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가 인지한 투약오류관리풍토와 오류보고의도의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역할
Role of Transformational-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tion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Error Reporting Intention of Nurse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5 no.6, 2013년, pp.633 - 643  

김명수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transformational-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tion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error reporting intention.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18 nurses from 11 hospitals in Korea.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오류보고를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연구로, 같은 주제는 아니나 아동학대에 대한 보고의도와 행위의 관련성을 계획된 행위이론의 틀로 분석한 연구(Feng & Wu, 2005)에 근거할 때 오류에 대한보고의도와 행위 간에도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았다.
  • 본 연구는 투약오류관리풍토와 오류보고의도의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상호작용 및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상관관계 연구(cross-sectional correlational study)이다.
  • 본 연구는 편의추출을 통한 단면조사연구여서 결과의 일반화에 제한이 따르므로 연구결과의 해석에 주의를 요하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변혁적 리더십 강화전략을 활용한 후의 투약 오류관리풍토나 오류보고의도의 변화, 나아가 보고행위의 변화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안하는 바이다.
  • 특히 우리나라병원들의 공식 오류보고율은 알 수 없으므로 관찰 가능한 보고의도를 향상시키면 실제 오류보고가 증가할 것이라 가정하고, 오류보고의도에 대한 수간호사의 변혁적 리더십의 역할을 검증하였다. 이에 변혁적 리더십의 상호작용,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변혁적 리더십이 오류보고행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판명될 경우 보고촉진을 위해 새롭게 중재해야 할 대상이 되어 오류보고행위의 촉진전략에 새로운 전략을 구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투약오류관리풍토가 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 중 카리스마 영역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가설 설정

  • , 2009). 연구기획 당시 하위변수를 모두 분석에 투입시킬 경우를 가정하였으며, 이에 4개의 하위변수를 가지는 환자 안전풍토와 수간호사의 변혁적 리더십, 총 5개의 변수가 포함되므로 최소 100명의 대상자가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보았다. 이에 전국적으로 조사이므로 회수율이 낮을 것으로 보고 약 65%로 계상하여 158부를 배부하였다.
  • 본 연구는 오류보고를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연구로, 같은 주제는 아니나 아동학대에 대한 보고의도와 행위의 관련성을 계획된 행위이론의 틀로 분석한 연구(Feng & Wu, 2005)에 근거할 때 오류에 대한보고의도와 행위 간에도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았다. 특히 우리나라병원들의 공식 오류보고율은 알 수 없으므로 관찰 가능한 보고의도를 향상시키면 실제 오류보고가 증가할 것이라 가정하고, 오류보고의도에 대한 수간호사의 변혁적 리더십의 역할을 검증하였다. 이에 변혁적 리더십의 상호작용,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풍토가 개인의 변화를 유도하는데 있어 분리될 수 없는 것은? 조직풍토가 개인의 변화를 유도하는데 있어 분리될 수 없는 것이 바로 조직을 이끄는 리더십이다. 간호관리자의 리더십은 안전한 조직풍토의 영향요인으로(Thompson et al.
안전조직풍토란 무엇인가? , 2003). 환자안전문화가 모든 구성원들에게 공유된 가치나 행동의 패턴으로 실제 환자 안전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고 행동하게 하는 조직의 문화라는 광범위한 의미를 가진다면(McFadden, Henagan, & Gowen, 2009), 안전조직풍토는 안전조직 분위기와 혼용되는 말로 환자안전문화의 수준을 나타내주는 지표이며(Flin, 2007), 보다 다면적이고 실무중심적인 현상을 말한다(Singer et al., 2003).
투약오류보고가 지속적으로 장려되어야 함을 Noble과 Pronovost가 간접적으로 시사한 내용은? 특히, 투약오류보고 시스템의 활성화는 안전한 투약을 유도하는 만큼 간호사의 오류보고행위를 증진시키는 것은 어떤 예방행위보다 효과적이지만(Kim & Kim, 2009),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오류의 미보고가 문제시되고 있다(Chiang, Lin, Hsu, & Ma, 2012). Noble과 Pronovost (2010)는 낮은 보고율 때문에 보고된 오류와 실제 오류발생간의 차이가 발생하여 해석에 편향된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면서, 시스템의 구축만으로 환자안전을 향상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고 미보고에 대한 위험을 제시하였다. 이는 투약오류보고는 지속적으로 장려되어야 함을간접적으로 시사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jzen, I., & Madden, T. J. (1986). Prediction of goal-directed behavior: Attitudes, intention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2, 453-474. 

  2. Avolio, B. J. (1994). The "natural" leader: Some antecedents to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17, 1559-1581. 

  3. Barling, J., Loughlin, C., & Kelloway, E. K. (2002). Development and test of a model linking safety-specific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ccupational safet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7, 488-496. 

  4. Bass, B. M., & Avolio, B. J. (2000). MLQ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Redwood City: Mind Garden. 

  5. Chiang, H. Y., Lin, S. Y., Hsu, S. C., & Ma, S. C. (2010). Factors determining hospital nurses' failures in reporting medication errors in Taiwan. Nursing Outlook, 58, 17-25. http://dx.doi.org/10.1016/j.outlook.2009.06.001 

  6. Cho, J., Park, I., & Michel, J. W. (2011). How does leadership affect information systems success? The ro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formation & Management, 48, 270-277. http://dx.doi.org/10.1016/j.im.2011.07.003 

  7. Feng, J. Y., & Wu, Y. W. B. (2005). Nurses'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in Taiwan: A test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8, 337-347. 

  8. Flin, R. (2007). Measuring safety culture in healthcare: A case for accurate diagnosis. Safety Science, 45, 653-667. http://dx. doi.org/10.1016/j.ssci.2007.04.003 

  9. Ha, N. S., Choi, J., & Yoon, Y. M.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nurse managers and autonomy, empowerment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8, 249-259. 

  10. Hartnell, N., MacKinnon, B. M., Sketris, I., & Fleming, M. (2012). Identifying,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barriers to medication error reporting in hospitals: A focus group study. BMJ Quality & Safety, 21, 361-368. 

  11. Helmreich, R. L., & Davies, J. M. (1996). Human factors in the operating room: Interpersonal determinants of safety efficiency and morale. Bailliere's Clinical Aneaesthesiology, 10, 277-295. 

  12. Kagan, I., & Barnoy, S. (2008). Factors associated with reporting of medication errors by Israeli nurse.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3, 353-361. http://dx.doi.org/10.1097/01.NCQ.0000336674.10348.09 

  13. Kim, C. H., & Kim, M. (2009). Defining reported errors on webbased reporting system using ICPS from nine units in a Korean university hospital. Asian Nursing Research, 3, 167-176. 

  14. Kim, M. S. (2010). The effectiveness of error reporting promoting strategy on nurse's attitude, patient safety culture, intention to report and reporting rat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172-181. http://dx.doi.org/10.4040/jkan.2010.40.2.172 

  15. Kim, M. S. (2012). Medication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perception for system use according to construction of medication error prevention syste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 568-578. http://dx.doi.org/10.4040/jkan.2012.42.4.568. 

  16. Koerner, J., & Wesley, M. L. (2008). Organizational culture: The silent political force.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32, 49-56. http://dx.doi.org/10.1097/01.NAQ.0000305947.69311.a0 

  17. Kunzle, B., Kolbe, M., & Grote, G. (2010). Ensuring patient safety through leadership behaviour: A literature review. Safety Science, 48, 1-17. http://dx.doi.org/10.1016/j.ssci.2009.06.004. 

  18. Lee, E. O., Im, N. Y., Park, H. Y., Lee, I, S., Kim, J. I., Bae, J. I., et al. (2009).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Paju: Soomoonsa. 

  19. McFadden, K. L., Henagan, S. C., & Gowen, C. R. (2009). The patient safety cha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effect on patient safety culture, initiatives, and outcomes.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27, 390-404. 

  20. Noble, D. J., & Pronovost, P. J. (2010). Underreporting of patient safety incidents reduces health care's ability to quantify and accurately measure harm reduction. Journal of Patient Safety, 6, 247-250. http://dx.doi.org/10.1097/PTS.0b013e3181fd1697 

  21. Salas, E., Fowlkes, J. E., Stout, R. J., Milanovich, D. M., & Prince, C. (1999). Does CRM training improve teamwork skills in the cockpit? Two evaluation studies. Human Factors, 41, 326-343. 

  22. Schein, E. H. (1996).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23. Singer, S. J., Gaba, D. M., Geppert, J. J., Sinaiko, A. D., Howard, S. K., & Park, K. C. (2003). The culture of safety: Results of an organization-wide survey in 15 California hospitals.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12, 112-118. http://dx.doi.org/10.1136/qhc.12.2.112 

  24. Squires, M., Tourangeau, A., Spence Laschinger, H. K., & Doran, D. (2010). The link between leadership and safety outcomes in hospital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8, 914-925.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0.01181.x 

  25.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12).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6th ed.).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Boston. 

  26. Thompson, D. N., Hoffman, L. A., Sereika, S. M., Lorenz, H. L., Wolf, G. A., Burns, H. K., et al. (2011). A relational leadership perspective on unit-level safety climat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41, 479-487. http://dx.doi.org/10.1097/NNA.0b013e3182346e31 

  27. Throckmorton, T., & Etchegaray, J. (2007). Factors affecting incident reporting by registered nurses: The relationship of perceptions of the environment for reporting errors, knowledge of the nursing practice act, and demographics on intent to report errors. Journal of Perianesthesia Nursing, 22, 400-412. http://dx.doi.org/10.1016/j.jopan.2007.09.006 

  28. van Dyck, C., Frese, M., Baer, M., & Sonnentag, S. (2005). Organizational error management culture and its impact on performance: A two-study replic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 1228-1240. http://dx.doi.org/10.1037/0021-9010.90.6.1228 

  29. Vogelsmeier, A. A., Scott-Cawiezell, J. R., & Pepper, G. A. (2011). Medication reconciliation in nursing homes: Thematic differences between RN and LPN staff.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7, 56-63. http://dx.doi.org/10.3928/00989134-20111103-05 

  30. Zohar, D., & Tenne-Gazit, O. (2008).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group interaction as climate antecedents: A social network 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3, 744-757. http://dx.doi.org/10.1037/0021-9010.93.4.7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