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색 콜라비를 첨가한 햄버거 패티의 품질 및 저장 특성
Quality Properties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Hamburger Patty Added with Purple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2, 2013년, pp.1994 - 2003  

차선숙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재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마쇄한 자색 콜라비의 첨가가 햄버거 패티의 품질 및 저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으며, 콜라비 첨가량은 각각 0, 3.3, 6.6 및 10%로 제조하여 $5^{\circ}C$에서 15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 특성 및 저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패티의 일반성분은 조지방과 조단백질 함량은 콜라비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조회분과 수분 함량은 증가하였다. 네 종류의 패티에서 가장 많은 조성을 차지하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leucine의 순이었으며,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의 경우 palmitic acid가 가장 많았고 불포화지방산은 oleic acid가 가장 높았다. 열량, 보수력가열감량은 처리구별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H는 대조구에 비해 10% 콜라비를 첨가한 K3구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나 그 차이는 작았다. 조직 특성에서는 탄력성과 응집성이 콜라비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또한 관능평가에서 콜라비 6.6%와 10%를 첨가한 K2구와 K3구에서 색, 다즙성, 연도, 풍미 및 전체 기호도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어 바람직하였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지질산패도, VBN 함량 및 총 미생물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10% 콜라비를 첨가한 K3구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지질산패도와 VBN 함량이 저하되었으나 총 미생물 수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10% 콜라비의 첨가는 패티의 품질과 저장 특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purple Kohlrabi addition on the quality properties and stability characteristics of hamburger patties during storage. The patties were prepared by adding 0% (N), 3.3% (K1), 6.6% (K2), and 10% (K3) of chopped purple Kohlrabi. Each patty was tested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자색 콜라비(11)를 천연 항산화제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품 재료로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육제품에 적용시켜 제품의 품질, 저장 특성 및 지방 산화에 영향은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여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마쇄한 자색 콜라비의 첨가가 햄버거 패티의 품질 및 저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으며, 콜라비 첨가량은 각각 0, 3.3, 6.6 및 10%로 제조하여 5°C에서 15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 특성 및 저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3)Means in the same row not sharing a common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3)NS: not significant
  • 4)Means in the same row not sharing a common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5)NS: not significa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콜라비란? 콜라비(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는 양귀비 목(Papaveraceae) 배추과(Brassicaceae)에 속하는 2년생 채소로, 순무양배추 또는 구경양배추라고도 한다. 콜라비는 양배추 등 일반채소에 비하여 비타민 C와 칼륨이 풍부하고, 열량도 낮으며 식이섬유소가 풍부해 다이어트에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10).
햄버거 패티에 함유된 지방의 과다섭취는 어떤 질환과 상관관계가 있는가? 그러나 일반적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햄버거 패티의 경우는 소비자들로부터 포화지방산 및 콜레스테롤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고칼로리 식품으로 인식되고 있어 한편으로는 영양 불균형을 초래 건강 및 영양상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2). 특히 이러한 육제품에 함유된 과다한 지방 섭취는 비만, 고혈압, 동맥경화 및 관상동맥계의 질환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되었다(3). 또한 분쇄육 가공제품인 햄버거 패티는 저장 중 지질산화에 의해 산패취가 발생하고, 지질산화 시 생성된 과산화물도 생체에 잠재적인 독성물 질로 변화되어 관상동맥계의 질환, 발암 및 당뇨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4).
자색 콜라비에 많이 들어 있는 색소인 anthocyanin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콜라비의 껍질 색은 자색, 흰색 및 초록으로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중 적색 콜라비는 항산화 및 항암효과가 우수한 물질(11)로 알려진 anthocyanin과 carotenoid(12), glucosinolates(11)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자색 콜라비에 많이 들어 있는 색소인 anthocyanin은 수용성 flavonoid 계열에 속하는 것으로 식물의 꽃, 과실, 줄기, 잎, 뿌리 등 식물체 각 부위에 폭넓게 함유되어 있으며(13), 최근 인체의 만성적 질병과 연관된 항산화, 항염증, 항암, 동맥경화 억제, 지질과산화 저해 및 DNA cleavage 보호 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14-16) 가 인정되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anthocyanin을 함유한 다양한 식품소재 개발 및 평가가 진행 중이고, 또한 anthocyanin을 이용한 질환개선 제제의 개발 및 기능성 식품으로의 활용성이 검토(11)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Chung KY, Chung ER, Lee JY. 2008. The manufacturing of low-fat hamburger patties added organic vegetabl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 165-170. 

  2. Lee YM, Lyu ES. 2008. Physi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ungkukjang powder added hamburger patty.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742-747. 

  3. Reddy BS. 1995. Nutrition factors and colon cancer. Crit Rev Food Sci Nutr 35: 175-190. 

  4. Abe J, Berk BC. 1998. Reactive oxygen species as mediators of signal transduction in cardiovascular disease. Trends Cardiovasc Med 8: 59-64. 

  5. Cassen RG. 1995. Use of sodium nitrite in cured meats today. Food Technol 49: 72-80. 

  6. Kim HS, Chin KB. 2011.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ork patties containing various tomato powders of solubility.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0: 436-441. 

  7. Lee JH, Chin KB. 2012.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beet extracts, and physiochemical and microbial changes of ground pork patties containing red beet extract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2: 497-503. 

  8. Jeon MR, Choi S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added with seaweed powder.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2: 77-83. 

  9. Kim YJ. 2011. Effects of addition of pine needle extracts in different forms on the antioxidant and residual nitrite contents of emulsified sausages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1: 74-80. 

  10. Choi SH, Ryu DK, Park S, Ahn KG, Lim YP, An GH. 2010. Composition analysis between koho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and radish (Raphanus sativus). Kor J Hort Sci Technol 28: 469-475. 

  11. Cha SS. 2013. Physiological activities of kohlrabi and their applications to ground hamburger patty and cookie. PhD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p 55-64. 

  12. Park WT, Kim JK, Park S, Lee SW, Li X, Kim YB, Uddin MR, Park NI, Kim SJ, Park SU. 2012. Metabolic profiling of glucosinolates, anthocyanins, carotenoids, and other secondary metabolites in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J Agric Food Chem 60: 8111-8116. 

  13. Choung MG. 2004. Analysis of anthocyanins. Korean J Crop Sci 49(Spc 1): 55-67. 

  14. Acquaviva R, Russo A, Galvano F, Galvano G, Barcellona ML, Li Volti G, Vanella A. 2003. Cyanidin and cyanidin 3-O-beta-D-glucoside as DNA cleavage protectors and antioxidants. Cell Biol Toxicol 19: 243-252. 

  15.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1996.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 Biol Med 20: 933-956. 

  16. Ramirez-Tortosa C, Andersen OM, Cabrita L, Gardner PT, Morrice PC, Wood SG, Duthie SJ, Collins AR, Duthie GG. 2001. Anthocyanin-rich extract decreases indices of lipid peroxidation and DNA damage in vitamin E-depleted rats. Free Radic Biol Med 31: 1033-1037. 

  17. Cha SS, Lee MY, Lee JJ. 2013.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kohlrabi flesh and peel. Korean J Food Preserv 20: 88-96. 

  18. Park JH, Baek OH. 2012.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icrobiological of simple preprocessed foods vega-ball with guava leaf powder for soup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585-592. 

  19. Park JE, Kim MJ, Jang MS. 2009. Optimization of ingredient mixing ratio for preparation of Chinese radish (Raphanus sativus L.) j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35-243. 

  20. Kim HR, Lee JH, Kim YS, Kim KM. 2007.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prepared by adding Ge-Geol radish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283-288. 

  21. Shon MY, Kim MH, Park SK, Park JR, Sung NJ. 2002. Taste components and palatability of black bean chungkujang added with kiwi and radis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39-44. 

  2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788. 

  23. Folch J, Lees M, Sloane-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24. Morrison WR, Smith LM. 1964. Preparation of fatty acid methylesters and dimethylacetals from lipid with boron fluoride- methanol. J Lipid Res 5: 600-608. 

  25. Laakkonen E, Wellington GH, Skerbon JW. 1970. Low-temperature long-time heating of bovine muscle I. Changes in tenderness, water-binding capacity, pH and amount of water-soluble components. J Food Sci 35: 175-177. 

  26. Witte VC, Krause G, Bailey ME. 1970. A new extraction method for determining 2-thiobarbituric acid values of pork and beef during storage. J Food Sci 35: 582-585. 

  27. Short EI. 1954. The estimation of total nitrogen using the Conway micro-diffusion cell. J Clin Pathol 7: 81-83. 

  28. Harrigan WF, MaCane ME. 1976. Laboratory methods in food and dairy microbiology. Academic Press, London, UK. p 753-850. 

  29. SAS. 2004. SAS/STAT Software for PC.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30. Song DJ. 1993. Changes in freshness of spent layer meat with additive levels of sodium chloride and phosphates. J Inst Develop Livestock Prod 20: 9-19. 

  31. Hensley JL, Hand LW. 1995. Formulation and chopping temperature effects on beef frankfurters. J Food Sci 60: 55-57. 

  32. Kato H, Rhue MR, Nishimura T. 1989. Role of free amino acids and peptides in food taste. In Flavor Chemistry.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p 158. 

  33. Cambero MI, Seuss I, Honikel KO. 1992. Flavor compounds of beef broth as affected by cooking temperature. J Food Sci 57: 1285-1290. 

  34. Winger RJ, Fennema O. 1976. Tenderness and water holding properties of beef muscle as influenced by freezing and subsequent storage at -3 ${^{\circ}C}$ or 15 ${^{\circ}C}$ . J Food Sci 41: 1433-1438. 

  35. Song HI, Moon GI, Moon YH, Jung IC. 2000. Quality and storage stability of hamburger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Korean J Food Ani Resour 20: 72-78. 

  36. Lunt DK, Smith SB. 1991. Wagyu beef holds profits potential for U.S. feedlots. Feedstuffs 63: 18-26. 

  37. Miller MF, Davis GW, Seideman SC, Ramsey CB. 1986. Effects of chloride salts on appearance, palatability, and storage traits of flaked and formed beef bullock restructured steaks. J Food Sci 51: 1424-1426. 

  38. Goddard BL, Mikel WB, Conner DE, Jones ER. 1996. Use of organic acids to improve the chemical, physical, and microbial attributes of beef strip loins stored at -1°C for 112 days. J Food Prot 59: 849-853. 

  39. Langlois BE, Kemp JD. 1974. Microflora of fresh and drycured hams and affected by fresh ham storage. J Anim Sci 38: 525-531. 

  40. Park JG, Her JH, Li SY, Cho SH, Youn SK, Choi JS, Park SM, Ahn DH. 2005.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orage property and quality in the traditional seasoning beef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13-119. 

  41. Brewer MS, Ikins WG, Harbers CAZ. 1992. TBA values, sensor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s in ground pork during long-term frozen storage: Effect of packing. J Food Sci 57: 558-563. 

  42. Keskinel A, Ayres JC, Hnyer HE. 1964. Determination of oxidative changes of meats by the 2-thiobarbituric acid method. J Food Technol 18: 223-228. 

  43. Kim HY, Jeong JY, Choi JH, Lee MA, Lee JH, Chang KH, Choi SY, Paik HD, Kim CJ. 2006.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on Tteogalbi quality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 478-485. 

  44. KFDA. 2002. Meat product. In Food Cod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220. 

  45. Kang SN, Jang A, Lee SO, Min JS, Lee M. 2002. Effect of organic acid on value of VBN, TBARS, color and sensory property of pork meat. J Anim Sci & Technol 44: 443-452. 

  46. Reagan JO, Jeremiah LE, Smith GC, Carpenter ZL. 1971. Vacuum packaging of lamb. I. Microbial considerations. J Food Sci 36: 764-766. 

  47. Benedini R, Raja V, Parolari G. 2008. Zinc-protoporphyrin IX promoting activity in pork muscle. LWT-Food Sci Technol 41: 1160-11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