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우울증상에 대한 심리척도의 유용성에 대한 기초연구 -비우울증, 화병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Preliminary Study on the Usefulness of Psychological Scale Measurements in Depression Symptoms 원문보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24 no.4, 2013년, pp.363 - 372  

최우창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  김나현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최승원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정인철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psychological measurements in depression symptoms as compared with non-depressions and hwabyung. Methods: A total of 2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depression and hwabyung, were evaluated by using the SCL-90-R, BDI, STA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우울증 한의평가 도구개발의 일환으로서 현재 많이 쓰이고 있는 심리검사 및 해당 척도의 유용성을 알아보는 기초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에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SCL-90-R, BDI, STAI, STAXI, ISI, 해밀턴 우울증 평가척도(HRSD), 감정표현불능척도(20-Item Alexithymia Scale; TAS-20), Bipolar Spectrum Diagnostic Scale (BSDS), NEO 성격검사 등의 결과를 토대로 우울집단과 비우울집단, 화병이 없는 우울집단과 우울증이 없는 화병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연구는 우울증의 한의평가 도구 개발의 일환으로써 각각의 심리척도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한방병원 신경정신과를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SCL-90-R, BDI, STAI, STAXI, ISI, HRSD, 감정표현불능 척도, BSDS, NEO성인성격검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증이란? 우울증은 기분장애의 일종으로써, 우울한 기분, 이로 인한 거의 모든 활동에 있어 흥미나 즐거움의 감소, 매사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을 갖는 상태로1,2), 식욕, 체중, 수면, 정신운동 활동 변화, 무가치감, 죄책감, 생각과 집중과 결정에서의 어려움, 죽음에 대한 생각 또는 자살 계획 및 시도 등의 다양한 증상들을 포괄하는 정신장애이다3).
주요우울장애의 유병률의 추세는? 주요우울장애의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국내의 경우 2001년 4.6%였던 평생 유병률이, 2006년 6.2%, 2011년은 7.5%로 증가하였고 2011년은 2006년도 대비 21.0%의 증가를 보였다. 남녀 모두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특히 여자의 경우 평생 유병률이 9.
화병과 우울증의 차이점은? 이와 같이 화병과 우울증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화병은 七情 중 화 또는 분노가 대표적인 원인이며, 일반적 신경증적 증상 이외에 목 가슴의 덩어리 뭉침 등의 신체적 증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고유한 증후군으로 우울증과 차이점이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Katona C, Robertson M. Psychiatry at a Glance-Third Edition. Blackwell Publishing Ltd; 2008. 

  2. Kim HL, Shin HS. Mental Health Problems. Hakjisa; 2001. 

  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is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317-29. 

  4.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2011. Available from: URL: http://www.m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1604&CONT_SEQ274852&page1 

  5.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Medical Insurance Statistics. Available from: URL: http://www.nhis.or.kr/portal/site/main/MENU_WBDDG0203/ 

  6. Kang HW, Jang HH, Kang IS, Moon HC, Hwang YJ, Lyu YS. A Study on The Oriental-medical Understanding of Depression.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1;12(2):1-15. 

  7. Min SK. A Study of the Concept of Hwabyung.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9;28(4):604-16. 

  8. Park JH, Min SK, Lee MH. A Study on the Diagnosis of Hwabyung. J Korean Neuuropsychiatr Assoc. 1997;36(3):496-502. 

  9. Lee HY, Kim JW, Park JH, et al. A Study for Diagnosis and Pattern Identification of Hwa Byung.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5;16(1):1-17. 

  10. Lim HJ, Kim SH, Lee SR, et al. Interim Report about the Effect of Bunsimgi-eum (Fenxinqiyin) on the Chest Discomfort of Hwa-byung's Major Symptom.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9;20(3):169-88. 

  11. Choi WC, Park DM, Lee SR, et al. Interim Report about the Effect of Sihogayonggolmoryeo-tang on the Anxiety of Hwa-byung.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2;23(4):133-52. 

  12. Lee GE, Kim NK, Kim HY, et al. The Effects of Acupuncture Treatment on Hwa-byung Patient's Insomnia: Patient-assessor 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2;23(1):31-48. 

  13. Park DM, Lee SR, Jung IC. A Case Series of Hwa-Byung Patients Using Instrument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Hwa-Byung and Instrument of Oriental Medical Evaluation for Hwa-Byung.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1;22(1):25-35. 

  14. Park DM, Lee SR, Jung IC. The Correlation of Psychological Scale Measurements in Depression, Anxiety, and Insomnia Patients and its Value.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2;23(3):63-76. 

  15. Chung SY, Park JH, Kim SH, Kim JW, Whang WW, Kwon JH. Comparison between Major Depressive Disorder & Hwabyung (Culture Bound Syndrome) Using the SCL-90-R.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4;15(2):45-51. 

  16. Behavioral Sciences Research Center, Korea University. Handbook of Psychological Scales. Seoul: Hakjisa; 2000:383-7, 419-24, 464-6. 

  17. Kim JT, Shin DK.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The New Medical Journal. 1978;21(11):70-2. 

  18. Chon KK, Kim DY, Yi JS. Development of the STAXI-K: IV.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000;7(1):33-50. 

  19. Jacobs GD, Pace-Schott EF, Stickgold R, Otto MW.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Pharmacotherapy for Insomnia. Arch Intern Med. 2004;164:1888-96. 

  20. Yi JS, Bae SO, Ahn YM, Park DB, Noh KS, Shin HK, et 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K-HDR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5;44(4):456-65. 

  21. Ghaemi NS, Miller CJ, Berv DA, Klugman J, Rosenquist KJ, Pies RW.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a New Bipolar Spectrum Diagnostic Scale. J Affect Disord 2005;84(2-3):273-7. 

  22. Wang HR, Kim SE, Kang SH, Joo YH, Kim CY.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ipolar Spectrum Diagnostic Scale for Detecting Bipolar Disorder.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8;47(6):533-9. 

  23. Shin HK, Won HT.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Alexithymia Scal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7;16(2):219-31. 

  24. Min BM, Lee KI, Jeong JC. NEO-PI-R: PSI Consulting; 1997. 

  25. Kim NS, Kim KH, Lee SM, Paik JW, Lee BR. Medical Usage and Level of Medical Quality of Depressed Patients.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09. 

  26. Lee JW, Hong MC, Shin MK, Bae HS. Comparison of Nelumbinis Semen Extract with Hypericum Perforatum and Fluoxetine in Animal Model of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6;20(4):830-43. 

  27. Seok SH, Kim JH, Kim GW, Koo BS. A Case of Insomnia Incurable by Neuropsychiatric Medication Alone, but Made Possible with Sarn-Hwang-Sa-Sim-Tang.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6;17(3):117-29. 

  28. Kang HS, Lee JH, Kim JY, Sung WY. A Clinical Report of Two Patients with Depression and Menopausal Symptoms Improved by Korean Traditional Treatment and Psychotherapy.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9;20(2):177-86. 

  29. Chang MK, Kim GW, Koo BS. Anti-depressant Effect of the Extracts of Aconitum Carmichaeli.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9;20(3):49-64. 

  30. Lim KW, Jung IC, Lee SR. The Effects of BunSimGiEum-Gami-Bang (Fenxinqiyinjiameifang) on Serotonin of P815 cell.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1;22(2):147-62. 

  31. Sim TK, Jung IC, Lee SR. The Effect of Gamisoyo-san (Jiaweixiaoyaosan) on Serotonin Metabolism.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1;22(1):37-51. 

  32. Chang SM, Sohn JH, Lee JY, Choi JH, Cho SJ, Jeon HJ, et al. Characteristics of Diagnostic Criteria for Depress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7;46(5):447-52. 

  33. Cho HJ, Chae JH, Jun TY. The Overview of Clinical Asessment Tools for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7;46(2):110-21. 

  34. Ahn HE, Ahn CK. Guidelines of NEO Personality Inventory. Korea Guidance; 1988. 

  35. Sifneos PE. The Prevalence of 'Alexithymic' Characteristics in Psychosomatic Patients. Psychother Psychosom. 1973;22:255-62. 

  36. Ryu SH.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Receiving Antidepressants: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Alexithymia. Korean J Psychopharmacol. 2009;20:316-24. 

  37. Duddu V, Isaac MK, Chaturvedi SK. Alexithymia in Somatoform and Depressive Disorders. J Psychosom Res. 2003;54:435-8. 

  38. Kirmayer LJ, Robbins JM. Cognitive and Social Correlates of the Toronto Alexithymia Scale. Psychosomatics. 1993;34(1):41-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