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 미각교육을 위한 쌀 Kit 개발 및 이를 활용한 미각 특성조사
The Development of a Taste Kit for Education and Research into Sensory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8 no.6, 2013년, pp.585 - 593  

김미혜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및 기초과학 연구소) ,  정혜경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및 기초과학 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taste sensitivity and the five basic senses by an educational classification instrument. The instrument was a rice kit that could use samples in a dry powder form or oil extract after long-term storage To test for taste, sucrose, salt, citric acid, and quinine sul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기에 필요한 교구는 투명컵, 탁도 조절분말인 카제인나트륨, 빨강, 초록, 파랑 삼색의 식판이었다. 2단계는 녹말-요오드 반응과 산-염기 구분을 통하여 식재료와 시약의 과학적인 반응에 따른 음식의 색깔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필요한 교구는 전분가루, 소금, 쌀가루, 컵, 스포이드, 요오드, 투명컵, 소다, 식초, 지시약 (BTB), 스포이드이다.
  • 본 연구는 오감을 활용한 식생활 교육의 일환으로 초등학교 아동의 미각을 객관적인 지표로 판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아동들의 미각 감수성과 오감 인지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오감을 활용한 식생활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는 식생활 교육용 현장 체험도구로서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오감을 활용한 식생활 교육의 일환으로 초등학교 아동의 미각을 객관적인 지표로 판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아동들의 미각 감수성과 오감 인지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오감을 활용한 식생활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는 식생활 교육용 현장 체험도구로서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미각의 오감을 객관적으로 판정할 수 있는 쌀 Kit 개발하여 이를 활용하여 아동들의 미각 감수성과 오감 인지력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각은 어떠한 요소인가? 식품과 맛에 대한 기호는 경험이며, 식품의 선택은 개인의 경험과 주변 환경으로부터 학습되어진 행동이다(Kim 2012). 미각은 어린 시절에 결정되어 평생의 입맛을 좌우하고 식습관을 결정하게 하는 핵심 요소이다. 따라서 아동기 미각교육은 일생동안 경험할 미각과 식생활 태도에 관여하여 개인의 식습관 형성과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인간의 미각은 어떠한 기준이 되는가? 인간의 미각은 좋은 식품을 인지하고 건강한 식습관을 실천하게 하는 기준이 된다. 식품과 맛에 대한 기호는 경험이며, 식품의 선택은 개인의 경험과 주변 환경으로부터 학습되어진 행동이다(Kim 2012).
아동들의 미각교육을 위해서 5가지 기초감각 인지력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미각의 인지는 식품 내에 들어있는 수용성 화학물질에 의한 미뢰의 자극 외에도 후각, 구강내의 기계적 수용기에 의한 감각, 통각 신경섬유에 의한 감각과 심리적 상태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매우 복잡한 다류성 감각이라고 할 수 있다(성 & 김 1996). 듣거나, 만지거나, 냄새 맡거나, 맛보거나 하는 정보를 쉬지 않고 뇌에 전달하여 외부로터의 감각인 맛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아동들의 미각교육을 위해서 시각, 미각, 청각, 후각, 촉각 등 5가지 기초감각 인지력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성호경, 김기환. 1996. 생리학 56판. 의학문화사, 서울. pp 614­-626 

  2. Bertino M, Beauchamp GK, Engelman K. 1982. Long-term reduction in dietary sodium alters the taste of salt. Arn J Clin Nutr. 36:1134-1144 

  3. Cho EY. 2011. A study on learning factors and self-accomplishment of culinary tastes sense education. Masters degree thesis. Kyonggi University. pp 9-79 

  4. Choi JK, Hur YK. 2004. Taste Detection Thresholds in Burning Mouth Syndrom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medicine, 29(2):127-133 

  5. Chung KA. 2013. The Review of the Researches on the Nutritional Education State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Society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Korea, 19(1):117-145 

  6. Chung YJ, Han JI. 2002. Relationship of Food Preference and Body Size in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Boys in Daeje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1(2):315-321 

  7. Fukunaga A, Uematsu H, Sugimoto K. 2005. Influence of aging on taste perception and oral somatic sensation. J Gerontol Med Sci, 60A(1):109-113 

  8. Guyton AC, Hall JE. 1996.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9th ed. Philadelphia. W.B. Sanuders Co.. pp 676-677 

  9. Hong JH, Oh JK, Kho JS. 2001. A case report on the Taste Threshod Tests in Two Patients with Taste Disorder.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medicine, 26(2):127­131 

  10. Kim HH, Jung YY, Lee YK. 2012. A Comparison of Salty Taste Assessments and Dietary Attitudes and Dietary Behaviors Associated with High-Salt Diets in Four Regions in Kore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7(1):38-48 

  11. Kim HJ. 2012.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Exploring the New Possibility of Dietary Education for School Children - Focusing on Sensory Education. J.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6(2):59-82 

  12. Kim SH Jang SY, Choi JK. 2003. Taste Preference and Whole-mouth Taste Threshold in a Korean Population in the Age of the 3rd Decad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medicine, 28(4):413-426 

  13. Kim SH, Hur YK, Choi JK. 2005. Suprathreshold Taste Intensities for Sucrose, NaCl, Citric Acid, and Quinine HCl in Young Koreans and the Influence of Sex, Taste Preference, and Smok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medicine, 30(2):149-162 

  14. Kim YK. 2010. Parent's Behavior and Perception of Their Kids' Snacking Behavior and Dietary Life Education.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26(5):596-602 

  15. Laurent JA, de Matteis L, Hofstetter JR, Schutz Y. 1994. Are food preferences affected by body mass index, age, sex or tobacco?. Schweiz Med Wochenschr, 23:2039-2041 

  16. Lee JE, Jung IK. 2005. A Study on Eating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erception on the Nutrition Education in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 Education, 17(2):79-93 

  17. Lee SY. 2011. A Study of the Meal Quality and Diet Habits in Primary School Students in Some Chungnam Area. Masters degree thesis. Kongju University. p 9 

  18. Lee YA. 2007. Teaching plans of expressive activities through aesthetic experiences by The five senses. Masters degree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 32 

  19. Lee YH, Tae IH, Ko MY, Ahn YW. 2008. Evaluation of Taste in The Patients with Oral Mucosal Disease by Electrogustomter.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medicine, 33(2):133-145 

  20. Lee YM. 2005.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discre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 focused on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in 4th-, 5th- and 6th-grade students. Masters degree thesis. Yonsei University. pp 2-80 

  21. Mojet J, Christ-Hazelhof E, Heidema J. 2001. Taste perception with age: Generic of specific losses in threshold sensitivity to the five basic tastes. Chem Senses, 26:28-34 

  22. Mustonen S, Rantannen R, Tuorila H. 2009. Effect of sensory of education on school children's food perception: a 2-year follow-up study. food Qual Prefer. 20(3):230-240 

  23. Reverdy C, Chesnel F, Schlich P, Koster EP, Lange C. 2008. Effect of sensory education on willingness to taste novel food in children. Appetite, 51(1):156-165 

  24. Sato M. 2009. Introduction of sensory education in nutrition education. Monthly Nutr Edu. 101:10-28 

  25. Sim YM. 2011. Effects of a Gymnastics Program for Obesity Preven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besity and Physical Strength. Masters degree thesis.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p 8 

  26. Uchisaka Y. 2007. Sensory education in calss. Tokyo, Japan:Godi -Shuppan pp 64-73 

  27. West JB. 1985. Best & Taylors physiological basis of medical practice. 11th ed. Baltimore. Williams&Wilkins. p 1119 

  28. Yamauchi Y, Endo S, Sakai F, Yoshimura I. 2002. A new whole-mouth gustatory test procedure. I. Thresholds and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in healthy men and women. Acta Otolaryngol suppl, 546(1):39-48 

  29. Yoon SC, Hur YK, Choi JK. 2007. Suprathreshold Taste Intensities for Salt, Sucrose, Citric Acid, and Quinine HCl in Elderly Korean Wome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medicine, 32(4):383-3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