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
The Factors Influencing on Employment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3 no.3, 2014년, pp.146 - 153  

변은경 (경남정보대학교 간호학과) ,  윤숙자 (경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학과) ,  김경희 (경남정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on employment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students who agreed to b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nd 230 cases were finally analyzed.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중재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그러나 연구대상자가 일부 지역에 한정되어 있어, 대학생 전체에 확대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알아보고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를 줄이는 중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취업 스트레스의 정도를 알아보고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취업 스트레스와의 관계와 취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취업 스트레스의 정도를 알아보고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취업 스트레스의 관계와 취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를 줄이고 조절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이나 중재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들은 어떤 다양한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가? 대학생들은 청소년 후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시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의 대학생들은 안정된 정체감의 확립과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개인적 가치와 목표의 설정, 사회적 적응, 진로 결정 그리고 취업에 대한 준비 등 다양한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Park & Lee, 2013). 
취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상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그동안 대학생들의 진로상담과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취업 스트레스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취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 특성에서는 연구마다 차이가 있는데 Shin과 Cho (2013)의 연구에서는 성별, 전공, 학년, 월 소득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Kim과 Choi (2012)의 연구에서는 학년, 전공계열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선행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공통된 인구학적 특성에 대한 조사를 통한 영향 요인은 어떠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는가? 따라서 선행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공통된 인구학적 특성에 대한 반복 조사를 통한 영향 요인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는 취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따라 중재 방안이 마련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된 관련요인인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취업 스트레스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청년 실업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해소하고 취업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대학 현장에서 개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yun, E. K., & Park, S. H. (2014).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ess on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1), 323-330. http://dx.doi.org/10.5762/KAIS.2014.15.1.323 

  2. Chang, M. Y. (2005). The relationship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on their majors, attributional style, and career decision lev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 Cho, H., & Lee, G. Y. (2006).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0(2), 163-173. 

  4. Cho, M. J. (2009). The effects of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on job-seeking anxiety and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5. Cho, S. H., & Lee, H. Y. (2013). Affecting factors in unemployment stress among college students-focused on physical symptoms, depression, anxiety and self-esteem. The Korea Contents Society, 13(12), 808-816. http://dx.doi.org/10.539 2/JKCA.2013.13.12.808 

  6. Je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University Journal, 11, 107-124. 

  7. Jeong, M. H., & Shin, M. A.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atisfaction in major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2), 170-177. 

  8. Jung, Y. H., & Yang, J. H. (2013). The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employment stress of the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0(3), 229-248. 

  9. Kang, K. H. (2010).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self-esteem and employment stres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10. Kang, Y. S., & Hwang, S. K. (2013). Correlation of self-esteem,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otivation in colleg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7), 3301-3309. http://dx.doi.org/10.5762/KAIS.2014.15.7.3301 

  11. Kim, B. S., & Chung, T. W. (2005). Effect analyses on the employment efficacy promoting programme(EEPP) for junior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18(1), 206-227. 

  12. Kim, C. S. (2012). Effects of the pursued job valu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major, and certified qualifications of prospective university graduates on their job search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3. Kim, E. J., & Choi, K. W. (2012). The effects of the depression and job-seeking stress on the career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19(2), 231-239. 

  14. Kim, K. H., & Ha, H. S. (2000). A study of department satisfaction factors of undergraduate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0(1), 7-20. 

  15. Kim, N. H. (2007). On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stress characterized in their responses to PITR .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Daegu. 

  16. Kim, S. K. (2003). Life stress in freshman and adjustment to colleg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0(2), 215-237. 

  17. Kim, S. O., & Jeon, Y. J. (2013).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university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Focused on depression and anxiety.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2(4), 539-558. http://dx.doi.org/10.5934/kjhe.2013.22.4.539 

  18. Ko, J. E., Kim, M. H., Kim, E. J., Kim, H. J., Eom, J. E., Lee, H. A., et al. (2011). The relation between nursing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Journal of Ewha Nursing, 45, 29-44. 

  19. Lee, J. H. (2014). Effects of career indecision and job-seeking stress of college students on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Daegu. 

  20. Lee, S. Y. (2009). Research on major selection factor, satisfaction of major and employment selection of university student in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1. O, S. H. (2008).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with major and compromising type for vocational aspi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22. Park, E. H., & Lee, E. T. (2013). The effects of undergraduates'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ego-resilience on jobs seeking stress. Studies on Korean Youth, 24(4), 5-30. 

  23. Park, H. S., Bae, Y. J., & Jung, S. Y. (2002). A study on selfesteem, self-efficacy, coping methods, and the academic and job-seeking str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1(4), 621-631. 

  24. Park, M. J., Kim, J. H., & Jung, M. S. (2009). A qualitative study on the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for preparing employment.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0(1), 417-435. 

  25. Park, S. M. (2006). A study of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entoring-function scale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18(1), 49-57. 

  26. Rhyu, J. H., & Kim, T. S. (1998).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job-seeking stress and stress coping mode. Journal of Student Guidance Research, 16(1), 211-232. 

  27. Shin, K. S., & Cho, I. J. (2013). The effects of job-seeking skill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n job-seeking stress in college student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9(3), 143-160. 

  28. Shin, S. H. (2012). A study on employment stress and self-esteem of health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2(3), 217-225. 

  29. Statistics Korea. (2014). Report on wage and salary employment position statistics based on administrative data in 2012 . from http://kostat.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