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간호사의 근무지에서 무례함, 소진, 조직몰입과의 경로분석 연구
Path Analysis for Workplace Incivility, Empowerment,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9 no.5, 2013년, pp.555 - 564  

김세영 (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김종경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  박광옥 (국립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urses' experience of workplace incivility from coworkers, supervisors, patients or patients' families, and doctors. The researcher identified the relationships among empowerment,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nurses. Method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McNamara (2012)는 간호 조직에서 발생하는 무례함 경험을 파악하고 개선하는 노력은 간호사들을 더욱 임파워먼트 시키고, 간호사들 자신이나 동료, 환자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근무지에서 경험하는 무례함을 조사하고, 임파워먼트, 소진, 조직몰입 등 관련요인을 파악하는 경로분석을 시행하여, 간호조직에서 존중하는 건강한 간호조직 문화의 창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의 개념틀은 Spence Laschinger 등(2009), Leiter 등(2010), Smith 등(2010)의 무례함, 임파워먼트, 소진, 조직몰입의 연구들에 기초하여 간호사들이 근무지에서 경험하는 무례함과 임파워먼트가 소진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준다는 가정으로 경로를 설정하였으며, Kanter (1979)의 임파워먼트 모형에서 조직의 공식적, 비공식적 체계 즉 조직의 특성이 구성원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주고, 임파워먼트가 조직 구성원의 업무태도나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배경으로 참고하였다(Park, Park, Yom, & Kim, 2006), 그리고 간호사의 조직몰입 선행요인으로 연령, 근무경력, 결혼, 지위, 교대여부 등의 개인적 특성과 직무 스트레스의 특성 및 소진이 직 ‧ 간접으로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들을 종합하여서(Ko & Yom, 2003; Liou & Grobe, 2008) 이들 간에 직접적인 경로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례함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근무지에서 직원들이 경험하는 무례함은 상사와 동료를 포함한 모든 대인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Cortina, Magley, Williams, & Langhout, 2001), 업무와 관련된 대인관계에서 무례함이 반복되면 갈등과 폭력으로 확대될 수 있다. 무례함의 모호성과 낮은 강도 때문에 조직에서 무례함은 폭력이나 약자 괴롭힘에 비해 상대적으로 과소평가될 수 있으나, 무례함은 피해자들에게 오해나 과민반응을 일으킬 수 있고(Andersson & Pearson, 1999), 직원들의 건강과 업무성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Cortina et al., 2001).
병원간호사가 근무지에서 경험하는 무례함은 어떤 대상으로부터의 무례함이 더 높게 나타났는가? 본 연구에서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사가 근무지에서 경험하는 무례함은 의사나 환자와 환자 가족으로 부터 받는 무례함이 상대적으로 동료나 상사 간호사로 부터 받는 무례함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에 병동에서 의사와 같이 업무에 협조하는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며, 간호하는 환자와 환자가족들로 부터 무례함 경험의 빈도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병동 분위기 또한 필요하다.
무례함이란 무엇인가? 최근 간호사들이 근무지에서 경험하는 무례함(incivility), 폭력(violence)과 약자 괴롭힘(bullying)의 심각성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Ceravolo, Schwartz, Foltz-Ramos, & Castner, 2012; Guidroz, Burnfield, Clark, Schwetschenau, & Jex, 2007; Kwon, Kim, Choe, Lee, & Sung, 2007). 특히 무례함은 대상을 해치려는 의도가 모호한, 그리고 상호 존중해야 하는 근무지의 규범을 위반하는 낮은 강도의 일탈된 행동이며, 타인에 대한 존중이 부족함을 드러내는 무례한 행동을 말한다(Andersson & Pearson, 1999). 근무지에서 직원들이 경험하는 무례함은 상사와 동료를 포함한 모든 대인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Cortina, Magley, Williams, & Langhout, 2001), 업무와 관련된 대인관계에서 무례함이 반복되면 갈등과 폭력으로 확대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derson, L. M., & Pearson, C. M. (1999). Tit for tat? The spiraling effect of incivility in the workplace.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4, 452-471. http://dx.doi.org/10.5465/ AMR.1999.2202131 

  2. Boychuk Duchscher, J. E., & Cowin, L. (2004). Multigenerational nurses in the workplac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4, 493-501. http://dx.doi.org/10.1097/00005110-2004110 00-00005 

  3. Ceravolo, D. J., Schwartz, D. G., Foltz-Ramos, K. M., & Castner, J. (2012). Strengthening communication to overcome lateral violenc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 599-606.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2.01402.x. 

  4. Cortina, L. M., Magley, V. J., Williams, J. H., & Langhout, R. D. (2001). Incivility in the workplace: Incidence and impact.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6, 64-80. http:// dx.doi.org/10.1037/1076-8998.6.1.64 

  5. Dion, M. J. (2006). The impact of workplace incivility and occupational stres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acute care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onnecticut, Connecticut. 

  6. Gopalkrishnam, P. (2011). Workplace incivility and employee strain reactions: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insecur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 Bowling Green, OH, U.S.A. 

  7. Guidroz, A. M., Burnfield, J. L., Clark, O., Schwetschenau, H. M., & Jex, S. M. (2007). The nursing incivility scale: Development of an occupation-specific incivility measure. Paper presented at the 22nd Annual Conference of the Society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New York City, U.S.A. 

  8. Han, S. J.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9. Hong, G. P. (1984). (An) Analytic study on burnout in relation with personal and job related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0. Hutton, S., & Gates, D. (2008). Workplace incivility and productivity losses among direct care staff. American Association Health Nurses Journal, 56, 168-175. 

  11. Jeong, H. J. (1998).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2. Kanter, R. M. (1979). Power failure in management circuits. Harvard Business Review, 57, 65-75. 

  13. Kim, M. J. (2006). Relationship among spiritual well-being, work stress and burnout of nurses in oncology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Pusan, Korea. 

  14. Ko, J. W., & Yom, Y. H. (2003).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265-274. 

  15. Kwon, H. J., Kim, H. S., Choe, K. S., Lee, K. S., & Sung, Y. H. (2007). A study on verbal abuse experienced at medical centers. Clinical Nursing Research, 13, 113-124. 

  16. Leiter, M. P., Price, S. L., & Spence Laschinger, H. K. (2010). Generational differences in distress, attitudes and incivility among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8, 970- 980.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0.01168.x 

  17. Liou, S. R., & Grobe, S. J. (2008). Perception of practice environ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to leave among Asian nurses working in U.S. hospitals. Journal for Nurses in Staff Development, 24, 276-282. http://dx.doi. org/10.1097/01.NND.0000342235.12871.ba 

  18. Malakh-Pines, A., Aronson, E., & Kafry, D. (1981). Burnout: From tedium to personal growth. New York, NY: Free Press. 

  19. McKenna, B. G., Smith, N. A., Poole, S. J., & Coverdale, J. H. (2003). Horizontal violence: Experiences of registered nurses in their first year of practi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2, 90-96. http://dx.doi.org/10.1891/1078-4535.17.2.80. 

  20. McNamara, S. A. (2012). Incivility in nursing: Unsafe nurse, unsafe patients. AORN Journal, 95, 535-540. http://dx.doi. org/10.1016/j.aorn.2012.01.020. 

  21. Meyer, J. P., Allen, N. J., & Smith, C. A. (1993). Commitment to organizations and occupations: Extension and test of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8, 538-551. http://dx.doi.org/10.1177/10384 11110378957 

  22. Miller, L., Ressor, K., McCarrey, M., & Leikin, L. (1995). Nursing burnout. Employee Assistance Quarterly, 10, 29-52. http:// dx.doi.org/10.1300/J022v10n04_03 

  23. Oore, D. G., Leblanc, D., Day, A., Leiter, M. P., Spence Laschinger, H. K., Price, S. L., et al. (2010). When respect deteriorates: Incivility as a moderator of the stressor-strain relationship among hospital worker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8, 878-888. http://dx.doi.org/10.1111/j.1365- 2834.2010.01139.x 

  24. Park, H. H., Park, K. S., Yom, Y. H., & Kim, K. H. (2006). Impact of clinical nurses' power and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244-254. 

  25. Smith, L. M., Andrusysayn, M. A., & Spence Laschinger, H. K. (2010). Effects of workplace incivility and empowerment on newly-graduated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8, 1004-1015. http://dx. doi.org/10.1111/j.1365-2834.2010.01165.x 

  26. Spence Laschinger, H. K., Finegan, J., & Wiil, P. (2009). New graduate burnout: The impact of professional practice environment, workplace civility, and empowerment. Nursing Economics, 27, 377-383. http://dx.doi.org/10.1111/j.1365-2834. 2009.01046.x 

  27. Spreitzer, G. M. (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Academy of Management, 3, 1442-1465. http://dx.doi.org/ 10.2307/2568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