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신성 당뇨병 산모를 위한 산후관리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자가 관리 및 혈당 조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Postnatal Care Program on Self-efficacy, Self-management, and Glycemic Control i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4 no.4, 2018년, pp.367 - 378  

전영경 (삼성서울병원) ,  김효진 (삼성서울병원) ,  양미연 (삼성서울병원) ,  정다영 (삼성서울병원) ,  윤금영 (삼성서울병원 간호파트) ,  노기옥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examine effects of a postnatal care program on self-efficacy, self-management, and glycemic control i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Sixty-two women with GDM were enrolled an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병 산모를 위한 산후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 후 임신성 당뇨병 산모의 자기효능감, 자가 관리 및 혈당 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임신성 당뇨병 산모를 위한 산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임신성 당뇨병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증가할 것이다.
  • 가설 2. 임신성 당뇨병 산모를 위한 산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임신성 당뇨병에 대한 자가 관리 수행정도가 증가할 것이다.
  • 가설 3. 임신성 당뇨병 산모를 위한 산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분만 후 정상 범위 내 75 g OGTT 검사수치 비율이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임신성 당뇨병의 발병률은?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 기간 동안 처음으로 발병하는 불안정한 당불내성(glucose intolerance)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임신 여성의 7%에서 발병하는 것[1]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임신 여성 중 2~5%에서 임신성 당뇨병이 발병된다고 보고되고 있고[2], 유병율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3].
임신성 당뇨병이란?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 기간 동안 처음으로 발병하는 불안정한 당불내성(glucose intolerance)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임신 여성의 7%에서 발병하는 것[1]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임신 여성 중 2~5%에서 임신성 당뇨병이 발병된다고 보고되고 있고[2], 유병율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3].
2017년 ADA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임신성 당뇨병 산모는 어떠한 관리가 필요한가? 임신성 당뇨병 산모는 산후 제2형 당뇨병을 예방하기 위해 여러 가지 관리가 요구된다. 2017년 ADA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임신성 당뇨병 진단을 받은 산후 산모는 체중관리, 영양관리, 운동, 모유수유, 혈당 검사 이행 등 자가 관리가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산욕기 산모들은 산후관리 필요 성에 대한 지식적 정보가 없고 이러한 노력이 향후 건강증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건강 신념이 없기 때문에 임신성 당뇨병에 대한 자가 관리가 비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unt KJ, Schuller KL.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diabetes in pregnancy. Obstetrics and Gynecology Clinics of North America. 2007;34(2):173-199. https://doi.org/10.1016/j.ogc.2007.03.002 

  2. Jang HC, Cho YM, Park KS, Kim SY, Lee HK, Kim MY, et al. Pregnancy outcome in Korea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diagnosed by the carpenter-coustan criteria. Journal of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04;28(2):122-130. 

  3. Ferrara A. Increasing prevalence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 public health perspective. Diabetes Care. 2007;30(2):141-146. https://doi.org/10.2337/dc07-s206 

  4.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Management of diabetes in pregnancy. Diabetes Care. 2017;40(Supplement 1):S114-S119. https://doi.org/10.2337/dc17-S016 

  5. Kim C, Newton KM, Knopp RH. Gestational diabetes and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Diabetes Care. 2002;25(10):1862-1868. 

  6. Shah BR, Lipscombe LL, Feig DS, Lowe JM. Missed opportunities for type 2 diabetes testing following gestational diabetes: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BJO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1;118(12):1484-1490. https://doi.org/10.1111/j.1471-0528.2011.03083.x 

  7. Cho GJ, An JJ, Choi SJ, Oh SY, Kwon HS, Hong SC, et al. Postpartum glucose testing rates following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nd factors affecting testing non-compliance from four tertiary cent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15;30(12):1841-1846. https://doi.org/10.3346/jkms.2015.30.12.1841 

  8. Lee SS, Park JS, Lee SY, Oh MA, Choi HJ, Song MY. The 2015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6. p. 201-204. 

  9. Lee SY. Prenatal and postnatal care and its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6;236:37-50. 

  10. Rosenstock IM.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Health Education Monographs. 1974;2(4):354-386. https://doi.org/10.1177/109019817400200405 

  11. Kim SS, Paek KS. Compliance with sick-role behavior and health beliefs according to the level of knowledge in diabetic patients. The Kyungpook University Medical Journal. 1991;32(4):523-533. 

  12. Kim C, McEwen LN, Piette JD, Goewey J, Ferrara A, Walker EA. Risk perception for diabetes among women with histories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2007;30(9):2281-2286. https://doi.org/10.2337/dc07-0618 

  13. Kaiser B, Jeannot E, Razurel C. Determinants of health behaviors after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 prospective cohort study in Geneva.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2016;61(5):1484-1490. https://doi.org/10.1111/jmwh.12486 

  14. Kaiser B, Razurel C. Determinants of postpartum physical activity, dietary habits and weight loss after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3;21(1):58-69. https://doi.org/10.1111/jonm.12006 

  15. Kaiser B, Razurel C, Jeannot E. Impact of health beliefs,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habits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after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study protocol.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2013;13:133. https://doi.org/10.1186/1471-2393-13-133 

  16. Bandura A, Walters RH. Social learning theory. New York, NY: General Learning Press; 1977. 46 p. 

  17. Paek KS. The development of a self-efficacy tool for diabetes millitus patient [dissertation].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997. 108 p. 

  18. O'Reilly SL. Prevention of diabetes after gestational diabetes: better translation of nutrition and lifestyle messages needed. Healthcare (Basel). 2014;2(4):468-491. https://doi.org/10.3390/healthcare2040468 

  19. Kim YO. A hypothesized model for self-care behavior in diabetic patients: Based on stress-coping model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97. 170 p. 

  20. Kim HS. Effects of an integrated self-management program on self-management, glycemic control, and maternal identity i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1. 158 p. 

  21. Horsager R, Roberts S, Rogers V, Santiago-Munoz P, Worley K, Hoffman B. Williams obstetrics study giude, 24th ed. New York, NY: McGraw-Hill Education; 2014. 448 p. 

  22. Kim YM, Kim MY, Kwon YK, Kim HS, Park SH, Chun MS, et al. Effects of a discharge education program using computerized animation video for post-operative colon cancer patients.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3;16 (1):37-46. https://doi.org/10.7587/kjrehn.2013.37 

  23. Jung MY, Hong IK, Noh HY, Park HS, Son JM, Kim JH, et al. Effects of video-based information provision on anxiety and education satisfaction of thyroid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o-iodine treatmen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5;21(1):11-20. https://doi.org/10.14371/QIH.2017.23.1.43 

  24. Fishman DJ. Telemedicine-bringing the specialist to the patient. Nursing management. 1997;28(7):30-32. 

  25. Kim YS, Kim HS, Kim YL. Effects of a web-based self-management program on the behavior and blood glucose levels of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Telemedicine Journal and e-Health: the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Telemedicine Association. Forthcoming 2018. https://doi.org/10.1089/tmj.2017.0332 

  26. Ko JM, Lee JK. Effects of a coaching program on comprehensive lifestyle modification for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6):672-681. https://doi.org/10.4040/jkan.2014.44.6.672 

  27. Baek ES, Park HJ. Effects of a case management program on self-efficacy, depression and anxiety in pregnant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2):88-98. https://doi.org/10.4069/kjwhn.2013.19.2.88 

  28. Fahima K, Lee Tae W, Ela R, Gulshanara B, Pronita R, Kim S. The relationships among postpartum fatigue, depressive mood, self-care agency, and self-care action of first-time mothers in Bangladesh.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8;24(1):49-57. https://doi.org/10.4069/kjwhn.2018.24.1.49 

  29. Ahn S. Postpartum Health: A comparison of mothers with preterm infants and mothers with full-term infa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2;8(1):7-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