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체증상,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Affecting Factors in Unemployment 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Focused on Physical Symptoms, Depression, Anxiety and Self-estee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12, 2013년, pp.808 - 816  

최승혜 (수원대학교 간호학과) ,  이해영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신체증상,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과 취업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후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포괄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여성, 고학년, 낮은 대학생활 만족도, 여가활동 부족, 취업준비 불만족, 취업고민을 공유할 사람 부재 시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취업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우울, 불안과 신체건강은 취업스트레스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아존중감은 취업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귀분석결과 4학년일수록, 우울할수록 취업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취업준비 만족도가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취업준비 프로그램은 취업 정보 제공과 함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unemployment stress and affecting factors including physical symptoms, mental health, and self-esteem. In the results, students appeared to have more stress when they were female, in higher grades, in low satisfaction in their school li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내적 자원으로는 자아존중감[4]이 있을 수 있는데 자아존중감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뿐 아니라 취업스트레스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내적 자원인 자아존중감의 효과를 포함하여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포괄적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신체증상, 우울, 불안, 취업스트레스 정도와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횡단적 연구(cross-sectional study)이다.
  • 최근 경제 침체와 사회 불안정으로 인한 청년 실업률의 증가로 취업이 대학생들에게 큰 스트레스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23]. 본 연구는 이러한 취업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전략 개발을 위해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신체증상,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 취업스트레스의 정도를 분석하고,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청년실업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해소하고 취업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증상이란 무엇인가? 신체증상이란 기질적인 병리소견 없이 심리적 목적이나 개인적인 이득을 위하여 무의식적으로 신체를 통해 나타내는 증상으로 마음의 고통을 신체의 아픔으로 투사함으로써 심리적 갈등을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15]. 본 연구에서는 이미진(2008)의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으로 심혈관계 증상, 소화기계 증상, 두통 증상, 수면 장애 등을 포함하는 총 17개 문항의 점수를 의미하며, 각 문항은 1점부터 5점까지의 5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신체증상이 많이 나타남을 의미한다[16].
취업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내적 자원으로 자아존중감을 들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이러한 요인은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내·외적 자원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이러한 내적 자원으로는 자아존중감[4]이 있을 수 있는데 자아존중감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뿐 아니라 취업스트레스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내적 자원인 자아존중감의 효과를 포함하여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포괄적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취업스트레스는 무엇인가? 취업스트레스는 취업과 관련된 문제로 인해 대학생활 중 신체적, 심리적 평형상태가 파괴되고, 위기나 긴장감, 그리고 불안감을 느끼는 상태이다[21]. 본 연구의 취업 스트레스는 정의석과 노안영(2001)의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 idxno27383 

  2.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 stts/PO_STTS_IdxMain.jsp?idx_cd1494&bbs INDX_001 

  3. 황춘희,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4권, 제1호, pp.73-82, 2012. 

  4. 김경욱, 조윤희, "대학신입생의 진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4호, pp.197-218, 2011. 

  5. 김민정, 조긍호, "취업준비생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진로태도 성숙도가 무망감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3권, 제4호, pp.47-62, 2009. 

  6. 윤명숙, 이효선, "대학생의 우울, 취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문제 음주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3호, pp.109-137, 2012. 

  7. 김범준, "대학생의 행목에 영향을 미치는 행복/불행 관련 사건들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5권, 제1호, pp.115-135, 2011. 

  8. 신선행, "일부 보건계열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 제12권, 제3호, pp.217-225, 2012. 

  9. 정해은, "오산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오산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제5권, pp.89-105, 2000. 

  10. 송주현, 대학생의 전공계열에 따른 취업스트레스,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차이, 한국기술교육대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1. 박성환, 특수체육 전공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2. 박선희, 박현주,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6권, 제1호, pp.67-81, 2009. 

  13. 이용길, 강경희,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 결정효능감 분석: 공학 및 사회계열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pp.60-67, 2011. 

  14. 황라일, "전문대학 간호과 여대생의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6권, 제2호, pp.215-226, 2012. 

  15. 한덕웅, 박준호, 김교헌, "스트레스 사건에 관한 자기노출, 반복생각 및 정서경험이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9권, 제1호, pp.99-130, 2004. 

  16. 이미진, 건강행동이 성인의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7. A. T. Beck,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76. 

  18. 김광일, 원호택, 이정호, 김광윤, "간이정신진단검사 (SCL-90-R) 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I: 정상인의 반응특성", 신경정신의학, 제17권, pp.449-458, 1978. 

  19.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Revised edition, Middletown, CT: Wesleyan University Press, 1989. 

  20. 전병재, "자아개념 측정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제11권, 제1호, pp.107-130, 1974. 

  21. 황성혜, 박종구, "대학생 취업난의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자연경관의 효과 : 사바나 이론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24권, 제3호, pp.85-101, 2009. 

  22. 정의석, 노안영,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증, 자아존중감 및 신체건강과의 관계 연구", 전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 제33권, pp.85-101, 2001. 

  23. 김명옥, 박영숙,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취업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제19권, 제11호, pp.69-90, 2012. 

  24. 전영자, 강경훈, "대학생의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pp.201-202, 2008. 

  25. 유은영,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6호, pp.225-236, 2009. 

  26. 이숙정. "중, 고생의 교사신뢰와 자아존중감, 학습동기, 학업성취 및 학급풍토간의 관계모형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제20권, 제1호, pp.197-218, 2006. 

  27. 박미진, 김진희, 정민선, "취업준비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제10권, 제1호, pp.417-435,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