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병 변증도구의 신뢰도, 타당도 평가와 활용 가이드라인 연구
Guidelines for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on Pattern Identifications for Hwa-byung 원문보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24 no.4, 2013년, pp.331 - 342  

김국기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서복남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  강위창 (대전대학교 경영대학 응용통계학과) ,  정인철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the test-retest reliability 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the Instrument on Pattern Identifications for Hwa-byung. Methods: Participants are 97 patients with Hwa-byung who were diagnosed by Hwa-Byung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P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도구로서 인정받기 위해서는 타당도, 신뢰도 등에 대한 평가를 통해 도구의 완결성을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97명의 화병 피험자를 대상으로 기존에 개발된 화병변증도구 가안를 활용하여 변증유형, 증상항목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측정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증상항목들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 1, 2위 간 변증의 확률점수 차이가 5% 이상의 결과를 보이는 6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각 증상과 해당변증, 기타변증과의 상관성을 검정하였다. 이 때 기대도수가 5 이상인 경우는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Pearson chi-squared test)를, 미만인 경우는 피셔의 정확검정(Fisher’s exact test)를 사용하였다.
  • 선행연구로 화병 변증을 위한 변증도구가 개발되었으나, 신뢰도 타당도 검증이 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임상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전대 대전한방병원과 대전대 둔산한방병원에서 97명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화병변증도구를 이용한 변증 진단을 2회 실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여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넷째, 본 임상연구의 피험자수의 불충분성이다. 예비연구의 성격으로 계획된 본 연구는 피험자수를 통계적으로 산출하지 않고 기간, 비용 및 기타 수행가능성을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 셋째, 본 변증도구의 특성상 약점이 존재한다. 증상의 확률점수가 1%라도 차이가 나면 특정 변증으로 결정되는 구조이므로, 한 번의 실시에서 1위와 2위 변증간의 확률점수 차가 적을 경우 다음 실시에서는 순위가 역전되어 변증 결과가 달리 나올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병의 주요 증상은 무엇인가? 화병의 주요 증상은 분노, 우울, 불안 등의 정서, 심리적 증상과 가슴답답함, 두통, 가슴두근거림, 잦은 한숨, 건망, 어깨와 뒷목의 통증, 입마름, 눈의 피로, 어지러움 등의 신체화 증상이 나타난다3).
화병과 함께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은 어떤 것이 있는가? 또한 신체화장애, 주요우울증, 감정부전장애, 범불안장애, 공황장애, 공포장애, 강박장애, 적응장애 등의 다양한 질환과 공존 할 수 있는데, 특히 신체화장애와 우울증의 복합이 가장 많다고 알려져 있다4).
화병이란 무엇인가? 화병은 울화병의 준말로, 몸과 마음이 답답하고 몸에 열이 높은 병이라 정의된다. 화병은 외부적 스트레스에 의해 비롯되며, 분노와 같은 감정을 적절히 해소하지 못하고 쌓아두는 시기를 지나 화의 양상으로 폭발하는 증상을 가진 질환이다1). 미국 정신의학회의 진단기준인 DSM-IV에서는 한국 특유의 정, 한과 같은 사회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발생하는 병으로 문화관련 증후군의 하나로 분류되며, 분노의 억제로 인하여 발생하는 ‘분노증후군’으로 표기되어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Neuropsychiatry of Oriental Medical Schools in Nation. The Neuropsychiatry of Oriental Medicine. Seoul: Jipmoon-Dang; 2007;215, 220-4, 286-8, 579.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Fourth Edition; 1997 

  3. Kim JW, Chung SY, Suh HU, Jung IC, Lee SG, Kim BK, et al. The Characteristics of Hwa-byung Patients Based on Hwa-byung Epidemiologic Data.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0;21(2):157-69. 

  4. Min SK. A Study of the Concept of Hwabyung.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89;28(4):604-16. 

  5. Kim JW, Hyun KC, Whang WW. A Study on the Origin of Hwabyung (Fire Syndrome).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1999;10(1):205-16. 

  6. Kim JW, Whang WW. 'HWABYUNG' in the View of Oriental Medinine.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1994;5(1):9-15. 

  7. Min SK, Soh EH, Byun YU. The Concept of Hwabyung of Korean Psychiatrists and Herb Physician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89;28(1):146-54. 

  8. Yim HJ, Kim SH, Lee SR, Jung IC. Study to Develop the Instrument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Hwa-byung.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8;22(5):1071-7. 

  9. Cheong MH, Lee SR, Kang WC, Jung IC.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the Instrument of Oriental Medical Evaluation for Hwa-Byung.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0;21(2):141-55. 

  10. Lee HY, Kim JW, Park JH, Whang WW. A Study for Diagnosis and Pattern Identification of Hwa-Byung.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5;15(1):1-17. 

  11. Kim JW, Kwon JH, Lee MS, Park DG. Development of Hwa-Byung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HBDIS) and Its Validity Tes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4;9(2):321-31. 

  12. Jung IC, Lee SR, Park YC, Hong KE, Koo YS, Jo JH, et al. The Effect of Sa-am Acupuncture Treatment for Major Symptom of Hwa-byung: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7;18(1):79-94. 

  13. Jung IC, Lee SR, Park YC, Hong KE, Lee YK, Kang WC, et al. The Effect of Sa-am Acupuncture Simjeongkyeok Treatment for Major Symptom of Hwa-byung.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8;19(1):1-18. 

  14. Choi WJ, Lee SG, Son IB, Sun SH. The Effects of Sa-am Acupuncture Simpojeongkyeok Treatment on Hwa-byung: Randomized, Patient-assessor Blind, Placebo-controlled Acupuncture, Pilot Clinical Trial.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1;22(2):1-13. 

  15. Kim BK. Chinese Medicine Diagnostics. Seoul: Seongbosa; 1986;25, 42. 

  16. Kim KK, Kang CW. Weight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Oriental Gynaecology Experiments.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1999;12(1):17-28. 

  17. Byun JS, Yang SY, Kang WC, Park YC. Primary Study to Develop the Instrument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Common Cold.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9;23(6):1226-33. 

  18. Kim JB, Kim JH, Son CG, Kang WC, Cho JH. Development of Instrument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0;24(6):1094-8. 

  19. Park DM, Lee SR, Kang WC, Jung IC.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the Instrument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Jing Ji and Zheng Chong.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0;21(2):1-15. 

  20. Landis JR, Koch GG.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1977;33:159-74. 

  21. Kim JW. Hwabyung in Oriental Medicine. Behavioral Science in Medicine. 2004;3(1):103-7. 

  22. Eom HJ, Kim JW, Whang WW. A Cilnical Study on the Aspect of 'Hwa' in Hwabyung Patients.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1997;8(1):141-50. 

  23. Seong TJ. Validity and Reliability. Seoul: Hakjisa Publisher; 2007;36-9, 83-8. 

  24. Depression Guideline Team. UMHS Depression Guideline Update, August 2011. Available at 'http://www.med.umich.edu/1info/fhp/practiceguide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