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의설계입문의 PBL(Problem-Based Learning) 적용: 충남대학교 환경공학분야 사례
Applic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Method to Introduction to Creative Engineering Design Course: Case Study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6 no.2, 2013년, pp.78 - 85  

장용철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김건국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김민철 (제주대학교 경영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PBL 활용 창의설계입문의 교과목 운영 사례를 분석 제시하였다. 본 교과목은 공과대학 환경공학 전공을 선택하여 대학에 입학한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PBL 교수법을 통해 창의적인 사고와, 자기주도 학습,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환경공학 분야의 창의적 공학설계 개념 및 방법을 배우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궁극적으로 공학 분야의 전공 설계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공학 분야의 창의설계입문 교과목에 대한 PBL 교육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생들의 변화와 학습 성과를 심층 학생설문조사 및 강의평가를 통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그 결과를 요약할 수 있다. 1. PBL 학습법을 적용한 창의설계입문 교과목은 학습 성과분석 결과, 학생 스스로 문제해결 과정에서 팀워크의 중요성과 팀원으로서의 책임감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는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문제해결 과정에서 의사소통의 중요성과 효과적인 의사전달 능력을 배양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아울러 학생들이 스스로 사고하는 능력과 창의성의 중요성, 팀 협동 능력이 향상되었다. 2. PBL 활용 창의설계입문의 교과목 수강을 통해 학생들이 대체로 매우 만족하고 우수하다는 평가가 나타났으며, 특히 교수와 조교의 충분한 의사소통, 역할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PBL-문제 제시를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흥미유발과 동기부여가 되었으며 공학설계 주제에 대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논의하고 이를 실제 설계 제작하였다. 구두발표회와 시연회를 통해 의사전달 능력을 배양하였으며, 학생들이 설계에 대한 흥미를 느끼며 직접 체험하는 효과를 거두었다. 4. 그러나 향후 PBL 활용창의설계입문 교과목 교육 시 PBL문제 제시의 수, 충분한 예산 확보 방안, 팀원 간 갈등 예방 등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와 개선이 필요하다. 이상을 종합하여 요약한다면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PBL 활용 창의설계입문 교과목은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학습 성과를 거두었다. 향후 이러한 PBL 활용 공학설계입문 교과목이 지속적으로 보완되어 개선된다면 학생들이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배양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하여 응용하고 관련 공학 설계 지식을 배우고 문제해결을 위한 창의성 배양에 기여를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Introduction to Creative Engineering Design' course at College of Engineering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s required for all freshmen.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educate the freshmen with basic engineering design concepts and experiences in creative problem-solving approaches. It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교과목의 학습목표와 학습성과 달성을 위해 교과목의 주요 내용은 15주를 기준으로 제1주~3주는 공학 분야의 소개, 공학 설계의 개념과 추세, 친환경 설계(environmentally conscious design, Eco-design) 등에 대한 기본 내용을 소개한 뒤, PBL 문제를 팀워크를 통해 수행하고 성과를 발표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학에 입학한 1학년 학생들에게 보다 쉽고 재미있게 공학 분야의 소개와 함께 공학의 기초설계 개념을 소개하고 실생활에서 접하는 PBL 문제를 수행하여 학습의욕과 흥미를 높이고자 하였다. Table 1은 주별 강의 및 PBL 수행내용을 예시로 제시하였다.
  • 특히 환경공학 분야 중 우리 실생활에 관련된 PBL 문제를 선정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학습동기와 흥미를 갖도록 하였 으며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배양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PBL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나가는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 배양, 소그룹 팀 구성을 통해 협동학습 경험, 해결방안 발표 및 제시 시 의사전달능력 배양 등의 학습성과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특히 창의설계입문 교과목에서는 학생들의 창의성이 요구되고, 기존 주제중심학습(subject oriented learning)에 따른 수동적인 학습참여가 아닌 실생활에서 부딪칠 수 있는 문제들을 학생들이 직접 경험하면서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유도하고자 PBL 학습방법을 적용하였다.
  • 본 교과목은 공과대학 환경공학 전공을 선택하여 대학에 입학한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PBL 교수법을 통해 창의적인 사고와, 자기주도 학습,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환경공학 분야의 창의적 공학설계 개념 및 방법을 배우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궁극적으로 공학 분야의 전공 설계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공학 분야의 창의설계입문 교과목에 대한 PBL 교육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생들의 변화와 학습 성과를 심층 학생 설문조사 및 강의평가를 통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그 결과를 요약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PBL 활용 창의설계입문의 교과목 운영 사례를 분석 제시하였다. 본 교과목은 공과대학 환경공학 전공을 선택하여 대학에 입학한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PBL 교수법을 통해 창의적인 사고와, 자기주도 학습,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환경공학 분야의 창의적 공학설계 개념 및 방법을 배우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궁극적으로 공학 분야의 전공 설계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자 하였다.
  • 또한 학생들이 환경공학 분야의 창의적 공학설계 개념 및 방법을 배우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궁극적으로 공학 분야의 전공 설계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공학 분야의 창의설계입문 교과목에 대한 PBL 교육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생들의 변화와 학습 성과를 심층 학생 설문조사 및 강의평가를 통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그 결과를 요약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 하에서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1학년 2학기에 개설되어 있는 창의설계입문 교과목에 대해 PBL 교수법 개발 및 적용을 주로 다루었다. 또한 PBL 활용 창의설계입문 교과목을 통해 나타난 학생들의 변화를 주로 학습성과, 강의평가 만족도, 피드백 및 강의 개선 방향 등을 분석하여 요약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PBL 활용 창의설계입문의 교과목 운영 사례를 분석 제시하였다. 본 교과목은 공과대학 환경공학 전공을 선택하여 대학에 입학한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PBL 교수법을 통해 창의적인 사고와, 자기주도 학습,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목표는 PBL 문제 해결을 통해 달성될 수 있도록 하였 으며, 이를 위해 기초 자료 제공, 문헌 정보, 실습실 제공, 실습 조교 등이 교육 기반으로 제공되었다. PBL 문제 해결은 5인 1조 소그룹을 구성하여 수행하도록 하였다.
  • 본 교과목은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1학년 학생 대상 공학기초설계 교과목으로서 공학설계에 대한 기본 개념 소개와 함께 환경공학 관련 분야의 설계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환경공학 분야 중 우리 실생활에 관련된 PBL 문제를 선정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학습동기와 흥미를 갖도록 하였 으며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배양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PBL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나가는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 배양, 소그룹 팀 구성을 통해 협동학습 경험, 해결방안 발표 및 제시 시 의사전달능력 배양 등의 학습성과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BL 교수법의 특징은 무엇인가? , 2008) 등에서 도입하여 대학교육에 활용하고 있다. PBL 교수법의 근본적인 특징은 강의가 교수에 의해 학습이 이루어지는것이 아니라, 학생 스스로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해야하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 방식이다(Barrows, 1985). PBL 교수법에서 실제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에서 접할 수 있는 실제적인 PBL 문제를 활용한다면 학생들이 PBL 문제를 접하게 되면서 많은 학습 동기와 흥미를 가질 수 있다.
창의성에 바탕을 둔 공학설계교육은 무엇에 기여할 수 있는가? 이러한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해 창의성(creativity)을 바탕으로 한 공학설계교육이 확대되고 있다(김인숙 외, 2011). 창의성에 바탕을 둔 공학설계교육은 궁극적으로 학생 스스로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참여 유도를 통해 설계 능력을 개발하고 창의성 있는 인재를 대학에서 양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백윤수 외, 2006). 그러나 최근까지 대학 교과과정에서 창의적 사고와 자기주도적 문제 해결 능력 관련 교과목은 부족한 실정이다.
공학인증제도 도입으로 시도되는 공학교육혁신에는 무엇이 있는가? 다행히 최근 들어 대학에서 공학인증제도(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ABEEK)가 도입되면서, 설계교육이 강화되고 있으며 실무적인 지식 적용을 위한 산업체와 교육 연계 프로그램, 엔지니어로서의 자질 및 능력 함량 교육 프로그램 등에 대해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이론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전공주제 종합설계(capstone design) (서두원, 2009; Kristen et al., 2009),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이하 PBL) 교수법(Barrows, 1985; Frank et al., 2003; Amador & Peter, 2006; 강소연, 2009), 체험학습 기반 교수법(이종수, 2008), 프로젝트 기반 capstone design (Dutson et al., 1997), 융합 및 다학제적 접근(multi-disciplinary approach)(이중순 ․ 곽효연, 2008; 윤린 외, 2011; 백윤수 외,2011) 등 다양한 공학교육혁신이 시도되고 있다(강소연 외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강소연(2009). 공학 교육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PBL) 가이드 북. 연세대학교 공학교육센터. 

  2. 강소연 ? 조형희 ? 홍종일 ? 김의준 ? 박성은(2005). 공학교육에서의 PBL수업의 효과 연구. 공학교육연구, 8(2): 24-34. 

  3. 김인숙 ? 강태욱 ? 최정우(2011). 공학 기초설계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수업 결과 분석. 공학교육연구, 14(5): 3-9. 

  4. 백윤수(2006). 대학신입생 공학설계과목을 통한 창의성 교육의 성과. 공학교육연구, 9(2): 5-20. 

  5. 백윤수 ? 이준환 ? 김은태 ? 오경주 ? 박정선 ? 정지범(2011). 우리나라 STEAM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6. 윤린 ? 김인선 ? 최병욱(2011). 융합교육의 현황 및 향후 방향: 한밥대학교 사례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4(3): 55-60. 

  7. 서두원(2009). 컴퓨터네트워크 실습 교과목을 위한 PBL 교수 학습모형의 설계와 구현. 공학교육연구, 12(1): 17-23. 

  8. 신민희(2009). PBL 수업에서 공과대학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문제해결 능력 차이. 공학교육연구, 12(4): 30-37. 

  9. 이종수 ? 민병권 ? 윤웅섭 ? 한재원 ? 정효원(2008). 체험학습기반의 기초 창의공학설계 교육 및 운영. 공학교육연구, 11(2): 32-41. 

  10. 이중순 ? 곽효연(2008). 공학자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실험계획 및 분석을 적용한 교육과정의 설계-기계공학계열의 학과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1(1): 33-46. 

  11. 장용철(2010). PBL 기반 창의설계입문. 동화기술. 

  12. 최유현(2005). 창의적 공학교육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의 모형과 절차의 탐색. 공학교육연구. 8(1): 99-112. 

  13. 황성호 ? 권호채 ? 김용세(2005). 기계공학에서의 PBL적용 교과 과정 개발: 제품해체 설계추론. 공학교육연구, 8(1): 20-30. 

  14. 황순희(2011). PBL 기반 토의 수업 모형의 구현과 평가: 부산 대학교 수업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4(4): 88-96. 

  15. 황운학(2010). 실천공학 교수법: ET 헬스기구에 PBL 교수법을 적용한 기초공학(물리학) 교육.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2(2): 42-48. 

  16. Alkhasawneh, M. et al.(2008). Problem-based learning (PBL): assessing students' learning preferences using vark. Nurse Education Today, 28: 572-579. 

  17. Amador, J. & Peter, C.(2006). The Practice for Problem Based Learning - A Guide to Implementing PBL in the College Classroom. Anker Publishing Company, Inc. 

  18. Barrows, H.(1986). A taxonomy of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Medical Education, 19(3): 481-486. 

  19. Barrows, H.(1985). How to Design a problem-based Curriculum for the Preclinical Years. Springer, NY). 

  20. Dutson, A. et al.(1997). A Review of Literature on Teaching Engineering Design Through Project-Oriented Capstone Course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86: 17-28. 

  21. Frank, M., Lavy, I. and Elata, D.(2003). Implementing the Project-Based Learning Approach in an Academic Engineering 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Design Education, 13: 273-288. 

  22. Grant, C. & Dickson, B.(2006). Personal Skills in Chemical Engineering Graduates: The Development of Skills Within Degree Programmes to Meet the Needs of Employers. Education for Chemical Engineers, 1(1): 23-29. 

  23. Harris, A. & Briscoe-Andrews, S.(2008). Deveolopment of A problem-based learning elective in "green engineering", Education for Chemical Engineers, 3: e15- e21. 

  24. Kristen, G. et al.(2009). The influence of prior industry experience and multidisciplinary teamwork on student design learning in a capstone design course. Design Studies, 30(6): 721-736. 

  25. Pinar, C., Fatih, O. and Ilhan, S.(2011).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students' success in physics course.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8: 656-660. 

  26. Ribeiro, L. & Mizukami, M.(2005). "Problem-based learning: a student evaluation of an implementation in postgraduate engineering education", Europe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30(1): 137-149. 

  27. Woods, D.(1996). How to get the most our of PBL, http://chemeng.mcmaster.ca/pbl/pbl.htm (accessed April 23,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