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한옥의 집합구성 유형과 모델특성 연구
A Study on Cluster Housing Model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Hanok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4 no.6, 2013년, pp.141 - 150  

손승광 (동신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nok is Korea's traditional housing, which is build detached unit. Most of the People who live in the environment of residential high-rise apartments likes new residential environment, and pursue eco-friendly homes, health homes, especially traditional Hanok was reassure potential. In urban contex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옥의 집합유형은 두 가지의 유형을 고려할 수 있는데, 각각의 유형에 한정할 필요는 없는 이유는? 한옥의 집합유형은 필지별 한옥조합(단위주택)이나 집합구조체를 구분하여 구성하는 방식(공동주택)두 가지의 유형을 고려할 수 있는데, 각각의 유형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부지형상이나 조건이 다양하며, 집합주택의 다양성을 추구하려면 특정유형에 제한적일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필요에 따라서는 두 가지 유형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이 집합구성을 구성하는 <한옥의 조합+ 분리형>이 다양성을 추구하는 접근방법이 될 수 있다.
전통한옥을 기피하는 이유는? 1) 그러나 그동안 한옥이 도시지역에 건축되면서 토지이용률을 높이는 주택배치와 구성이 경제적인 주택유형이라는 시대적인 흐름에는 부정적 평가를 받아왔다. 자동차시대에 부응하기 어려운 도로망과 접근성 그리고 토지이용률의 효율성 저하는 거주자들이 전통한옥을 기피하는 이유를 충분히 제공하고 있었다. 특히, 경제소득의 향상, 생활양식의 변화, 건축공간의 확대, 새로운 주거양식의 경험을 거치면서 한옥에 대한 요구기준과 건축의 가능성도 동시에 높아졌다.
한옥이란? 한옥은 한국의 전통주택으로서 한국인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요소이지만 근대화과정에서 상당기간동안 단절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에 아파트 일변도 건설과 주거생활에서 새로운 주거형을 원하는 사람들이 늘었으며, 한옥은 “건강주택”, 문화자원 등 새로운 시각으로 재조명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Joh, S .(2010). Naju Beef Restaurant. Kwangju: Kwangju Space & Architectural Design Office. 

  2. Jun, N. (2010). Spatiap History of Korean Housing. Seoul: Dolbaege, pp 89-93 

  3. Kim, B. (2011). Hanok - New horizen of Korean house form.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auriM, 3, 24-32. 

  4. Kim, K. & etc (2005). Architectural Planning. Seoul: Sejinsa. 

  5. Kim, M., & Shon, S. (2012). A study on modernization ans sustainability of traditional hanok in 20th century modernization period. Proceeding of Spring Annual Conference of KHA, 2012, pp 177-182. 

  6. Kim, Y. (2010). Hanok Hotel, Yeogsanje. Seoul: Keumsung Architectural Design co. 

  7. Lee, H. (1997). The patterns of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ouses in modernization period (1876-1945) in Kyungbuk province: mainly about the patterns of siteplan layout. Journal of the Korean Architectural History, 6(3), p 89-108. 

  8. Lee, M., & Kim, T. (2008). A study on the alteration and extension of urban traditional houses in Cheongju city located on the central inland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2), 83-92. 

  9. Muae Lab OB Seminar (2011). Urban House Types in Old Seoul. Seoul: Gomsi publish. p 30. 

  10. Shon, S. (2011). A study on the model development of unit plan and cluster housing, modern hanok.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4), pp135-144 

  11. Shon, S. (2013. 6). A Study on the modernization and sustainability of traditional hanok in 20th century, IAPS2013 Symposium, Coruna, Spain. pp 1-12 

  12. Shon, S. (2013.3). Pilot Survey and Database for National Hanok Survey (in Naju Old City Areas). Anyang: AURI. 

  13. Shon, S., & Kim, M. (2013). A study on modernization elements of traditional hanok and character of a new on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4(2). pp 77-88 

  14. The Bank of Korea (2005). National Accounts. Each Year based on 2005 yea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