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 분말을 첨가한 청포묵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Gel prepared with Persimmon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4, 2013년, pp.638 - 645  

최해연 (공주대학교 식품과학부 외식상품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immon powder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gel. Mung bean starch gel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0%, 1%, 3%, 5%, 7% and 9%) of persimmon powder.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stim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생리활성이 있다고 알려진 감 분말을 묵에 첨가하고, 그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맛과 품질이 우수한 기능성 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 묵의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어떠한가? 37 ㎎ GAE/g으로 측정되었다. 감묵의 총 페놀 화합물은 25.25~46.75 ㎎ GAE/100 g으로 나타났으며, 감 분말의 첨가량이 1~9% 증가함에 따라 대조군의 22.22 ㎎ GAE/100 g에 비해 약 14~110% 증가하였다(p<0.001).
감에 풍부한 영양성분은 무엇인가? 감(Diospyros kaki Thunb)은 포도당과 과당 등의 당류, 비타민 A와 C, Ca과 K 등의 무기염류, 수용성 탄닌, 식이섬유 등이 풍부한 식품으로, 포도, 사과 등과 함께 우리나라 3대 과실 중의 하나로 애용되어 왔다(Young & How 1986; Park 등 1995; Shin 등 2011). 감은 약 15~16%의 당류를 함유하고 있으며, 카테킨이 존재하여 비타민 C 및 과당과 함께 섭취하면 그 흡수율이 약 3배 정도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감의 약리작용에는 무엇이 있는가? 또한 껍질을 포함한 감은 당질 이외에 여러 유효성분을 상당량 함유하고 있다 (Woo 등 2005; Maruyama 등 2008). 감의 약리작용으로는 대장의 수축과 분비액의 분비 촉진, 중풍 및 토혈증, 화상 등의 치료, 암과 고혈압, 심장병 등의 성인병에 대한 효과가 보고 되었다(Chung 등 2002). 감과실과 감잎의 페놀성 물질은 항돌연변이, 항산화성 및 항알레르기성의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Umekawa 등 1999; Park 등 2000; Jeong 등 2004), 감과실의 주요 페놀성 물질인 탄닌 중 가용성 탄닌의 경우 개화 후부터 특정 시기까지 잎에서 과실로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eong & Han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kagi T, Ikegami A, Suzuki Y, Yoshida J, Yamada M, Sato A, Yonemori K. 2009. Expression balances of structural genes in shikimate and flavonoid biosynthesis cause a difference in proanthocyanidin accumulation in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fruit. Planta 230:899-915 

  2. Cha YJ, Jung YS, Kim JW, Youn K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mung bean starch gels added with carrot, spinach and mulberry ju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46-52 

  3. Chang KM. 2007. Manufacturing of functionalized color Mook by addition of the color and flavor from natural fo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2:365-372 

  4. Choi EJ. 2002. Studies on gelling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by addition of ingredients. Doctorate Thesis, Catholic Uni. Bucheon, Korea 

  5. Chung JY, Kim KH, Shin DJ, Son GM. 2002. Effects of sweet persimmon powder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738-742 

  6. Han JS, Kim JA, Han GP, Kim DS. 2004. Quality characteristic of functional cookies with added potato peel. Korean J Food Cookery Sci 20:63-69 

  7. Heo JC, Lee KY, Lee BG, Choi SY, Lee SH, Lee SH. 2010. Anti-allergic activities of ultra-fine powder from persimmon. Korean J Food Preserv 17:145-150 

  8. Im CY, Jeong ST, Choi HS, Choi JH, Yeo SH, Kang WW. 2012. Characteristics of Gammakgeolli added with processed forms of persimmon. Korean J Food Preserv 19:159-166 

  9. Jeong CJ, Yun JS, Lee ML. 2004. Effects of phenolic compounds of persimmon leaves on antioxidative system and miscellaneous enzyme activities related to liver function in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of rats. Korean J Food Preserv 11:79-87 

  10. Kim AJ, Joung KH, Shin SM. 2011a.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pomook using black garlic extract. Korean J Academia-Industrial Co Soc 12:3994-4000 

  11. Kim AJ, Jung JJ, Lee MS, Joo NM, Jung EK. 2012a.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Mook added with Gugija (Lycii fructus) infusion. J Korean Diet Assoc 18:213-221 

  12. Kim AJ, Shin SM, Joung KH. 2011b.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pomook using black ginseng extract. Korean J Academia-Industrial Co Soc 12:3994-4000 

  13. Kim EM.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jellies made with different levels of white lotus steam ju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943-949 

  14. Kim HS, Kim MJ, Lee MS, Lee GS, Kim AJ. 2012b.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kdumook using Yangha (Zingiber mioga R.) powder. Korean J Food Nutr 25:521-528 

  15. Lee HJ. 2002. Food Culture of Korea. p. 256. ShinKwang. Seoul, Korea 

  16. Lee JS. 1981. Studies on the cooking quality of mungbean starch part 2. The properties of starch gel. Korean J Soc Food Sci 14:130-136 

  17. Lee YU, Huang GW, Liang ZC, Mau JL.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three extracts from Pleurotus citrinopileatus. LWT Food Sci Technol 40:823-833 

  18. Maruyama K, Sato S, Ohira T, Maeda K, Noda H, Kubota Y, Nishimura S, Kitamura A, Kiyama M, Okada T, Imano H, Nakamura M, Ishikawa Y, Kurokawa M, Sasaki S, Iso H. 2008. The joint impact on being overweight of self reported behaviours of eating quickly and eating until full: cross sectional survey. BMJ 337:1091-1093 

  19. Park GS, Kwon JH, Huh SM. 199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ku-Pyun with various starch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452-460 

  20. Park JH, Kim EM. 2010.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jelly with white lotus (Nelumbo nucifera) root powder added. Korean J Culinary Res 16:180-190 

  21. Park MH, Choi C, Son GM, An BJ, Bae MJ. 2000.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persimmon leaves on antiallergy. J Korean Soc Food Nutr 29:116-119 

  22. Park YJ, Kang MH, Kim JI, Park OJ. 1995. Changes of vitamin C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of persimmon leaf tea by processing method and extraction condi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281-285 

  23. Ryu HM, Jeon DK, Kim SA, Chung HJ. 2013. Antioxida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 added with peach seed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0:372-378 

  24. Seong JH, Han JP. 1999. The qualitative differences of persimmon tannin and the natural removal of astringency.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66-70 

  25. Shin DS, Park HY, Kim MH, Han GJ.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persimmon peel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7:589-597 

  26. Swain T, Hillis WE, Oritega M.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o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63-68 

  27. Umekawa H, Takada Y, Furuichi Y, Takahashi T, Achiwa Y, Komiya T, Yoshida S. 1999. Inhibition of eukaryotic DNA polymerase by persimmon extract and related polyphenols. Biochem Mol Biol Int 47:795-801 

  28. Woo JY, Paek NS, Kim YM. 2005. Studies on antioxidative effect and lactic acid bacteria growth of persimmon leaf extracts. Korean J Food Nutr 18:28-38 

  29. Yoo KH, Kim SJ, Jeong JM. 2011. Effects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syrup extracted from persimmon and persimmon by-products on blood glucose lev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682-688 

  30. Young CT, How JSL. 1986.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 of Raw and Processed Fruits. Commercial Fruit Processing. 2nd ed. Avi Publishing Co, pp. 531-564. Westport, CT, US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