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간호사가 경험하는 무례함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Effect of Incivility Experienced by Clinical Nurses on Job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3 no.1, 2017년, pp.8 - 17  

김송이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  윤숙희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incivility experienced by clinical nurses on their job stress, an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incivility. Methods: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일반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감소되는 것[13]과 같이 자기효능감이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며, 진로장벽, 취업지원 프로그램과 스트레스 관계에서는 조절요인으로써 유의한 작용을 한다[15]는 연구 보고도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 스트레스 요인과 수준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도 나타나[8] 본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에 대한 반복연구를 함으로써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에 대해 더욱 명확히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간호사가 경험한 무례함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직무 스트레스와 무례함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며,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에서 근무를 하는 것이 타 업종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다고 볼 수 있는 이유는? 병원은 환자에게 진료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의사, 간호사, 약사 등 전문직종이 모여 협력하는 곳으로 병원 근무자들은 업무 특성상 환자를 대하거나 직원 간 업무 소통 시 실수가 없도록 해야 하여 타 업종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가장 일선에서 환자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위해 타 의료종사자들과의 접촉도 많은 간호사의 스트레스는 더욱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무례함이란?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최근 국내에서는 아직 생소하지만 국외에서는 무례함이란 변수에 대해 연구를 하고 있다. 무례함이란 대상을 해치려는 의도가 모호한, 상호 존중해야 하는 근무지의 규범을 위반하는 낮은 강도의 일탈된 행동이며, 타인에 대한 존중이 부족함을 드러내는 무례한 행동이다[6]. 무례함을 연구한 국외 연구에서 Hutton [7]은 보건의료기관에서 무례함은 만연된 문제라고 주장하였다.
전문직에서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의 상관관계는 어떻게 되는가? 자기효능감은 자신이 성과를 나타내도록 하는데 필요한 행동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다는 믿음이나 판단으로, 주어진 과제나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 할 수 있다는 개인의 가능성에 대한 신념이며[12], 즉 인간의 내적 소인으로 볼 수 있다. 임상간호사의 경우 직무에 대한 부담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증상정도가 높아지는 반면, 전문직으로서의 효능감이 높은 경우 스트레스 증상 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는 자기효능감이 높은 경우 스트레스에 대한 불안, 긴장 등의 정서적 측면에 대한 개인이 가지는 통제감이 높아져 정서적 스트레스 정도를 감소시키는 완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SE. Environment and nursing(II). Occupational health care in hospital. TaehanKanho. 1992;31:22-25. 

  2. Lee DS. A study of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to measure job stress in Korea. [dissertation]. Gangwon-do Province: Hallym University; 1999. p. 1-99. 

  3. Lee SW Job Stress in Nursing: a study of staff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TaehanKanho. 1984;23(2):25-29. 

  4. Kim YJ. Comparative study on the stress response of nurses working on psychiatric wards to that of nurses working on general 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5; 25(3):399-418. 

  5. Bong YS, So HS, You H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3):425-433. 

  6. Anderson LM, Pearson CM. Tit for tat? The spiraling effect of incivility in the workplace.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99;24(3):452-471. https://doi.org/10.5465/amr.1999.2202131 

  7. Hutton SA. Workplace incivility: State of the scienc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36(1):22-28. 

  8. Dion MJ. The impact of workplace incivility and occupational stres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acute care nurses. Doctoral Dissertations; 2006. AAI3221535. http://digitalcommons.uconn.edu/dissertations/AAI3221535 

  9. Lim S, Cortina LM, Magley VJ. Personal and workgroup incivility: Impact on work and health outcom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008;93(1):95-107. https://doi.org/10.1037/0021-9010.93.1.95 

  10. Judge TA, Bono JE. Relationship of core self-evaluations traits - self esteem, generalized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emotional stability - with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001;86(1):80-92. 

  11. Kwon HJ. The medical institution within the nurses face verbal abuse. The Korean Nurse. 2007;46(1):34-39. 

  12. Bandura A.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77 

  13. Han KS, Kim NS, Kim JH, Lee KM. Influencing factors on symptoms of stress among hospital staff nurses. Journal of Korean Nurses Academic of Nursing. 2004;34:1307-1314. 

  14. Cheon MB, Lee JG. A study on the factors of job seeking stress for graduand in Korean: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self-efficacy. International? Business Research. 2013;52:191-214. 

  15. Lee YO.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ors and occupational stress level of the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University; 2006. p. 1-77. 

  16. Guidroz, AM, Burnfield-Geimer JL, Clark O, Schwetschenau HM, Jex SM. The nursing incivility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occupation- specific measure. Journal of Nursing. 2010;18(3):176-200. https://doi.org/10.1891/1061-3749.18.3.176 

  17. Kim SY, Kim JK, Park GO. Path analysis for workplace incivility, empowerment,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5):555-564. ISSN 1225-9330 (Print) ISSN 2288-4955(Online)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5.555 

  18. Sherer M, Maddux J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Rogers RW.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1982;51:663-671.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19. Jung AS. (A) Study to survey the nurses for their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in general hospital nurse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7. p. 1-60. 

  20. Yoo MO. Influences of verbal abuse 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master's thesis]. Chungju: Chungju National University; 2012. p. 1-63. 

  21.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6):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2. Ko YK. The level of stress of dimensional job stress of hospital nursing staff.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09;17(3): 227-236. 

  23. Son YJ, Yoon MS. Trait anger,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status of female nurses and teachers in Korea.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05;13(1):35-40. 

  24. Ko HM, Gwak SY, Chang K. A study on satisfaction, job stress, burnout,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productivity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2015;17(4):181-192. https://doi.org/10.12812/ksms.2015.17.4.181 

  25. Park EK, Na YK. A study on verbal abuse experience, sexual harassment damage and self-esteem of operating room nurses. Korean Journal of Scientific Criminal Investigation. 2015;9(4): 266-274. https://doi.org/10.20297/jsci.2015.9.4.266 

  26. Hutton S, Gates D. Workplace incivility and productivity losses among direct care staff. AAOHN Journal. 2008;56(4):168-175. https://doi.org/10.3928/08910162-20080401-01 

  27. Duchscher JE, Cowin LS. The experience of marginalization in new nursing graduates. Nursing Outlook. 2004 Nov-Dec;52 (6):289-296. https://doi.org/10.1016/j.outlook.2004.06.007 

  28. Lee EH, Chang SJ, Kim HO, Roh JH, Park EJ, Won JU.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of registered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7;19(2):93-104. 

  29. Kang HI. A study of occupational satisfaction, stress and customer orientation of Upper-scale general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0;19:268-277. 

  30. Goo HS.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youth.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2013;45:83-1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