kyoung Jung, Yoo Seok Jeong, Joo Heon Hong, Gee Dong Lee, Chi Deok Park. Effects of Citrus Peel Ethanol Extract on the Serum Lipid and Body Fat of High-fat-diet-fed Rats. Korean J Food Preserv. 2011;18(4):567-74. 

  30. Beattie JH, Nicol F, Gordon MJ, Reid MD, Cantlay L, Horgan GW, Kwun IS, Ahn JY, Ha TY. Ginger phytochemicals mitigate the obesogenic effects of a high-fat diet in mice: a proteomic and biomarker network analysis. Mol Nutr Food Res. 2011;55(2): S203-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