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 및 삶의 만족 예상에 대한 마음챙김기반 미술치료의 효과
The Effects of Mindfulness Based Art Therapy on Clinical Nurses' Job Stress,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Life,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1, 2022년, pp.493 - 504  

김은희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임상미술치료전공) ,  장석환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기반 미술치료가 임상간호사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 및 삶의 만족 예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H대학병원 임상간호사 2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3명, 통제집단 13명을 무선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주 1회, 90분씩 총 12회기동안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양 집단 모두 사전사후에, 직무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 및 삶의 만족 예상 척도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마음챙김기반 미술치료를 실시한 임상간호사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마음챙김,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 및 삶의 만족 예상이 유의미하게 증진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에서 모든 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향상을 보였다. 요약하면, 본 연구를 통해 마음챙김기반 미술치료가 임상간호사의 스트레스 감소 및 자기효능감 증진, 삶의 만족도, 삶의 만족 예상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indfulness based art therapy on clinical nurses' job stress,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life,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26 clinical nurses were selected and 13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3 w...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더욱이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을 통해 간호사들의 스트레스 지각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효과를 제시한 연구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집단 미술치료(Mindfulness Based Art Therapy; MBAT) 프로그램을 통해 간호사가 자신의 정신건강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할 뿐 아니라, 본 프로그램이 간호사 자신의 직무 스트레스 감소, 자기효능감 증진, 마음챙김 증진, 그리고 삶의 만족도 및 삶의 만족 예상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 예방적이고도 치료적인 스트레스 중재프로그램이 될 수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마음챙김과 미술치료 각각의 효과성을 확인한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미술치료 프로그램(MBAT)을 개발하여,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MBAT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임상간호사에게 총 12회기의 MBAT를 실시하여 스트레스 지각, 마음챙김 수준,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 및 삶의 예상 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이처럼 주요 의료 인력으로서 큰 역할을 담당하면서도 많은 직무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임상 간호사의 스트레스 감소와 정신건강 향상을 추구하고자 한다. 이에 주요 정신건강 지표인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 및 삶의 만족 예상의 개념을 소개하고, 이들을 증진하기 위한 근간이 되는 마음챙김이론을 살펴보며, 여기에 미술치료를 결합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상승시키는 방법을 모색한다.
  • 본 연구는 이처럼 주요 의료 인력으로서 큰 역할을 담당하면서도 많은 직무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임상 간호사의 스트레스 감소와 정신건강 향상을 추구하고자 한다. 이에 주요 정신건강 지표인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 및 삶의 만족 예상의 개념을 소개하고, 이들을 증진하기 위한 근간이 되는 마음챙김이론을 살펴보며, 여기에 미술치료를 결합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상승시키는 방법을 모색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알아차림, 적응, 수용의 요소를 포함한 마음 챙김 기반 미술치료(MBAT)를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스트레스가 감소한다.
  • 가설 2: 알아차림, 적응, 수용의 요소를 포함한 MBAT를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마음 챙김이 증가한다.
  • 가설 3: 알아차림, 적응, 수용의 요소를 포함한 MBAT를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기효능감이 증가한다.
  • 가설 4: 알아차림, 적응, 수용의 요소를 포함한 MBAT를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삶의 만족도가 증가한다.
  • 가설 5: 알아차림, 적응, 수용의 요소를 포함한 MBAT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삶의 만족 예상이 증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한애경, 김옥수, 원종순, "임상간호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대응방법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제13권, 제2호, pp.125-136, 2007. 

  2. 정미영, 서남숙, "감성발달요법이 간호사의 스트레스, 피로, 수면 및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효과," 스트레스, 제26권, pp.60-67, 2018. 

  3. 윤은자, 김희정, "간호사의 이직의도 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제43권, 제2호, pp.256-266, 2013. 

  4. 신선화, 김화진, "임상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정신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의해 조절된 감사의 매개효과," 간호행정학회지, 제26권, 제4호, pp.378-387, 2020. 

  5. 강미정, 하양숙, "간호사의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스트레스, 제18권, 제1호, pp.1-10, 2010. 

  6. J. Almost and H. K. Spence Laschinger, "Workplace empowerment, collaborative work relationships, and job strain in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Vol.14, No.9, pp.408-420, 2002. 

  7. P. A. Ratner and R. Sawatzky, "Health status, preventive behaviour and risk factors among female nurses," Health Reports, Vol.20, No.3, pp.53-61, 2009. 

  8. 김현미, 황미혜, 전성주, 장군자,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8권, 제2호, pp.327-336, 1997. 

  9. 김주현, 강현숙, 권성복, 김동옥, 박영숙, 서문자, 손영희, 손행미, 이여진, 이은희, 임난영, 조경숙, 한혜자, 성영희, 박정원, 이계숙, "한국 임상간호사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 II: 한국 임상간호사 역할의 타당성 연구," 임상간호연구, 제10권, 제2호, pp.157-171, 2005. 

  10. 김영임, 이다예, "보건관리자와 임상간호사의 직무특성, 지식공유 및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26권, 제4호, pp.236-246, 2017. 

  11. 김영임, "교대근무간호사의 건강증진생활양식수준과 영향요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20권, 제3호, pp.356-364, 2011. 

  12. OECD. https://data.oecd.org/healthres/nurses.htm 

  13. 이종하, 신철민, 고영훈, 임재형, 조숙행, 김승현, 정인과, 한창수, "한글판 스트레스 자각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정신신체의학, 제20권, 제2호, pp.127-134, 2012. 

  14. 김정호,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 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2권, 제2호, pp.325-345, 2007. 

  15. J. M. A. Landa, E. Lopez-Zafra, M. P. B. Martos, and M. D. C. Aguilar-Luz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occupational stress and health in nurses: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 of Nursing Studies, Vol.45, No.6, pp.888-901, 2008. 

  16. K. A. King, R. Vidourek, and M. Schwiebert, "Disordered eating and job stress among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17, No.7, pp.861-869, 2009. 

  17. H. Wu, T. S. Chi, L. L. Chen, L. Wang, and Y. P. Jin, "Occupational stress among hospital nurses: Cross-sectional surve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6, No.3, pp.627-634, 2010. 

  18. 이복임, "최근 10년간 간호사의 스트레스에 관한 국외연구 동향분석,"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21권, pp.27-36, 2012. 

  19. 이복임, 정혜선, "근로자의 삶의 질 예측모형," 한국산업간호학회지, 제20권, 제1호, pp.35-45, 2011. 

  20. 박성애, 김정희,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행위유형과 사회적 지지 및 직무스트레스," 간호행정학회지, 제7권, 제2호, pp.349-359, 2001. 

  21. 이영숙, 태영숙, "종양병동 간호사의 소진 체험," 종양간호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00-109, 2012. 

  22. J. C. Rode,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revisited: A longitudinal test of an integrated model," Human Relations, Vol.57, No.9, pp.1205-1230, 2004. 

  23. E. Diener, S. Oishi, and R. E. Lucas, "Personality,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Emotional and cognitive evaluations of lif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4, No.1, pp.403-425, 2003. 

  24. 한준, 김석호, 하상응, 신인철, "사회적 관계의 양면성과 삶의 만족," 한국사회학, 제48집, 제5호, pp.1-24, 2014. 

  25. H. C. Carlson, "A model of quality of work life as a developmental process," Education Training, Vol.25, No.1, pp.27-32, 1983. 

  26. 양현지, 김은정, "자기복잡성과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자기-측면들 간의 조화와 중요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1 권, 제1호, pp.173-193, 2016. 

  27. 최규환, "호텔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7권, 제2호, pp.267-287, 2015. 

  28. P. M. Hart, "Predicting employee life satisfaction: A coherent model of personality, work, and nonwork experiences, and domain satisfac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4, No.4, pp.564-584, 1999. 

  29. 한금선, 김정화, 이광미, 박지선, "임상간호사의 삶의 질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제13권, 제4호, pp.430-437, 2004. 

  30. A. Bandura, Self-efficacy, In V. S. Ramachaudran(Ed.), Encyclopedia of Human Behavior(Vol.4, pp.71-81), New York: Academic Press, 1994. (Reprinted in H. Friedman(Ed.), Encyclopedia of Mental Health(pp.1-15), San Diego: Academic Press, 1998). 

  31. 김미경, 임상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회복탄력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17. 

  32. 김정희, 박은옥, "임상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34-144, 2012. 

  33. M. D. Litt, "Self-efficacy and perceived control: Cognitive mediators of pain toler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4, No.1, pp.149-160, 1988. 

  34. L. Lecci, M. A. Okun, and P. Karoly, "Life regrets and current goals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6, No.4, pp.731-741, 1994. 

  35. 김기옥, 김순옥, 황선진, 이수진, 현은자, 최인수, 유현정, "ESM을 통해 본 대학생의 주관적 삶의 질: 정서, 인지적 효율성, 만족도의 측면에서," 대한가정학회지, 제43권, 제2호, pp.203-229, 2005. 

  36. 이혜진, 박형인, "마음챙김 기반 치료의 효과: 메타분석 연구,"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4, No.4, pp.991-1038, 2015. 

  37. R. A. Gotink, P. Chu, J. J. Busschbach, H. Benson, G. L. Fricchione, and M. M. Hunink, "Standardised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in healthcare: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of RCTs," PloS One, Vol.10, No.4, e0124344, 2015. 

  38. R. Hart, I. Ivtzan, and D. Hart, "Mind the gap in mindfulness research: A comparative account of the leading schools of thought,"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Vol.17, No.4, pp.453-466, 2013. 

  39. J. Cohen-Katz, S. D. Wiley, T. Capuano, D. M. Baker, and S. Shapiro,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on nurse stress and burnout, Part II: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Holistic Nursing Practice, Vol.19, No.1, pp.26-35, 2005. 

  40. 김선영, 김윤주, 이호진, 홍혜정, "마음챙김명상 기반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 간호사관생도의 심리적 증상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군진간호연구, 제31권, 제1호, pp.110-119, 2013. 

  41. S. L. Shapiro, L. E. Carlson, J. A. Astin, and B. Freeman, "Mechanisms of mindfulnes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62, No.3, pp.373-386, 2005. 

  42. 한정균, "마음챙김 수준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행복요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3호, pp.735-751, 2008. 

  43. J. Kabat-Zinn,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in Context: Past, Present, and Future,"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Vol.10, No.2, pp.144-156, 2003. 

  44. 김은휘, "일 종합병원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연구," 제7권, 제5호, pp.107-116, 2016. 

  45. A. B. Bakker, "The crossover of burnout and its relation to partner health," Stress and Health: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Investigation of Stress, Vol.25, No.4, pp.343-353, 2009. 

  46. S. H. Carson and E. J. Langer, "Mindfulness and Self-Acceptance," Journal of Rational-Emotive and Cognitive-Behavior Therapy, Vol.24, No.1, pp.29-43, 2006. 

  47. D. A. Monti, C. Peterson, E. J. Kunkel, W. W. Hauck, E. Pequignot, L. Rhodes, and G. C. Brainard,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mindfulness-based art therapy (MBAT) for women with cancer," Psychooncology, Vol.15, No.5, pp.363-73, 2006. 

  48. 이주영, 자기성장을 목적으로 한 쉼터 거주 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6. 

  49. 황해경, 전종국, 최은영, "집단미술치료가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7권, 제2호, pp.325-345, 2006. 

  50. L. M. Toroghi,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on housewives general health, anxiety and self-efficacy in Tehran," European Psychiatry, Vol.30, p.852, 2015. 

  51. G. Kaimal and K. Ray, "Free art-making in an art therapy open studio: Changes in affect and self-efficacy," Arts & Health, Vol.9, No.2, pp.154-166, 2017. 

  52. 서미정, 홍선미, "집단미술치료가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감정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치료학회지, 제15권, 제1호, pp.93-115, 2015. 

  53. 김교옥, "알아차림 명상과 미술치료가 성인학습자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영향," 선도문화, 제20권, pp.529-565, 2016. 

  54. 김매자, 구미옥, "간호원이 근무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구개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14권, 제2호, pp.28-37, 1984. 

  55. 주진희,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9. 

  56. R. A. Baer, G. T. Smith, J. Hopkins, J. Krietemeyer, and L. Toney, "Using self-report assessment methods to explore facets of mindfulness," Assessment, Vol.13, No.1, pp.27-45, 2006. 

  57. 원두리, 김교헌, "한국판 5요인 마음챙김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1권, 제4호, pp.871-886, 2006. 

  58. 김아영, 차정은, "자기효능감과 측정,"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51-64, 1996. 

  59.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교육심리연구, 제11권, 제2호, pp.1-19, 1997. 

  60. D. C. Shin and D. M. Johnson, "Avowed "happiness as an overall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5, No.1, pp.475-492, 1978. 

  61. E. D. Diener, R. A. Emmons, R. J.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No.1, pp.71-75, 1985. 

  62. 조명한, 차경호, 삶의 질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집문당, 1998. 

  63. K. W. Brown and R. M. Ryan,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4, No.4, pp.822-848, 2003. 

  64. 김정호, "체계적 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관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6권, 제1호, pp.23-58, 200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