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기허증(脾氣虛證) 진단평가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예비 평가: 만성 소화불량 환자 대상 설문지 검증 임상시험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of a Standard Instrument of Diagnosis and Assessment for Spleen Qi Deficiency Pattern in Chronic Dyspepsia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Medicine = 대한한의학회지, v.36 no.3, 2015년, pp.23 - 34  

김지혜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반연구부) ,  김주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  김진성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  김근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반연구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s aimed at assessing the reliability of a standard instrument of diagnosis and assessment for Spleen Qi deficiency pattern questionnaire (SQDQ) and examining the validity of the SQDQ by comparing the pattern identification scores of different groups. Methods: We conducted a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脾氣虛證 진단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고자 임상연구를 실시하였다. 임상데이터를 바탕으로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기존의 문헌과 전문가 합의를 통해 제작된 脾氣虛證 진단평가도구를 임상시험을 통해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함으로써, 그 동안 주관적이고 통일되지 않은 脾氣虛證 진단에 대한 평가를 객관적, 과학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고할 수 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한계점이 있다.
  • 만성 소화불량증 환자를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脾氣虛證 진단평가도구(Spleen Qi deficiency pattern questionnaire, SQDQ)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한 임상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조사 결과와 임상데이터 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여 脾氣虛證 진단평가도구의 임상증후를 설명할 수 있는 임상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의미있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脾氣虛證은 식욕 및 소화기관련 증상, 체중의 변동 및 기타 전신적인 증상 등과 관련이 있어, 전신쇠약 및 식욕부진을 초래하는 다양한 만성적인 임상질환에서 찾아볼 수 있다22). 앞서 기술한 내용과 같이 다양한 만성 질환에서 진단 가능한 脾氣虛證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4년 한의약선도기술개발사업에서 문헌고찰과 전문가합의 통해 진단평가도구 개발의 기초연구를 진행한 바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脾氣虛證 진단평가도구가 개발되었다13). 그러나 임상연구를 통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辨證 예측모형 등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경희대학교에서 개발한 辨證 설문지를 임상연구를 통해 신뢰도 및 타당도를 최초로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본 설문지를 수정 보완할 때의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본 설문지는 델파이 기법(Delphi method)을 통해 설문문항 개발만 이루어진 것으로, 임상연구를 기반으로 한 설문지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로 개발된 脾氣虛證 진단평가도구의 임상 적용 가능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만성 소화불량증으로 진단받은 시험대상자와 기저질환이 없는 건강대조군을 대상으로 脾氣虛證 진단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주요 환자군인13,23-24) 만성 소화불량증 환자를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脾氣虛證 진단평가도구(Spleen Qi deficiency pattern questionnaire, SQDQ)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한 임상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조사 결과와 임상데이터 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여 脾氣虛證 진단평가도구의 임상증후를 설명할 수 있는 임상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의미있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또한 임상연구정보 서비스(Clin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CRIS)에 등록하여 임상시험 번호를 부여받았다(KCT0001276). 임상연구 중에는 피험자 보호, 보고된 임상연구 관련 자료가 근거문서와 대조하여 정확하고 검증 가능한지 여부 및 임상연구가 승인된 계획서, 임상연구 관리기준 및 시행규칙의 규정에 따라 수행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의학 진단 과정에서 辨證은 무엇인가? 한의학 진단 과정에서 辨證은 질병 진단의 근본으로, 치료 시 선행되어야 할 중요한 과정이다1). 그러나 辨證 진단을 위한 과정 중 환자의 개인적인 주관이 개입된다는 점과 한의사마다 辨證체계나 방법에 대한 관점이나 이론이 다르다는 점으로 인해 동일한 病症 일지라도 서로 다른 辨證이 도출되는 경우가 많아서 처방의 선택이나 치료에 있어 환자나 시술자 모두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다2).
본 연구에서는 만성 소화불량증 환자들에게서 역류성 식도질환과 만성 위염 이외에 소화불량과 관련된 기질적 질환은 모두 배제하였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만성 소화불량증 환자는 가장 흔한 소화기질환 중 하나로, 만성적으로 반복되어 삶의 질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6,27). 본 연구에서는 만성 소화불량증을 야기하는 많은 질환 중에서도 역류성 식도질환과 만성 위염 이외에 소화불량과 관련된 기질적 질환은 모두 배제하였는데, 그 이유는 만성 소화불량증에 대한 원인은 위장관 운동이나 위산 분비 및 내장의 과도한 감수성과 적응조절의 장애, 헬리코박터균 감염, 위 점막의 염증 및 유전자적 요인 등으로 매우 다양하여28) 시험 군의 脾氣虛證 진단평가도구 점수패턴과 경향성을 파악하기에 좀 더 용이하도록 질환을 통제하였다.
辨證 진단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한의학 진단 과정에서 辨證은 질병 진단의 근본으로, 치료 시 선행되어야 할 중요한 과정이다1). 그러나 辨證 진단을 위한 과정 중 환자의 개인적인 주관이 개입된다는 점과 한의사마다 辨證체계나 방법에 대한 관점이나 이론이 다르다는 점으로 인해 동일한 病症 일지라도 서로 다른 辨證이 도출되는 경우가 많아서 처방의 선택이나 치료에 있어 환자나 시술자 모두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다2). 따라서 辨證을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진단체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일환으로 수 년 전부터 한의학 진단에 대한 표준화 연구가 시작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The Textbook Compliation Committee of Oriental Pathology. Oriental Pathology. Seoul: Haniminhwasa. 2008:172-579. 

  2. Park WH, Cha YY, Song YK, Park TY, Kim HJ, Chung WS, et al. The Review on the Study of Oriental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Focused on Korean Research Papers.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14; 24(2):83-93. 

  3. Kim SK, Park YB. Development of Questionnarire for Cold-Heat Patternization.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Diagnostics. 2003;7(1):64-75. 

  4. Ryu H, Lee H, Kim H, Kim J.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cold-heat pattern questionnaire fo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 Altern Complement Med. 2010;16(6):663-667. 

  5. Park YJ, Lim JS, Park YB. Development of a valid and reliable food retention questionnaire. European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2013;5(5):432-437. 

  6. Lim JS, Park YB, Lee SC, Oh HS. Developing Questionnaire for Pathogenesis Analysis of Pyungweesan Symptom.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07;11(1):72-81. 

  7. Lee BH, Park YB, Park YJ, Oh HS, Kim MY.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guibi-tang patternization questionnair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09;13(1):45-53. 

  8. Kim SH, Park YB, Park YJ, Oh HS. Co-relation between Questionnaire for Buzhongyiqi-Tang and Electrogastrography.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09;13(2):34-44. 

  9. Yoon TD, Park YJ, Park YB, Lee SC, Oh HS. Development of questionnaires for pathogenesis analysis of bojungikgitang symptom.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07;11(2): 45-58. 

  10. Park YJ, Yang DH, Lee JM, Park YB. Development of a valid and reliable blood stasis questionnaire and its relationship to heart rate variability. Complement Ther Med. 2013;21(6):633-640. 

  11. Yang DH, Park YJ, Park YB, Lee SC. Development of questionnaires for blood stasis patter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iagnostics. 2006; 10(1):141-152. 

  12. Park YJ, Park JS, Kim MY, Park YB. Development of a valid and reliable phlegm pattern questionnaire. J Altern Complement Med. 2011;17(9):851-858. 

  13. Oh HW, Lee JW, Kim JS, Song EY, Shin SW, Han GJ, et 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Instrument of Diagnosis and Assessment for Spleen Deficiency Pattern. J Korean Med. 2014; 35(1):157-170. 

  14. Woo HJ, Kim SH, Lee SB, Choi MY, Kim YC, Lee JH. Development of Questionnaires for Differentiation of qi-xu, xue-xu, yang-xu, yin-xu analysis. Korean J. Orient. Int. Med. 2008;29(4):856-870. 

  15. Kim JH, Ku BC, Kim JE, Kim YS, Kim KH.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i Blood Yin Yang Deficiency Questionnaire'.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and Pathology. 2014;28(3):346-354. 

  16. Kang KW, Moon JS, Kang BG, Kim BY, Shin MS, Choi SM. The comparison of pattern identification diagnosis according to symptom scale based on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Journal of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2009;9(1):37-44. 

  17. Koo BS, Lee SJ, Han CH, Kim HJ, Park SH. The Basic Study for Building the Depression Prescription Guideline of Gamiguibi-Tang-The Evalu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pression Pattern-Identification Questionnaire.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9;20(4): 1-13. 

  18. Wei YM, Lee GE, Jung SH, Lee HK, Lyu YS, Kang HW.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Tic Disorders in children.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2;23(1):59-82. 

  19. Kang BK, Moon TW, Lee JA, Park TY, Ko MM, Lee MS. The fundamental study for the standardisation and objectification of pattern identification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for stroke (SOPI-Stroke): development and interobserver agreement of the Korean standard pattern identification for stroke (K-SPI-Stroke) tool. European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2012;4(2):133-139. 

  20. Jeong HS, Ha KT, Shin SW, Lee KG. Study on the Endogenous Dampness Caused by Gi Deficiency of the Spleen and Sagunja-tang.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0;24(6):903-906. 

  21. Teaching material compilation committee of oriental pathology. Oriental pathology. 2nd edition. Seoul:Hanuimunhwasa. 2008:411-4. 

  22. Kim SY, Kim JS, Kim YS, Hong IA, Hur WY, Eom GH, et al. Correlation Study between Dry mouth and Comprehensive Diagnosis of Qi xu.Qi yu in Patients with Halitosis. Korean J. Orient.Int. Med. 2007; 28(1):97-105. 

  23. Kim JS, Lee KJ, Kim JH, Hahm KB, Cho SW.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Patients Referred to Specialist Gastroenterologists in a Tertiary Hospital.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4;10(2): 111-117. 

  24. Yang SY, Lee OY, Bak YT, Jun DW, Lee SP, Lee SH, et al. Prevalence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symptoms and uninvestigated dyspepsia in Korea: a population-based study. Dig Dis Sci. 2008; 53(1):188-193. 

  25. Li XB, Liu WZ, Ge ZZ, Zhang DR, Zhao YJ, Dai J, et al. Analysi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of dyspeptic symptoms in Shanghai patients. Chin J Dig Dis. 2005; 6(2):62-67. 

  26. Lee JH, Kim HY, Rho SH, Yoon DH, Kim KH, Lee JY, et al. Dyspepsia in Korean Population: Who Needs Endoscopy?.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1;22(1):1-7. 

  27. Talley NJ, Stanghellini V, Heading RC, Koch KL, Malagelada JR, Tytgat GNJ. Functional gastroduodenal disorders. Gut. 1999;45(suppl 2):1137-1142. 

  28. Hong IA, Yoon SH. A Study of Gastrointestinal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and Pyloric Valve Function, and Clinical Characteristerics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 Analysis of Bowel Sound. Korean J. Orient. Int. Med. 2008; 29(3):666-674. 

  29. Lee JH. The annual report on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R&D Project, Ministry of Health & Welfare HW Oh, et al. 137 (The Modeling of Gut Hormone Profiling of Spleen Qi Deficiency Pattern and the Development of Efficacy Evaluation Technique of Related Herbal Medicine (HI13C0623)). 2014:31-6. 

  30. Berle CA, Cobbin D, Smith N, Zaslawski C. A novel approach to evaluat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reatment outcomes using pattern identification. J Altern Complement Med. 2010;16(4):357-367. 

  31. Cho SW, Park YJ, Park YB, Kim MY, Lee SC.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Yukmijiwhang-tang Patternization Questionnaire.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iagnostics. 2009;13(1):55-65. 

  32. Smith F. Survey Research: Instruments, Validity and Reliability. In: Smith F, eds. Research Methods in Pharmacy Practice. London:Pharmaceutical Press. 2002:43-84. 

  33. Tak JK. Psychological testing:understanding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psychological testing. In: Tak JK, eds. Seoul: Hak-Ji Press. 2001:135-5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