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인증평가 전후 인증기준 준수율의 변화 : 대전지역 대학병원의 방사선사를 중심으로
Changes in Compliance Rates of Evaluation Criteria After Healthcare Accreditation: Mainly on Radiologic Technologists working at University Hospitals in Daejeon Area 원문보기

방사선기술과학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36 no.4, 2013년, pp.281 - 290  

고은주 (건양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이진용 (서울대학교 보라매병원 공공의료사업단) ,  배석환 (건양대학교 방사선학과) ,  김현주 (건양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의료기관인증 획득 당시와 인증획득 이후 인증기준 준수율이 얼마나 향상 또는 감소되었는지를 확인하고자 의료기관인증을 획득한 대전지역의 4개 대학병원에 종사하며 의료기관 인증평가를 경험한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의료기관인증평가 기준 틀을 재분류하여 환자안전, 직원 및 환경안전 영역에 대해 평가하였다. 환자안전(patient safety) 8문항, 직원안전(staff Safety) 5문항, 환경안전(environmental safety) 3문항으로 총 16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인증기준 준수율은 10점 척도로 인증평가 당시와 현재의 인증기준 준수율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인증기준 준수율은 인증평가 당시에 비해 2012년 12월 현재 평균적으로 환자안전, 직원 및 환경안전 영역 모두가 떨어졌다. 세부문항 16개 중에서 가장 많이 떨어진 문항은 환자안전 영역의 손위생이었다. 손위생은 개인의 노력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중요하지만 지속적인 교육과 관리 감독이 역시 중요하다. 따라서 의료기관들은 인증기준 준수의 필요성에 대해 지속적인 교육 시행과 적극적인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ssess whether the changes in compliance rates of evaluation criteria after healthcare accreditation among radiologic technologists working at four university hospitals which had acquired healthcare accreditation in Daejeon metropolitan area.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crit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의료기관인증제 역시 일회성 또는 단기간 성과를 위한 평가로 여기거나, 인증획득을 위한 재정적 투자 부재, 충족기준 마련을 위한 의료기관 종사자의 단기 인력 충원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14-15). 또한 의료기관이 인증 획득 후에는 인증규정 준수를 강제할 수 없으며 단지 년 1회 인증원에서 제시하는 문항에 대한 결과를 전산으로 보고하도록 하고 있다. 결국 의료기관과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노력 및 의료기관의 관리·감독 여하에 따라 의료기관별 인증규정 준수율은 상당히 차이가 날 것으로 예상되나 현재로서는 이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 이 연구는 대전지역 4개 대학병원에 종사하며 의료기관 인증평가를 경험한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의료기관 인증평가 전후 인증기준에 대한 준수율이 향상 또는 감소되었는지를 살펴보고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방사선사는 의사나 간호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노출이 적은 검사실 내에 근무하여 의료기관에서 감시 및 규제가 쉽지 않아 개인의 노력여하에 따라 인증기준 준수율의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 이 연구는 인증을 획득한 4개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환자안전, 직원안전, 환경안전 영역의 인증기준 준수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세 영역의 거의 모든 문항에서 인증기준 준수율이 인증평가 당시에 비해 떨어졌다.
  • 이에 이 연구는 대전지역에서 의료기관인증평가에서 인증을 획득한 4개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인증평가 전후의 인증기준 준수율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의사나 간호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폐쇄된 공간에서 근무하여 의료기관의 관리·감독이 소홀할 수 있고, 개인의 의지에 따라 인증기준 준수율 차이가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인증기준 중 가장 필수적이고 중요한 안전보장활동(환자안전, 직원안전, 환경안전) 관련 문항에 대한 인증기준 준수율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특히 의사나 간호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폐쇄된 공간에서 근무하여 의료기관의 관리·감독이 소홀할 수 있고, 개인의 의지에 따라 인증기준 준수율 차이가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인증기준 중 가장 필수적이고 중요한 안전보장활동(환자안전, 직원안전, 환경안전) 관련 문항에 대한 인증기준 준수율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기관평가제도에 대해 어떠한 비판이 제기되었는가? 의료기관인증제 이전에는 의료기관평가제도(1995-2008년)를 시행하여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는데 첫째, 의료의‘질’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둘째, 의료기관에서 실질적인 질 향상을 유도하는 촉매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셋째, 질 향상 문화 형성의 단초를 제공하였다2). 하지만 평가결과가 병원의 서열화를 조장하고 병원들 간의 과도한 경쟁을 유발하는 등 의료기관의 외형적 서비스만을 평가하여 투자여력이 있는 일부 대형병원에만 유리 하게 작용 하였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3-11).
의료기관인증제란? 의료기관인증제는 의료기관이 환자안전과 의료서비스의질 향상을 위해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을 하도록 하여 국민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제도이다1).의료기관인증제 이전에는 의료기관평가제도(1995-2008년)를 시행하여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는데 첫째, 의료의‘질’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둘째, 의료기관에서 실질적인 질 향상을 유도하는 촉매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셋째, 질 향상 문화 형성의 단초를 제공하였다2).
의료기관평가제도의 3가지 성과는 무엇인가? 의료기관인증제는 의료기관이 환자안전과 의료서비스의질 향상을 위해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을 하도록 하여 국민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제도이다1).의료기관인증제 이전에는 의료기관평가제도(1995-2008년)를 시행하여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는데 첫째, 의료의‘질’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둘째, 의료기관에서 실질적인 질 향상을 유도하는 촉매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셋째, 질 향상 문화 형성의 단초를 제공하였다2). 하지만 평가결과가 병원의 서열화를 조장하고 병원들 간의 과도한 경쟁을 유발하는 등 의료기관의 외형적 서비스만을 평가하여 투자여력이 있는 일부 대형병원에만 유리 하게 작용 하였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3-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orean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Accessed October 12, 2013. Available at: https://www.koiha.or.kr/home/system/system.jsp 

  2. Yoon Kim: The study of the long-term development for Hospital Evaluation Program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 170-220, 2005 

  3. Shinho Lee: Background of Hospital Quality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1(2), 2-10, 1994 

  4. Eunkyong Kim, Minah Kang, Yoon Kim , Jaehyun Park, Jonghyock Park: Opinions and Strategies on the National Hospital Evaluation Program. J Korean Acad Nurs Admin, 13(1), 40-52, 2007 

  5. Su-Kyeong Kim: The recent trends in Healthcare Organizations Accredit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Client-Centered and Performance Measurement Approach in Accredit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2(1), 136-143, 1995 

  6. Sun-Hee Le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National Hospital Evaluation Program 2004. Journal of th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9, 32-43, 2005 

  7. Hyeon, Seok-Gyu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Hospital Evaluation Program Standard and Guidelines 2004. Journal of th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9, 44-50, 2005 

  8. Woo Hyun Cho et al: The Study of the Hospital Evaluation Program and 2nd Policy System Evaluation. Korean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6 

  9. Hae-Ran Lee, MD.: The role of th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in Korea's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J Korean Med Assoc, 55(1), 23-30, 2012 

  10. Sun Mi Lee, Jee Yoon Kim, Woo Hyun Cho: Opinions on the National Hospital Accreditation Program 2007.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14(2), 89-100. 2008 

  11. Younghee Sung: The Review of 2nd Hospital Evalua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14(1), 3-4, 2008 

  12. Kyu-sik Lee: Goals and Assignments of Healthcare Accreditation Program in Korea, J Korean Med Assoc, 55(1), 7-16, 2012 

  13. Korean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Status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in Korea. Accessed October 12, 2013. Available at: https://www.koiha.or.kr/certification/doList.act 

  14. Kyeongsuk Kim: The Hospital Evaluation Programme promote achievement, progress, challenges, Division of Policy Development in Korean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 J Korean Aced of Social & Managed Care Pharmacy Assoc, 31-33, 2011 

  15. Seunghan Seok: Improvement Plans of Accreditation Program for Healthcare Organizations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 39-47, 2013 

  1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Guidelines for Accreditation Program, Korean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0, 2013 

  17.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Revised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electronic medical equipment administrative notice(201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