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교대근무간호사의 수면특성과 투약오류와의 관계
Association of Sleep Characteristics with Medication Errors for Shift Work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1 no.4, 2014년, pp.403 - 412  

이영희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최수정 (삼성서울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Shift work disrupts th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human biological clock and the environment. Sleep disturbances are common for shift work nurses, and may threaten patient safety.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sleep characteristics and medication errors (ME) of intensive care u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중환자실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 특성을 조사하고, 투약오류를 중심으로 수면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사의 수면 개선과 투약오류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교대근무간호사의 수면특성과 투약오류 경험을 조사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수면특성으로 지난 2주간의 수면패턴(sleep pattern)과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수면장애를 조사하였다. 우선 수면패턴은 쉬는 날과 근무일의 주간, 오후, 밤근무 시 근무 형태별 평균 수면시간과 잠드는데 걸리는 시간인 수면잠복기 (sleep latency)로 구분하여 시간으로 측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자가보고형 조사표를 이용하여 대상자에게 지난 2주 동안의 수면시간 및 수면잠복기에 대한 평균 소요시간을 시간과 분으로 기록하게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교대 근무 간호사들의 주관적인 수면특성과 투약오류 경험을 조사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사의 수면 개선과 투약오류 예방을 위한 중재 모색을 도모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중환자실에서의 투약오류는 환자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이를 예방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교대근무를 하는 간호사의 수면 문제가 환자 안전을 위협한다는 선행연구결과들에 기초하여 중환자실 교대근무간호사의 수면특성 및 투약오류에 대해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실에서 투약오류 발생률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중환자실은 환자의 중증도가 높아 특히 환자들에게 사용하는 약제가 많고, 환자상태에 따라 수시로 긴급하게 약물의 종류나 용량 변경이 필요하여 서면이 아닌 구두처방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경우가 많아 투약오류 발생률이 높다[1]. 중환자실에서의 투약오류 중 약 19%는 생명을 위협하며, 약 42%는 부가적인 생명유지 중재가 필요한 것으로[2,3] 유해한 결과를 초래 할 수 있는 오류의 비율도 일반병동에 비해 두 배 이상 더 높다[3].
중환자실 간호사의 높은 피로가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더욱이 24시간 환자를 돌보아야 하는 간호의 특성상 교대근무를 반복해야 하므로 일주기 리듬의 교란 가능성이 커서[6] 불가피하게 대부분의 중환자실 간호사는 심한 피로와 더불어 수면부족과 교대 근무간 회복에 어려움을 경험하며[4], 실제로 5일 근무 중 거의 한번은 졸지 않기 위해 애를 쓰는 것으로 보고되었다[7]. 수면부족은 간호사의 의사결정에도 영향을 미쳐[8] 피곤한 간호사는 잘못된 임상판단이나 투약오류를 범하거나 다른 사람이 행한 오류를 차단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특히 잘못된 중재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거나 회복능력이 저하된 중환자에게 자신을 돌보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수면부족으로 인한 해로운 영향은 심각한 문제가 된다[4,7].
투약오류란 무엇인가? 투약오류는 환자가 부작용을 경험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처방, 투약 준비과정, 환자에게 투약 하는 과정을 포함 투약 과정 전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오류를 말한다[1]. 근접오류는 오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차단되어 발생되지 않은 오류를 의미하는데[14], 본 연구에서 투약오류는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지난 2주간 근접오류를 포함한 투약오류 경험 유무와 투약오류 경로, 발생 시기를 근무형태별로 기술하도록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amire E, Moyen E, Stelfox HT. Medication errors in critical care: Risk factors, prevention and disclosure.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2009;180(9):936-943. http://dx.doi.org/10.1503/cmaj.080869 

  2. Osmon S, Harris CB, Dunagan WC, Prentice D, Fraser VJ, Kollef MH. Reporting of medical errors: An intensive care unit experience. Critical Care Medicine. 2004;32(3):727-733. http://dx.doi.org/10.1097/01.CCM.0000114822.36890.7C 

  3. Latif A, Rawat N, Pustavoitau A, Pronovost PJ, Pham JC. National study on the distribution, causes, and consequences of voluntarily reported medication errors between the ICU and non-ICU settings. Critical Care Medicine. 2013;41(2):389-398. http://dx.doi.org/10.1097/CCM.0b013e318274156a 

  4. Scott LD, Arslanian-Engoren C, Engoren MC. Association of sleep and fatigue with decision regret among critical care nurse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14;23(1):13-23. http://dx.doi.org/10.4037/ajcc2014191 

  5. Oh J, Yoon CM. Lower extremity edema and pain of nurses and the effect of self leg mass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2):278-286. http://dx.doi.org/10.4040/jkan.2008.38.2.278 

  6. Akerstedt T. Shift work and disturbed sleep/wakefulness. Occupational Medicine (Lond). 2003;53(2):89-94. http://dx.doi.org/10.1093/occmed/kqg046 

  7. Rogers AE. The effects of fatigue and sleepiness on nurse performance and patient safety. In: Hughes RG, editor. Patient safety and quality: An evidence-based handbook for nurses.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8. p. 509-545. 

  8. Harrison Y, Horne JA. The impact of sleep deprivation on decision making: A review.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Applied. 2000;6(3):236-249. http://psycnet.apa.org/doi/10.1037/1076-898X.6.3.236 

  9. National Coordinating Council for Medication Error Reporting and Prevention. About medication errors [Internet]. U.S: National Coordinating Council for Medication Error Reporting and Prevention; 2012 [cited 2012 May 16]. Available from: http://www.nccmerp.org/aboutMedErrors.html. 

  10. Dorrian J, Lamond N, van den Heuvel C, Pincombe J, Rogers AE, Dawson D. A pilot study of the safety implications of Australian nurses' sleep and work hours. Chronobiology International. 2006;23(6):1149-1163. 

  11. Lee KA, Landis C, Chasens ER, Dowling G, Merritt S, Parker KP, et al. Sleep and chronobiology: Recommendations for nursing education. Nursing Outlook. 2004;52(3):126-133. http://dx.doi.org/10.1016/j.outlook.2003.12.002 

  12. Suzuki K, Ohida T, Kaneita Y, Yokoyama E, Uchiyama M. Daytime sleepiness, sleep habits and occupational accidents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2(4):445-453.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5.03610.x 

  13. Chung MH, Chang FM, Yang CCH, Kuo TBJ, Hsu N. Sleep quality and morningness-eveningness of shift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9;18(2):279-284.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7.02160.x 

  14. Scott LD, Rogers AE, Hwang WT, Zhang Y. Effects of critical care nurses' work hours on vigilance and patients' safety.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06;15(1):30-37. 

  15. Polit DF. Data analysis & statistics for nursing research. New Jersey: Applenton & Lange; 1996. 

  16. Sack RL, Auckley D, Auger RR, Carskadon MA, Wright KP, Vitiello MV, et al. Circadian rhythm sleep disorders: Part I, basic principles, shift work and jet lag disorders. Sleep. 2007;30(11):1460-1483. 

  17. Morin CM. Insomnia: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New York: Guilford Press; 1993. 

  18. Morin CM, Belleville G, Belanger L, Ivers H. The Insomnia Severity Index: Psychometric indicators to detect insomnia cases and evaluate treatment response. Sleep. 2011;34(5):601-608. 

  19.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Internet]. Korea: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cited 2012 Jun 5].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20. Bin YS, Marshall NS, Glozier N. Secular trends in adult sleep duration: A systematic review. Sleep Medicine Reviews. 2012;16(3):223-230. http://dx.doi.org/10.1016/j.smrv.2011.07.003 

  21. Van Dongen HP, Vitellaro KM, Dinges DF. Individual differences in adult human sleep and wakefulness: Leitmotif for a research agenda. Sleep. 2005;28(4):479-496. 

  22. Lee JT, Lee KJ, Park JB, Lee KW, Jang KY. The relations between shiftwork and sleep disturbance in a university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2007;19(3):223-230. 

  23. Cho YW, Shin WC, Yun CH, Hong SB, Kim J, Earley CJ. Epidemiology of insomnia in Korean adults: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Journal of Clinical. 2009;5(1):20-23. http://dx.doi.org/10.3988/jcn.2009.5.1.20 

  24. Ohayon MM, Smolensky MH, Roth T. Consequences of shiftworking on sleep duration, sleepiness, and sleep attacks. Chronobiology International. 2010;27(3):575-589. http://dx.doi.org/10.3109/07420521003749956 

  25. Kim MS, Kim JR, Park KS, Kang YS, Choe MSP. Associations between sleep quality, daytime sleepiness, with perceived errors during nursing work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2013;38(4):229-242. http://dx.doi.org/10.5393/JAMCH.2013.38.4.229 

  26. Buysse DJ, Reynolds CF 3rd,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1989;28(2):193-213. http://dx.doi.org/10.1016/0165-1781(89)90047-4 

  27. Fallis WM, McMillan DE, Edwards MP. Napping during night shift: Practices,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f critical care and emergency department nurses. Critical Care Nurse. 2011;31(2):e1-11. http://dx.doi.org/10.4037/ccn2011710 

  28. Lee HK, Sohn KH. Safe medication management in hospital- emphasis on dispensing, and administration. Journal of Pharmacoepidemiology and Risk Management. 2009;2:14-25. 

  29. Smith MR, Fogg LF, Eastman CI. Practical interventions to promote circadian adaptation to permanent night shift work: Study 4. Journal of Biological Rhythms. 2009;24(2):161-172. http://dx.doi.org/10.1177/0748730409332068 

  30. Chang AM, Santhi N, St Hilaire M, Gronfier C, Bradstreet DS, Duffy JF, et al. Human responses to bright light of different durations. Journal of Physiology. 2012;590(Pt 13):3103-3112. http://dx.doi.org/10.1113/jphysiol.2011.2265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