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게재 논문의 연구동향: 최근 10년간(2009. 3~2018. 12)을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of Articles in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during the Last Decade (2009. 3~2018. 12)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1 no.2, 2019년, pp.95 - 111  

이정규 (주성고등학교) ,  김은경 (주덕중학교) ,  조재순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최근 10년간(2009. 3~2018. 1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게재된 전체논문 354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논문 발간현황(권, 호, 게재논문 수, 발간형태)과, 형식(연구자 수와 구성, 쪽수, 표와 그림 수, 참고문헌 수와 참고문헌 중 JKHEEA 논문 수), 내용(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주제어)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학회지운영을 점검하고 연구방향을 탐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는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로서 가정과교육 관련연구를 선도하는 독보적인 전문학술지의 지위를 유지해오고 있다. 학회지발간은 2003년 이후 연 4회 발간체제를 지키고 있으나 게재논문수가 계속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게재한 논문은 단독연구와 공동연구가 2:8 가량인 추세를 유지하면서 2인 공동연구가 가장 많긴 하지만 최근에는 3인 이상 다인수저자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저자구성은 절반 이상이 교수와 대학원생이나 교사로 구성된 2, 3인 공동연구논문이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게재논문의 형식에서는 논문의 쪽수, 표와 그림수, 참고문헌 수에 있어 범위가 넓게 분포하여 개별논문 간 차이가 큰 특징을 갖고 있다. 대략 절반 이상의 논문이 이들 평균주변에 분포하고 있으나 우측으로 길게 뻗은 소수의 논문에 대한 규정이 필요한지 고려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중 JKHEEA 문헌 수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논문투고신청서와 심사항목에 이들 항목을 추가하여 개별논문의 특수성을 열어두면서도 느슨한 범위에서 게재논문의 공통성을 유지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학회지 게재논문 내용의 전체적인 추세는 여전히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연구방법을 사용한 연구가 많긴 하지만 그 집중도가 완화되면서 교과서와 교육과정 등 문헌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교과교육과 교과내용 통합연구가 프로그램개발 및 평가 연구로 이어져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학회지 게재논문의 내용면에서는 가정교과교육학회지로서의 정체성이 좀 더 뚜렷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처음 시도한 주제어 수는 대체로 평균(4.2개) 좌우인 3~5개로, 소수가 1개부터 최대 10개까지 제시하고 있어 앞서 논문 쪽수 등과 함께 점검절차가 필요해 보인다. 또한 주제어의 4/5 가까이가 단지 해당논문 한 곳에만 제시되어 있으며, 총 354편의 논문 중 5편 이상의 논문에 공통으로 쓰인 주제어도 31개(3.2%)뿐으로 학회지를 상징하는 주제어의 공통성이 매우 낮아 유사한 주제어 표기를 가능한 통일성 있게 체계화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나아가 주제어가 논문의 핵심부분인 논문제목과 연구목적, 연구내용에 반영되어 상관성을 높이는 노력도 필요하겠다. 학회지창간 30주년을 맞아 이상에서 밝힌 게재논문의 변화추세를 반영하여 학회지 특색을 살리면서 게재논문 수를 확보하기 위한 투고규정 등의 점검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articles in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during the last decade since 2009. In total, 354 articles from 10 volumes, 40 journal books, were analyzed. This amount to 42...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결과를 진행하여 연구자의 당해 연도 연구업적 평가를 위해 마지막 호에 게재하게 되거나, 대학원 학위논문이 게재되기까지 요약정리부터 일련의 시간이 걸려 나타나는 것이라 생각한 이유는? 4%)보다 24편 줄었다. 전체적으로 1, 2호보다 3, 4호에 실리는 논문 수가 다소 많은 경향을 띤다. 이러한 특징은 특히 후반 5년간(2014~2018)에서 보이는데 12월호 게재논문 수가 다른 호에 비해 많았던 점은 2000년 연 3회 발간 이후 2008년까지 꾸준히 나타난 양상이다(J. Cho et al.
한국가정과학교육학회의 대표적인 두 가지 주요 연례사업은? 한국가정과교육학회는 1988년 가정과교육 전문학회설립의 필요성을 제기한 전국 국립대학교 소속 가정교육과학과장회의에서 학회창립을 위한 발기인대회 및 두 차례 준비위원회의를 거쳐, 1989년 1월 창립총회를 개최하면서 시작되었다(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JKHEEA], 1989). 학회의 대표적인 두 가지 주요 연례사업은 학술대회 개최와 학술지 발간이다. 제1차 학술대회는 창립총회 후 당해 8월에 개최되었으며 학술지 창간호는 12월에 발간되었다.
학회지발간은 어떤 추세인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는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로서 가정과교육 관련연구를 선도하는 독보적인 전문학술지의 지위를 유지해오고 있다. 학회지발간은 2003년 이후 연 4회 발간체제를 지키고 있으나 게재논문수가 계속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게재한 논문은 단독연구와 공동연구가 2:8 가량인 추세를 유지하면서 2인 공동연구가 가장 많긴 하지만 최근에는 3인 이상 다인수저자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ang, D.-H. (2004). A study on the journal evaluation policy of Korea Research Found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5(1), 359-376. 

  2. Cho, B. E., Lee, J. H., Lee, H. J., & Joo, H. J. (2009). Research trends on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i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A review and prospect of research during the past 20 year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3), 143-161. 

  3. Cho, J.-S., Jun, M.-K., & Lee, Y.-J. (2009). The 20 years’ activities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Accomplishments and future task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4), 177-193. 

  4. Jang, S.-O. (2007). Trends of housing education research in Korea and Japan from 1989-2006.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15-129. 

  5. Joo, H., Cho, J., & Choi, Y. (2017). Contents analyses of teaching and learning research on housing education of home economics for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9(3), 33-48. 

  6. KHEEA. (1989). Preparation progress report of the Korea Associ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1), 113-116. 

  7. KHEEA. (n.d.). 투고규정 [Regulations for manuscript submission]. Retrieved from http://www.khomedu.or.kr/sobis/kheea.jsp. 

  8. Kim, E. J., Kwon, Y., & Lee, Y.-J. (2014). Research trends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6(3), 17-34. 

  9. Kim, N.-Y., & Rhee, K.-C. (2005). A study of consumer education research o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7(4), 27-40. 

  10. Ministry of Education. (1997).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1997-15 [separate volume 10]. Seoul: Author. 

  11. Ministry of Education. (2015). 실과(기술.가정)/정보 교육과정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Information Curriculum].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74 [separate volume 10]. Sejong: Author. 

  12.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The Practical Arts(Technology- Home Economic) Curriculum].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79 [separate volume 10]. Seoul: Author. 

  1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 Technology. (2011).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 Curriculum].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 Technology #2011-361 [separate volume 10]. Seoul: Author. 

  14. Moon, H.-K., & Lee, Y.-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15. Park, M.-J., Yu, I.-Y., Lim, I.-Y., Lee, J.-H., & Cho, J.-S. (2007). Contents analyses of housing educational research in home economics of secondary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35-49. 

  16. Ryu, S.-H. (2001). Review of qualitative research on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3(1), 1-11. 

  17. Yang, J.-H., & Shin, S. H. (2003). Research tren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since 7th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1(11), 61-72. 

  18. Yoon, I.-K. (2001). Trend analysi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in Korea.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3(2), 73-83. 

  19. Yoon, I.-K., Lee, J.-G., & Kim, S.-G. (2005). Analysis of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7(4), 55-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