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물모델을 이용한 MMSC(DL-Methionine Methylsulfonium Chloride)의 기능성소화불량증 개선효과
The Improvement Effect of MMSC (DL-Methionine Methylsulfonium Chloride) in Functional Dyspepsia Animal Mode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2, 2013년, pp.2076 - 2081  

김재민 (국가지정 소화기질환 의료제품 유효성평가 서비스센터) ,  차명희 (국가지정 소화기질환 의료제품 유효성평가 서비스센터) ,  이돈행 (국가지정 소화기질환 의료제품 유효성평가 서비스센터) ,  이운규 (국가지정 소화기질환 의료제품 유효성평가 서비스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cisplatin 및 atropine으로 유발된 기능성소화불량증 동물모델에서 MMSC의 위 배출능 및 위장관 전이 지연의 개선 효과를 연구한 후, 기능성소화불량증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기능성소화불량은 뚜렷한 기질적 병변 없이 여러 가지 다양한 소화불량 증상에 의한 진단이기 때문에 치료 또한 단순하지가 않다. 대부분의 증상이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며 음식, 스트레스 등에 의해 변화가 심하므로 임상적으로 효과 판정이 어렵고, 더욱이 위약만을 투여하더라도 증상의 호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어떠한 치료가 의미 있게 효과가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애로점이 많다. 이번 연구에 대조물질로 비교한 약물도 현재 사용되는 위장질환 치료물질로 위 배출능에서 시험물질보다 좋은 결과 값을 얻었지만, 위장관 전이 지연 개선 실험에서 시험물질 MMSC와 비교하였을 때 약물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MMSC를 투여한 그룹이 유발그룹에 비해 위 배출능 및 위장관의 전이 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위장관 운동 촉진제로 시판되는 약물을 투여한 그룹보다는 그 비율이 다소 낮게 관찰되었지만 시판 약물의 고용량 투여와 비교하여 저용량의 MMSC에도 불구하고 위배출능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므로 고용량의 MMSC투여 시 위 배출능의 개선 효과가 높게 관찰될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어 향후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astric emptying and gastrointestinal transit improvement effect of DL-methionine methylsulfonium chloride (MMSC) in functional dyspepsia animal models. Cisplatin causes nausea, vomiting, and inhibition of gastric emptying. Rats were divided into f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 사용된 실험동물은 SD rats 수컷(오리엔트바이오)이다. SD rats를 선정한 이유는 유효성평가시험에 적당한 실험동물로써 위배출능실험에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풍부한 실험기초자료가 축적되어 있어 시험결과의 해석 및 평가에 이러한 자료를 이용할 수 있기에 선정하였다. 40마리의 실험동물을 입수하여 7일간 순화하며, 정상적인 체중을 유지하고 육안으로 건강하다고 판단된 동물 32마리만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 일부학자들은 위장관의 염증이 기능성위장관질환의 발현과 연관성이 있다는 가설을 보고하였다(17). 따라서 본 연구는 위장관염증이 기능성질환의 발현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면, 반대로 위장관 염증에 치유 효과가 뛰어난 물질은 기능성질환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위장관 염증에 효과가 있는 MMSC가 기능성소화불량증 중 위 배출능 개선과 위장관 전이 지연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cisplatin 및 atropine으로 유발된 기능성소화불량증 동물모델에서 MMSC의 위 배출능 및 위장관 전이 지연의 개선 효과를 연구한 후, 기능성소화불량증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기능성소화불량은 뚜렷한 기질적 병변 없이 여러 가지 다양한 소화불량 증상에 의한 진단이기 때문에 치료 또한 단순하지가 않다.
  • 이러한 기능성 위장관질환은 흔한 소화기 질환이며 다양한 기저 병태 생리가 관련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진단 및 치료가 확실히 정립되어 있지 못하다. 이번 연구는 기능성 위장관질환의 하나인 위 배출능과 위장관 전이 지연을 약물로 유발시킨후 현재 시판되고 있는 위장관 운동항진제 대비 천연 생리활성물질로 위장관 염증에 효과가 뛰어난 MMSC의 위 배출능의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 C=∑ (% of total fluorescent signal per segment×segment number)/100(20). 이와 같은 측정 원리는 소장의 각 분절에 남아있는 FITC-dextran의 fluorescence 양을 알아냄으로써 위장관 전이를 측정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성소화불량증은 무엇을 증가시키는가? 기능성소화불량증은 위장관의 연동운동 저하 및 내장과민성을 증가시키며 이러한 증상은 뇌와 장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1). 기능성소화불량증 환자 중 30~40%에서 위 배출 지연이 보고된 바 있으나(2,3) 이에 대한 원인과 병리, 생리적인 진단과 치료는 아직 용이하지 못한 실정이다(4).
기능성소화불량증 치료제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따라서 위장관 운동기능은 감각생리와 중추신경 및 정신적 요인들과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9). 기능성소화불량증 환자에서는 의미 있는 위산분비의 증가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료제로는 H2 길항제 및 PPI(proton pump inhibitor) 등의 위산분비억제제가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10). 위장운동 촉진제 또한 기능성소화불량증에서 사용되어지는 약물인데, 이는 아직 투여기간 및 용량 등이 확립되지 않아 치료 효과가 불분명하다(11).
DL-Methionine methylsulfonium chloride의 효능은 무엇인가? DL-Methionine methylsulfonium chloride(MMSC)는 아미노산 유도체인 S-methylmethionine(vitamin U)으로써, 배추를 포함한 십자화가 채소에서 많이 발견되어지는 천연 생리활성물질이다(12). 이 물질은 항궤양성 인자로 알려져 있으며(13), anti-inflammatory, analgesic, hypolipi- demic 및 radio-protective 등의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15). 또한 MMSC는 위산 분비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위 점막을 보호하는 물질로도 알려져 있다(16). 일부학자들은 위장관의 염증이 기능성위장관질환의 발현과 연관성이 있다는 가설을 보고하였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Tack J, Bisschops R, Sarnelli G. 2004.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f functional dyspepsia. Gastroenterology 127: 1239-1255. 

  2. Talley NJ, Locke GR III, Lahr BD, Zinsmeister AR, Ligozio G, Rojavin MA, Tack J. 2006. Functional dyspepsia delayed gastric emptying and impaired quality of life. Gut 55: 933-939. 

  3. Rhee PL, Kim YH, Son HJ, Kim JJ, Koh KC, Paik SW, Rhee JC, Choi KW. 1999. The etiologic role of gastric hypersensitivity in functional dyspepsia in Korea. J Clin Gastroenterol 29: 332-335. 

  4. Kim JY. 2005. Digestive disorders. Ilchokak, Seoul, Korea. p 1064. 

  5. Veldhuyzen van Zanten SJ, Cleary C, Talley NJ, Peterson TC, Nyren O, Bradley LA, Verlinden M, Tytgat GN. 1996. Drug treatment of functional dyspepsia: a systemic analysis of trial methodology with recommendations for design of future trials. Am J Gastroenterol 91: 660-673. 

  6. Health insurance statistic index. 2007.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Korea. 

  7. Mendeloff AI. 1983. Epidemiology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Functional Disorder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Chey WI, ed. Raven Press, New York, NY, USA. p 13-19. 

  8. Whitehead WE, Crowell MD, Robinson JC, Heller BR, Schuster MM. 1983. Effects of stressful life events on bowel symptoms: subjec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compared to subjects without bowel dysfunction. Gut 33: 825-830. 

  9. Drossman DA. 1999. Th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the Rome II process. Gut 45: 111-115. 

  10. Delattre M, Malesloy M, Prinzie A. 1985. Symptomatic treatment of non-ulcer dyspepsia with cimetidine. Curr Ther Res 37: 980-991. 

  11. Heyse PM, Rambaldo R, Hazelhoff B. 1993. Factors affecting short- and long-term outcome of a short therapeutic trial with cisapride in dyspeptic patients. Scand J Gastroenterol 195: 15-23. 

  12. Maw GA. 1981. The chemistry of the sulfonium group. John Wiley and Sons Inc., London, England. p 704-770. 

  13. Leung CP, Leung WKH. 1989. Determination of vitamin U and its degradation by high-performance lipuid chromatography with florescence detection. J Chromatgr 479: 361-367. 

  14. Bukin VN, Anisimov VE. 1973. Vitamin U: Priroda, Svoistva, Primenenie (Vitamin U: Nature, Features and Application). Nauka, Moscow, Russia. p 160. 

  15. Gessler NN, Bezzubov AA, Podlepa EM, Byknovskii V. 1991. S-methylmethionine (vitamin U) metabolism in plants. Appl Biochem Microbiol 27: 192-199. 

  16. Watanabe T, Ohara S, Miyazawa S, Saigenji K, Hotta K. 2000. Augmentative effects of L-cysteine and methylmethionine sulfonium chloride on mucin secretion in rabbit gastric mucous cells. J Gastroenterol Hepatol 15: 45-52. 

  17. Collins SM. 1992. Is the irritable gut an inflamed gut? Scand J Gastroenterol 27(s192): 102-105. 

  18. Scarpignato C, Capovilla T, Bertaccini G. 1980. Action of caerulein on gastric emptying of the conscious rats. Arch Int Pharmacodyn Ther 246: 286-294. 

  19. Ozaki A, Sukamoto T. 1999. Improvement of cisplatin-induced emesis and delayed gastric emptying by KB-R6933, a novel 5-HT3 receptor antagonist. Gen Pharmacol 33: 283-288. 

  20. Lee TH, Choi JJ, Kim DH, Choi S, Lee KR, Son MW, Jin MR. 2008. Gastroprokinetic effects of DA-9701, a new prokinetic agent formulated with Pharbitis Semen and Corydalis Tuber. Phytomedicine 15: 836-843. 

  21. Huh C, Yang CH, Jang JG, Lee DH, Lee GL, Seol SY, Lee YJ, Han YS, Rim KS, Rhee PL, Shin WC, Lee KJ, Chung MK, Na YH. 1998. Functional dyspepsia and subgroups in Korea and short term out come of therapeutic trial of cisapride; Multicenter Study. Korean J Gastrointest Motil 4: 1-12. 

  22. Krarup-Hansen A, Helweg-Larsen S, Schmalbruch H, Roth M, Krarup C. 2007. Neuronal involvement in cisplatin neuropathy: Prospective clinical and neuro physiological studies. Brain 130: 1076-1088. 

  23. Poli-Bigelli S, Rodrigues-Pereira J, Carides AD, Julie Ma G, Eldridge K, Hipple A, Evans JK, Horgan KJ, Lawson F. 2003. Addition of the neurokinin 1 receptor antagonist aprepitant to standard antiemetic therapy improves control of chemotherapy-induced nausea and vomiting. Results from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in Latin America. Cancer 97: 3090-3098. 

  24. Tyers MB. 1991. 5-HT3 receptors and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5-HT3 receptor antagonists. Therapie 46: 431-435. 

  25. Jordan K, Kasper C, Schmoll HJ. 2005. Chemotherapy-induced nausea and vomiting: current and new standards in the antiemetic prophylaxis and treatment. Eur J Cancer 41: 199-205. 

  26. Iwagana Y, Miyashita N, Saito T, Morikawa K, Itoh Z. 1996. Gastroprokinetic effect of a new benzamide derivative itopride and its action mechanisms in conscious dogs. J Pharmacol 71: 129-137. 

  27. Iwanaga Y, Kimura T, Miyashita N, Morikawa K, Nagata O, Itoh Z. 1994. Characterization of acetylcholinesterase-inhibition by itopride. J Pharmacol 66: 317-322. 

  28. Iwanaga Y, Miyashita N, Mizutani F, Morikawa K, Kato H, Ito Y, Itoh Z. 1991. Stimulatory effect of N-[4-[2- (dimethylamino)ethoxy]benzyl]-3,4-dimethoxybenzamide hydrochloride (HSR-803) on normal and delayed gastrointestinal propulsion. Jpn J Pharmacol 56: 261-269. 

  29. Kim SW, Cha CK, Han SU, Kim YB, Joo HJ, Cho YK, Cho SW, Kim MW, Hahm KB, Lee WH. 2002. Long term evaluation of mouse model infected with Helicobacter pylori and influence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on gastric carcinogenesis. Korean J Gastroenterol 39: 22-32. 

  30. Baldassano R, Braegger CP, Escher JC, Dewoody K, Hendricks DF, Keenan GF, Winter H. 2003. Infliximab (REMICADE) therapy in the treatment of pediatric Crohn's disease. Am J Gastroenterol 98: 833-838.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