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례기반 손위생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손위생 지식, 인식, 이행률 및 방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Scenario based Hand Hygiene Education Program on Hand Hygiene Knowledge, Hand Hygiene Perception, Hand Hygiene Compliance and Hand Hygiene Method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3 no.2, 2016년, pp.194 - 203  

황은숙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  박진희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 of a scenario based hand hygiene education program on hand hygiene knowledge, hand hygiene perception, hand hygiene compliance and hand hygiene method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quasi-experimen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4주 이상 손위생 교육 효과를 직접 관찰 방법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행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례기반 손위생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손위생 지식, 인식, 이행률 및 방법에 미치는 효과를 4주 동안 직접 관찰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제 1 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손위생 관련 지식 정도가 높을 것이다.
  • · 제 2 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손위생 관련 인식 정도가 높을 것이다.
  • · 제 3 가설 : 시점에 따른 손위생 이행률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 · 제 4 가설 : 시점에 따른 손위생 방법의 정확성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관련감염이 야기하는 문제는? 의료관련감염은 환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주요 문제로서 환자의 회복 지연, 재원 일수의 증가, 항생제 내성 균주의 전파 등으로 의료의 질을 저하시키고 환자 안전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1]. 의료관련감염은 미생물의 직접적인 전파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환자와 접촉하는 의료인의 손이 교차감염의 중요한 원인이 되며, 이러한 교차감염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올바른 손위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2].
올바른 손위생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는? 의료관련감염은 환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주요 문제로서 환자의 회복 지연, 재원 일수의 증가, 항생제 내성 균주의 전파 등으로 의료의 질을 저하시키고 환자 안전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1]. 의료관련감염은 미생물의 직접적인 전파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환자와 접촉하는 의료인의 손이 교차감염의 중요한 원인이 되며, 이러한 교차감염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올바른 손위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2].
간호 학생들의 손위생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증진시키고 손위생 이행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0%으로 보고되었다[6,7]. 간호학생들은 병원 임상실습 중 환자와 직접 접촉하면서 학생 자신의 손이 미생물 전파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인뿐만 아니라 환자의 안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손위생에 대한 지식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어떠한 상황에서 손위생을 시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단이 미숙하며 능숙한 손위생 방법이 훈련되어 있지 않는 경향이 있다[8-10]. 그러므로 병원 임상 실습 참여 전에 간호 학생들의 손위생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증진시키고 손위생 이행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1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uidelines on hand hygiene in health care: first global patient safety challenge clean care is safer car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2. Pittet D, Hugonnet S, Harbarth S, Mourouga P, Sauvan V, Touveneau S, et al. Effectiveness of a hospital-wide programme to improve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Lancet. 2000; 356(9238):1307-1312. http://dx.doi.org/10.1016/s0140-6736(00)02814-2 

  3. Allegranzi B, Sax H, Bengaly L, Riebet H, Minta DK, Chraiti MN, et al.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hand hygiene improvement strategy in a referral hospital in Mali, Africa.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010;31(2):133-141. http://dx.doi.org/10.1086/649796 

  4. Sax H, Uckay I, Richet H, Allegranzi B, Pittet D. Determinants of good adherence to hand hygiene among healthcare workers who have extensive exposure to hand hygiene campaigns.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007;28(11):1267-1274. http://dx.doi.org/10.1086/521663 

  5.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Healthcare Accreditation Evaluation Standard [Interne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4 [cited 2014 December 18]. Available from: http://www.koiha.kr/member/kr/board/establish/establish_BoardList.do. 

  6. Park JH, Kim HS. The effect of the hand hygiene education program on hand hygiene knowledge, hand hygiene perception, nasal staphylococcus aureus colonization and hand hygiene adher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2;14(3):156-165. http://dx.doi.org/10.7586/jkbns.2012.14.3.156 

  7. Yoon EJ, Kim MH. Knowledge and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by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 19(3):455-464.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3.455 

  8. Ko IS, Kang KS, Song IJ, Park JH, Youk SY. Attitudes toward, and practice of hand washing by student nurses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2;9(2):165-179. 

  9. Barrett R, Randle J. Hand hygiene practices: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8; 17(14):1851-1857.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7.02215.x 

  10. Kelcikova S, Skodova Z, Straka S. Effectiveness of hand hygiene education in a basic nursing school curricula. Public Health Nursing. 2012;29(2):152-159. http://dx.doi.org/10.1111/j.1525-1446.2011.00985.x 

  11. Cole M. Exploring the hand hygiene competence of student nurses: a case of flawed self assessment. Nurse Education Today. 2009;29(4):380-388. http://dx.doi.org/10.1016/j.nedt.2008.10.010 

  12. Kim NC, Choi KO. Effects on nurses' hand washing behavior and reduction of respiratory isolation rate of MRSA of the hand washing educa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2;14(1):26-33. 

  13. Kim SH. The effect of an educational hand hygiene program on the hand hygiene compliance and method of ICU nurses's hand hygiene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9. p. 1-39 

  14. Lee SE, Kim MJ, Sohn JW, Chun BC. Hand-washing practices followed by health care workers in a tertiary care hospital depending on their carriage status for nasally transmit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11;16(1):18-28. 

  15. Kim KM, Kim OS, Jeon MY. Knowledge and compliance level of the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2;14(1): 8-15. http://dx.doi.org/10.7586/jkbns.2012.14.1.8 

  16. Park BG, Lee MK. Nasal carriag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mong healthcare workers and community students in 1997 and 2006.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07;12(2):85-90. 

  17. Choi SI, Yoon JW.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hand washing.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08;13(2):97-104. 

  18. Han MJ. Effect of an educational hand washing program on the hand washing compliance [master's thesis]. Seoul: Dankook University; 2003. p. 1-50 

  19.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 for hand hygiene in health-care settings: recommendations of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and the HICPAC/SHEA/APIC/IDSA hand hygiene task force. [Internet]. Atlant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2 [cited 2014 December 18]. Available from: http://www.cdc.gov//mmwr/pdf/rr/rr5116.pdf. 

  20. Kim GR. Effects of hand washing education of primary school childre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2015; 1(1):1-23. 

  21. Michaelsen LK, Parmelee DX, McMahon KK, Levine RE. Team-based learning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guide to using small groups for improving learning: Sterling, VA: Stylus Publishing, LLC; 2007. 

  22. Landis JR, Koch GG.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1977;33(1): 159-174. http://dx.doi.org/10.2307/2529310 

  23. Choi EH, Jang IS, Choi JY. The effect of an educational hand washing program on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of hand washing in undergraduates.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4;27(1):39-49. 

  24. Ryu SM.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on the hand washing of health care related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8):3916-3924. http://dx.doi.org/10.5762/kais.2013.14.8.3916 

  25. Waltman PA, Schenk LK, Martin TM, Walker J. Effects of student participation in hand hygiene monitoring on knowledge and perception of infection control practic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1;50(4):216-221. http://dx.doi.org/10.3928/01484834-20110228-06 

  26. Snow M, White GL, Alder SC, Stanford JB. Mentor's hand hygiene practices influence student's hand hygiene rate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06;34(1):18-24. http://dx.doi.org/10.1016/j.ajic.2005.05.009 

  27. Lim OB. Effect of education and feedback on the frequency and quality of hand hygiene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of Ulsan; 2004. p. 1-43. 

  28. Scheithauer S, Eitner F, Mankartz J, Haefner H, Nowicki K, Floege J, et al. Improving hand hygiene compliance rates in the haemodialysis setting: more than just more hand rubs.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2012;27(2):766-770. http://dx.doi.org/10.1093/ndt/gfr36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