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조방법이 다양한 시판 재래 및 양조 간장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of Commercial Soy Sauce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8 no.6, 2013년, pp.640 - 650  

이다연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식품공학과) ,  정서진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광옥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y sauce, a basic ingredient in Asian cuisine, is made of fermented soybeans, salt, water, and barley or wheat flour.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 are not only determined through its main ingredients but also by various flavor compounds produced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This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간장제품 중 제조방법에 차이를 둔 5 제품을 선정하여 관능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조 방법이 다른 간장의 관능적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간장이 첨가된 음식에 대한 소비자 기호도 조사 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묘사분석에서는 훈련된 패널이 전반적인 간장의 관능적 특성 용어를 개발한 후 각 제품 별 관능적 특성에 대한 강도를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되어 시판되고 있는 간장의 관능적 특성 용어를 개발하여 정의를 내렸다. 또한 이들 특성에 대한 표준시료를 결정하였으며 소비자 기호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간장의 짠맛을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짠맛의 표준척도를 개발하였다(Meilgaard 등 2007).
  •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간장제품 중 제조방법에 차이를 둔 5 제품을 선정하여 관능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조 방법이 다른 간장의 관능적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간장이 첨가된 음식에 대한 소비자 기호도 조사 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장은 제조방법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간장은 한국뿐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조미료로 최근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간장은 제조방법에 따라 크게 전통 재래식 간장과 개량간장으로 구분된다. 전통 재래식 간장은 지역에 따라 제조방법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공통적으로 재래 메주를 주원료로 하여 식염수 등을 섞어 발효, 숙성시킨 후그 여액을 가공한 것으로 재래 한식간장, 재래식 조선간장 또는 재래식 국간장이라 칭한다(Kim 등 2011).
전통 재래식 간장이란 무엇인가?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간장은 제조방법에 따라 크게 전통 재래식 간장과 개량간장으로 구분된다. 전통 재래식 간장은 지역에 따라 제조방법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공통적으로 재래 메주를 주원료로 하여 식염수 등을 섞어 발효, 숙성시킨 후그 여액을 가공한 것으로 재래 한식간장, 재래식 조선간장 또는 재래식 국간장이라 칭한다(Kim 등 2011). 개량간장은 개량메주를 주원료로 하여 식염수 등을 섞어 발효, 숙성 시킨 후 그 여액을 가공한 것으로 개량 한식간장 또는 개량 국간장이라고 말한다(Kim 2007; Kim 등 2011).
고농도의 소금용액에서 더 낮은 농도의 소금용액에 비해 점수 간격이 좁은 것은 무엇을 반영하는 결과인가? 즉, 고농도의 소금용액에서는 더 낮은 농도의 소금용액에 비해 점수 간격이 더 좁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페크너의 법칙(Fechner’s law)에 따라 감각자극 (소금농도) 이 약한 경우 감각반응(항목척도)이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감각자극(소금농도)이 강한 경우는 감각반응(항목척도)이 적게 증가하는 것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Thurstone 192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식품공전-조미식품, 간장. 2005. Korea Food Industry Association. pp 401-402 

  2. Chung YG, Kim JK, Yang SH. 1985. Effective components on the taste of ordinary Korean soy sauce. Korean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and Bioengineering., 13:285-292 

  3. Husson F, Josse J, Le S, Mazet J. 2009. FactoMineR: factor analysis and data mining with R. R package version 1.14. http://CRAN.R-project.org/packageFactoMineR 

  4. Jeon MS, Sohn KH, Chae SH, Park HK, Jeon HJ. 2002.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s prepared under different processing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1):32-38 

  5. Jeong SY, Chung SJ, Suh DS, Suh BC, Kim KO. 2004. Developing a descriptive analysis procedure for evaluati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 Journal of Food Science., 69(8):S319-325 

  6. Ji WD, Lee EJ, Kim SY, Kim JK. 1992. Characteristic volatil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J. Korean Agric. Chem. Soc., 35(5):346-350 

  7. Kim DH. 1995. Food chemistry-Maillard reaction. Tamgudang. pp 403-416 

  8. Kim DH, Yook HS, Kim KY, Shin MG, Byun MW. 2011.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extruded Meju by the molding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2):250-255 

  9. Kim DN. 2007. Trend of research papers on soy sauce tastes in Japan.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2(1):40-50 

  10. Kim JG. 2004. Changes of components affecting organoleptic quality during the ripening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amino nitrogen, amino acids, and color. Kor. J. Env. Hlth., 30(1):22-28 

  11. Kim JK, Kim CS. 1980. The taste components of ordinary Korean soy sauce. J.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Society., 23(2):89-105 

  12. Kim YA, Kim HS. 1996. Consumption pattern and sensory 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commercial soy sauce. Korean J. Soc. Food Sci., 12 (3):280-290 

  13. Kang SH, Lee S, Ko JM, Hwang IK. 2011. Comparisons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with varying soybean seeding periods and regions of production. Korean J. Food & Nutr., 24(4):761-769 

  14. Lee GW. 2012.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ross-cultural comparisons of consumer acceptability for Gochujang dressing. Food Sci. Biotechnol., 21(3):1-9 

  15. Lee KH, Kim ND, Yoo JY. 1997. Surve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raditional Meju for and of Kanjang (Korean soy sau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3):390-396 

  16. Lee SM, Seo BC, Kim YS. 2006. Volatile compounds in fermented and acid-hydrolyzed soy sauces. Journal of Food Science., 71(3):C146-C156 

  17. Lee YC, Song JH, Lee SY. 1994. Sensory preference of soy sauces used for seasoning soups and cooked mungbean sprout. Korean J. Food Sci. Technol., 26(5):507-511 

  18. Lioe HN, Selamat J, Yasuda M. 2010. Soy sauce and its umami taste; A link from the past to current situation. Journal of Food Science., 75(3): R71-R76 

  19. Meilgaard M, Civille G, Carr B. 2007. Descriptive analysis techniques. Chapter 10. In: Sensor evaluation techniques, 4th. Boca Raton, Fla. CRC Press 

  20. Oh GS, Kang KJ, Hong YP, An YS, Lee HM. 2003. Distribution of organic acids in traditional and modified fermented 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8):1177-1185 

  21. Park CK, Hwang IK. 1995. Consumption pattern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consumer sensory evaluation. Korean J. Soc. Food Sci., 11(2):521-526 

  22. Park HK, Sohn KH. 1997. Analysis of significant factor in the flavor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Korean J. Dietary Culture., 12:63-69 

  23. Park HK, Sohn KH, Joo MS. 1997. Changes in tast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with ripening period (1) -Analysis of general compounds and sugars. Korean J. Dietary Culture., 12(2):183-188 

  24. Park HK, Sohn KH, Joo MS. 1997. Changes in tast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with ripening period (2) -Analysis of nitrogen compound conten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Korean J. Dietary Culture., 12(4):383-389 

  25. Park HK, Sohn KH, Park OJ. 1997. Analysis of significant factors in the flavor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3) -Aroma compound analysis. Korean J. Dietary Culture., 12(2):173-182 

  26. Seo BC. 2001. The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food industry for globalization. Food industry and Nutrition., 6(3):28-33 

  27. Seo JS, Lee TS. 1993. The contents of free sugar and alcohol in traditional soy sauce prepared from Meju under different formations. Korean J. Food & Nutrition., 6(2): 103-108 

  28. Seo JS, Chang HG, Ji WD, Lee EJ, Choi MR, Kim HR, Kim JK. 1996. Aroma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and soybean paste fermented with the same Meju.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6(4):278-285 

  29. Seo SH, Hwang IK, Yang HS Lee HJ. 1995. Studies on the odor componen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Korean Soybean Society., 12(1):21-32 

  30. Son KH, Lee HJ, Park HK, Park OJ. 1998. Studies on taste compound content and research on condition of consumer attitude to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with varying Meju type and fermentation jars. Korean J. Soc. Food Sci., 14(5): 463-467 

  31. Steninhaus P, Schieberle P. 2007. Characterization of the key aroma compounds in soy sauce using approached of molecular sensory science.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5:6262-6269 

  32. Thurstone LL. 1927. A law of comparative judgement. Psychologial Review., 34(4): 273-286 

  33. van Boekel MAJS. 2006. Formation of flavour compounds in the Maillard reaction. Biotechnology Advances., 24: 230-2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