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시오가피와 탐라오가피의 산지별 및 부위별 Eleutheroside B, E 및 β-Glucan 함량 분석
Determination of Eleutherosides and β-Glucan Content from Different Parts and Cultivating Areas of A. senticosus and A. koreanum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2, 2013년, pp.2082 - 2087  

김영현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배다빈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종석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박선옥 ((주)에스티알바이오텍) ,  이상종 ((주)에스티알바이오텍) ,  조옥현 (메사추세츠 주립대학교 의과대학) ,  이옥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가피의 주요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eleutheroside B와 E 그리고 식물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beta}$-glucan 함량을 강원도(A. senticosus), 충남(A. senticosus), 제주도(A. koreanum) 산지별 오가피의 뿌리, 줄기, 잎, 열매 부위별로 각각 분석한 결과, 충남 오가피는 eleutheroside B가 검출되지 않는 것에 반해 특이적으로 높은 eleutheroside E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제주도 산지 오가피는 뿌리, 줄기, 잎, 열매모든 부위에서 eleutheroside B와 E가 함께 검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서로 다른 산지에서 재배되었지만 지역과 품종에 상관없이 줄기 부위에 가장 많은 eleutheroside B와 E가 함유되어 있었으며, ${\beta}$-glucan 또한 강원도(7.46%), 충남(3.41%), 제주도(5.05%) 산지 오가피 모두 줄기 부위에 가장 많았다. 오가피는 같은 품종이더라도 재배지역에 따라 eleutheroside B와 E 그리고 ${\beta}$-glucan 함량에 차이를 보여주었고 산지와 품종에 상관없이 줄기 부위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오가피 소재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제품의 목적에 따라 산지 및 부위의 선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산지에 따른 유효성분 차이에 있어서 탐라오가피는 제주도 특산식물로 오가피를 이용한 제품개발 시 지표성분을 표준화하는데 있어서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quantitatively analyze eleutherosides (B and E) and ${\beta}$-glucan in different plant parts of three cultivars (Chungnam, Gangwon, and Jeju) of Acanthopanax senticosus and Acanthopanax koreanum using HPLC and a commercial enzyme kit. Our results show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2)Value are mean±SD in triplicate (n=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시오가피는 어느 지역에 자생하는가? 가시오가피는 한반도와 시베리아 및 중국 등의 고지대에 자생하는 반면, 탐라오가피는 제주도의 특산식물로 재배지역이 다양한 가시오가피에 비해 재배지역이 제주도로 국한 되어 있다(11,20). 시료의 채취 시기와 지역에 따른 구성물질의 차이가 보고된 바(21), 동일 품종의 오가피라도 산지에 따라 유효성분 함량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β-Glucan은 어떤 구조를 갖는가? Lignan계 배당체 이외에 오가피에는 세포벽을 구성하는 β-glucan이 존재한다. β-Glucan은 β-glucosyl unit이 β(1→3)결합 또는 β(1→4)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선형의 사슬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버섯유래의 β-glucan처럼 β(1→6)결합을 가지고 있기도 한다. β-Glucan은 인체의 면역시스템에 작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증강시켜 주는 이른바 BRM(biological response modifiers)으로 잘알려져 있으며, 특히 면역계 내의 대식세포의 기능을 활성화 시킴으로써 다른 림프구나 백혈구의 증식인자인 interferon 이나 interleukin 등 cytokine을 분비시켜 면역계의 전반적인 기능을 강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16).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오가피의 생리학적 효능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koreanum 등이 국내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다(1). 오가피의 생리학적 효능에는 항스트레스(2), 항피로작용(3), 항산화 효과(4), 항염증작용, 운동능력 향상(5), 항당뇨(6), 알코올 분해 효과(7) 등이 있으며, lignan계 배당체인 eleutherosides가 주요 성분으로 Brekhman과 Dardymov(8)에 의해 'adaptogenic activity'에 대하여 인삼과 비교되기 시작하면서 국내외적으로 중요한 약용식물로 연구되고 있다. 특히 외부 스트레스에 대한 비특이적 적응력에는 eleutheroside B와 E가 관여를 하며, 다른 오가피들과는 다르게 가시오가피(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oon JH, Yook CS, Jang YP. 2012. Anatomical and microscopic studies on Acanthopanax gracilistylus, A. koreanum and A. sieboldianus. Kor J Pharmacogn 43: 268-273. 

  2. Gaffney BT, Hugel HM, Rich PA. 2001. Panax ginseng and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y exaggerate an already existing biphasic response to stress via inhibition of enzymes which limit the binding of stress hormones to their receptors. Med Hypotheses 56: 567-572. 

  3. Zhang XL, Ren F, Huang W, Ding RT, Zhou QS, Liu XW. 2010. Anti-fatigue activity of extracts of stem bark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Molecules 16: 28-37. 

  4. Choi JM, Ahn JB. 2012. Functional properties of 50% m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73-377. 

  5. Dowling EA, Redondo DR, Branch JD, Jones S, McNabb G, Williams MH. 1996. Effect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on submaximal and maximal exercise performance. Med Sci Sports Exerc 28: 482-489. 

  6. Watanabe K, Kamata K, Sato J, Takahashi T. 2010. Fundamental studies on the inhibitory action of 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on glucose absorption. J Ethnopharmacol 132: 193-199. 

  7. Yoon TJ, Jo SY. 2010. Effect of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s on alcohol degradation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mice. Korean J Food & Nutr 23: 542-548. 

  8. Brekhman II, Dardymov IV. 1969. New substances of plant origin which increase nonspecific resistance. Annu Rev Pharmacol 9: 419-430. 

  9. Lyu SY, Park WB. 2010. Modulation of IL-12 and IFN- ${\gamma}$ secretions by eleutheroside E, tortoside A, and syringaresinol from Acanthopanax koreanum Nakai. Biomolecules & Therapeutics 18: 211-218. 

  10. Kim IH, Kim SH, Kwon JH. 2008. Optimizing the hot-water extraction conditions for Acanthopanacis cortex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12-520. 

  11. Park KJ, Park SH, Kim JK. 2010. Anti-wrinkle activity of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 in ultraviolet B (UVB)-induced photoag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42-46. 

  12. Lee SH, Kang SS, Cho SH, Ryu SN, Lee BJ. 2005. Determination of eleutherosides B and E in various parts of Acanthopanax species. Kor J Pharmacogn 36: 70-74. 

  13. Kang JS, Linh PT, Cai XF, Kim HS, Lee JJ, Kim YH. 2001.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eleutheroside B and E from Acanthopanax specie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rch Pharm Res 24: 407-411. 

  14. Huang L, Zhao H, Huang B, Zheng C, Peng W, Qin L. 2011. Acanthopanax senticosus: review of botany, chemistry and pharmacology. Pharmazie 66: 83-97. 

  15. Huang LZ, Wei L, Zhao HF, Huang BK, Rahman K, Qin LP. 2011. The effect of eleutheroside E on behavioral alterations in murine sleep deprivation stress model. Eur J Pharmacol 658: 150-155. 

  16. Lee JS, Lee SH, Jang YM, Lee JD, Lee BH, Jung JY. 2011. Macrophag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feed additives on ${\beta}$ -glucan from Schizophyllum commune in breast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949-955. 

  17. Burkus Z, Temelli F. 1998.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n yield, composition, and viscosity stability of barley ${\beta}$ -glucan gum. Cereal Chem 75: 805-809. 

  18. Ramberg JE, Nelson ED, Sinnott RA. 2010. Immunomodulatory dietary polysaccharid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Nutr J 9: 54. 

  19. Park HJ, Kim YB, Kang TS, Jug IS, Kim KY, Jeong HS. 2005.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oat bran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03-107. 

  20. Ko HJ, Song CK, Cho NK. 2003. Growth of seeding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Acanthopanax koreanum NAKAI.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46-52. 

  21. Ha ES, Hwang SH, Shin KS, Yu KW, Lee KH, Choi JS, Park WM, Yoon TJ. 2003. Competitive ELISA for the measurement of glycoprotein purified form Acanthopanx senticos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209-1215. 

  22. Kim YH, Bae DB, Park SO, Lee SJ, Cho OH, Lee OH. 2013. Method valida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eleutherosides and ${\beta}$ -glucan in Acanthopanax korean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419-1425. 

  23. Kim IH, Kim SH, Kwon JH. 2008. Optimizing the hot-water extraction conditions for Acanthopanacis cortex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12-520. 

  24. Chung HJ. 2010. Antioxidative activities of different part extracts of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winter cherry). Korean J Food Preserv 17: 867-873. 

  25. Kim HM, Kim JS, Lee SH, Lee SJ, Lee GP, Kang SS, Cho SH, Cheoi DS. 2006. Quantitative analysis of lignans in the fruits of Acanthopanax species by HPLC. Food Sci Biotechnol 15: 778-780. 

  26. Jeong HS, Kang TS, Jung IS, Park HJ, Min YK. 2003. ${\beta}$ - Glucan contents with different particle size and varieties of barley and o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610-616. 

  27. Bhatty RS. 1992. ${\beta}$ -Glucan content and viscosities of barleys and their roller-milled flour and bran products. Cereal Chem 69: 469-471. 

  28. Um S, Jin GE, Park KW, Yu YB, Park KM. 2010. Physiological activity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Pleurotus spec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90-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